Categories
Album KPOP Album

스윙스(Swings) ‘Upgrade Ⅳ'(2020)

평가: 3/5

스윙스는 2007년 라마가 주축이 되어 만든 힙합 유니트 7人 ST-Ego(칠린스테고)로 데뷔한 이후 지금까지 스스로가 사건의 중심이 되어 힙합 신을 움직였다. 아직 한국형 랩에 대한 고민과 갈등을 지속하던 때 펀치라인이란 작법을 정립시켜 ‘펀치라인 킹’이 되길 자처했고 빅 션과 켄드릭 라마의 ‘Control’ 비트에 ‘King swings’라는 제목으로 국내 래퍼 대부분을 디스하며 일명 ‘컨트롤 대전’의 시발점이 됐다. 긍정 혹은 부정적인 비평을 오가며 현장을 주도했던 그의 음악적 색채는 시간이 지난 현재 사업가, 운동과 같은 수식에 잠겨 옅어졌다. 진보를 뜻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과거의 모습을 꺼내온 정규앨범 < Upgrade Ⅳ >는 그를 덮고 있던 대외적인 가면을 벗어내고 본연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다.

‘너네들 내 옛날식 그리워한다며?’라고 말하는 ‘카메라 프리스타일’처럼 앨범은 전성기의 스윙스를 복각한다. ‘더 댄스’와 ‘스테이 후레쉬’까지 더해 중요 단어를 문장의 마지막에 배치하는 도치법을 활용한 언어유희로 고전적인 랩을 재현하고 조커와 래퍼 자다키스의 중간에 있는 특유의 웃음소리도 예전의 그를 떠올릴 요소. 1993년 발표한 사이프러스 힐의 ‘’Insane in the brain’이 생각나는 붐뱁 곡 ‘넌 좀 알아야 돼’는 단순하게 구성된 악기가 주는 몽환적인 분위기 속에서 숨 쉴 지점이 없을 정도로 빡빡한 플로우와 밀고 당기는 박자로 그만의 그루브를 만들었다.

의도적 논란으로 항상 주인공이 되고자 했던 그는 이슈가 아닌 아티스트로서 놓친 갈피를 잡기 위해 노력한다. 기리보이는 물론 2018년 발매한 전작 < Upgrade 0 >의 프로듀서 세우를 배제하고 처음 시도한 작·편곡으로 17곡을 수록한 이유는 ‘이제 음악은 자신의 한계를 기록하는 외로운 길’이란 ‘라익 어 복서’의 가사처럼 경쟁자가 없어 나태해진 유일한 원동력이 본인이기 때문이다. 프로듀싱은 앨범을 관통하는 자신에 대한 고찰이란 담론의 근거이며 한 번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다.

스윙스는 위를 보고 달려왔다. 언더그라운드와 오버그라운드의 경계가 뚜렷했던 시기부터 그룹 업타운의 활동, 엠넷 경연 프로그램 < 쇼 미더 머니 2 >의 출연 등 노골적으로 성공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런 행동은 ‘누구보다 내가 뛰어나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구축한 캐릭터를 기본으로 했지만 < Upgrade Ⅳ >가 본인의 자양분인 자의식 과잉의 근거가 될 만큼 특출하지 않다. 환기를 위해 선택한 뱃사공, 저스디스, 씨잼 등 시대를 대표하는 참여진에 비해 매력적이지 않으며 오토튠을 차용한 ‘유어 에너지’는 유행에 뒤처진 그의 대안이 되지 못했다. 소기의 목적은 이뤘지만 미래에 대한 해결책의 부재는 아쉽다.

< Upgrade Ⅳ >를 통해 다시 출발선에 선 스윙스가 반갑다. 그가 사회적으로 가꿔온 위치까지 내려놓으며 선택한 자아 찾기는 작품 내에서 통일된 서사로 이어져 그의 진심을 담백하게 담아낸다. 분명 낮아진 기대만큼 후해진 평가를 외면할 순 없지만 장시간 그의 음악을 멀리했던 대중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충분하다. 데뷔 14년 차 가수의 뒤로 가기가 영리하다.

-수록곡-
1. 더 댄스
2. 스테이 후레쉬
3. 한계 (Feat. 뱃사공)
4. 아이 럽 유
5. 카메라 프리스타일
6. 넌 좀 알아야돼
7. 몰라? (Feat. JUSTHIS)
8. 승자의 정신 (Feat. LIl tachi)
9. 마이 헤븐 (Feat. YUNHWAY, Jhnovr)
10. 라익 어 복서
11. 스틸 갓 러브 (Feat. 개코)
12. 너띵 이즈 임파서블 (Feat. C JAMM)
13. 나는 (사회 기능이 가능한) 알콜 중독자다
14. 수퍼 리얼
15. 브레익 유어 페이스 (Feat. Owen)
16. 유어 에너지 (Feat. YUNHWAY, 한요한)
17. 5, 4, 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