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terview

스월비 인터뷰

힙합 신은 늘 역동적인 루키의 등장을 원동력 삼아 변화의 탈피를 거쳐 왔다. 그중에서도 2020년을 빛낸 신인을 거론할 때 스월비(Swervy)는 더더욱 빠질 수 없는 아티스트다.

잔혹한 상상과 순수함이 총명하게 반짝이는 < Undercover Angel >은 기존에 없던 독특한 캐릭터성과 화법을 등장시키며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사운드클라우드를 거점으로 몽롱한 형태만을 갖춘 채 부풀어 오른 십 대 문화를 본인만의 뚜렷한 색감으로 시각화하며 새로운 양분을 제시한다.

한파가 잠시 그친 틈을 타, 첫 정규작으로 리스너들의 뇌리에 이름을 아로새긴 하이라이트 레코즈의 2001년생 막내 래퍼 스월비를 만나 그의 앨범만큼이나 독특한 음악 세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2021년 새해를 맞이했다. 최근 어떻게 지내고 있나.
작년 말부터 준비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 < 500000 >을 발매한 레디와 총괄 프로듀서 요시(Yosi), 그리고 < Undercover Angel >를 만든 나와 수이(SUI). 이렇게 넷이서 시작한 ‘하트코어’라는 무브먼트 겸 전자음악 기반의 앨범이다. 플레이어로 나와 있는 레디(Reddy)와 나, 둘 다 패션과 쇼 음악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런 벌레스크(Burlesque) 한 감성을 EDM에 녹여보자는 상상을 했고, 이를 소리로 구현해 줄 프로듀서 둘과 함께 열심히 해보는 중이다.

이번 ‘하트코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도 레디와 함께 힙합플레이야(HIPHOPPLAYA)의 ‘금요 힙합’에 출연한 적이 있다. 특별히 같이 하게 된 계기가 있는지.
‘ART GANG MONEY’라는 싱글이 있다. 스콜록트(SKOLOCT)라는 일본 패션 브랜드의 트리뷰트 같은 곡이다. 당시 레디와 딱히 친하지는 않았는데 정말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서 같이 해보지 않겠냐고 먼저 물어봤다. 워낙 멋있는 이미지를 갖고 있으니까 속된 말로 같이 소비되고 싶었던 것도 있었고. 유튜브 채널에 같이 출연했을 때는 콘텐츠가 배포될 즈음 둘 다 앨범을 앞두고 있었다. 시기가 잘 맞아떨어졌다.

레코딩이 끝났다니 질문을 여쭙자면, 네 명의 호흡은 어땠나.
예상치 못하게 좋아서 깜짝 놀랐다. 나는 수이가 아닌 다른 프로듀서와 작업을 해본 경험이 많지 않다. 과거 팀 야야(TEAM YAYA) 활동보다는 과분한 사랑을 받고 있고 달라진 것도 있지만, ‘원 플레이어 원 프로듀서’라는 작업 환경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던 셈이다. 그래서 마찰이 생기면 힘들 것 같다는 걱정이 늘 있었다. 당시 레디는 영감을 밖에서 많이 가져오려 했고, 나는 아이디어를 계속 내고 있었으니까. 근데 브레인스토밍 때 내가 아이디어를 내면 요시와 레디가 그거에 관해 현실성을 잘 따지면서 조율해 주니까, 뭔가 딱 밸런스가 잘 맞았던 것 같다.

프로듀서 수이가 있기에 완전히 새로운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서로가 좋은 호흡이 되어준 것 같다.
그렇다. 환경 자체는 매우 편안했지만, 새로운 면도 있어서 말 그대로 차기작을 작업한다는 기분이 들었다. 아직은 레코딩만 끝난 단계지만, 오로지 트랙과 비주얼적인 것만 내기보다는 다른 것도 준비해보고 싶어 계속 구상 중이다. 재밌게 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첫 정규 앨범 홍보나 공연 등이 어려웠을 텐데 아쉽지 않았는가.
홍보나 공연에서 아쉬움은 당연히 있는 것 같다. 사실 < Undercover Angel >을 작업하고 있을 때는 이 코로나19라는 대재앙이 일어나기 전이었고, 이런저런 일정을 병행하면서 작업을 했었다. 그래도 정해진 기한 안에 트랙을 완성시키고 믹스를 확인하고 미팅을 나가는 일이 먼저였기 때문에 스스로 생각하거나 자아를 확립할 시간이 부족했는데, 공백이 생긴 덕에 차기작을 빠르게 들어갈 수 있게 된 것 같다. 좋게 생각하면 그렇다. (웃음)

<Undercover Angel> 앨범이 지난해 많은 사랑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고, 이즘에서는 올해의 가요 앨범으로 뽑히기도 했다. 작금의 반응에 대해 어느 정도 예상을 했는지.
예전 내 별명이 ‘릴 낙담’이다. 완전 낙담이 습관인 사람. 지금도 크게 바뀌지는 않았지만, 당시에는 매일 주변 사람에게 민폐를 끼칠 정도였다. 나 자신에게 확신이 없었다기보다는 뭔가 타의적인 일들로 집안에 고립되어 있던 상황이었기에 별의별 고민으로 자존감이 많이 떨어져 있는 상황이었다. 주변에서 같이 견뎌주겠다고는 했지만, 좋은 반응을 떠나 애초에 내가 이 앨범을 공개해도 괜찮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 앨범을 내려고 마음먹은 것도 안 내면 억울할 것 같은 마음에서다. 가사의 주된 정서는 표현하고 싶은 바가 모호하지만 막 화를 내는 느낌이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내재된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당시 나는 불안이 더 커서 그걸 못 느끼고 있던 것 같다.

그런 불안감이 혹시 작품에 대한 자신감에도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나.
불안과는 완전 별개로 작품에 대한 자신감은 늘 있다. 나는 나와 내 작품을 아예 따로 놓고 본다. 내가 아무리 음악을 만들지언정 음악으로만 나라는 사람이 완성되는 게 아니니까. 나라는 사람과 음악을 동일시하게 되면 내가 싫다는 이유로 음악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거고, 또 내가 좋다는 이유로 호평을 받을 수도 있지 않나.

전체적으로 앨범에서 부정적인 바이브가 감지되는 것 같고, 불안한 시기를 겪었다고 말했다. 그런 감정을 어떻게 작중에 풀어내려 했는지.
< Undercover Angel >은 처음부터 마지막 트랙까지 거의 그 순서대로 작업을 했고, 그래서 순간순간의 감정이 잘 녹아들어 있는 작품이다. 게다가 나는 곡의 무드에 녹아 있지 않으면 가사를 쓸 수 없는 편이라, 감정을 푸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대신 그날의 감정이 확실한지에 대한 불안으로 수정을 거듭하느라 힘들었다. 여담으로, 나는 이 작품이 정규가 될지 전혀 모르고 있었고, 작업 중반까지도 EP라 떠들고 다녔다. 나중에 이게 정규라는 말을 듣고 나서 가사와 편곡 방향을 미친 듯이 바꾸기 시작했다. 나는 래퍼는 자기 얘기를 많이 할 수 없고, 기회도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세 번 이상 자기 이야기를 하면 뻔해진다는 평을 듣는 것 같더라. 그래서 첫 정규작이라 말할 작업물에서는 인생 전기를 전혀 담고 싶지 않았다.

쉽지 않은 결정 같다. 엄연히 첫 작품인 만큼 개인적인 서사를 풀어내고 싶었을 텐데.
‘스월비는 사건이 있었으니 당연히 그 얘기를 꺼낼 거다’라는 편견에 대해서, ‘아무것도 보여주지 않고 대신 내 감정만 보여줄 테니 알아서 추론해 보시라’ 같은 반항심이 있었던 것 같다.

<Undercover Angel>의 제목은 메레디스 브룩스(Meredith Brooks)의 ‘Bitch’라는 곡으로부터 따온 것으로 알고 있다. 이처럼 스월비의 음악 세계는 힙합이라는 장르보다는 록, 트랩, 라틴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진 팝 혹은 대중음악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떤 음악을 들으며 자랐는지 궁금하다.
아주 어릴 때는 록을 훨씬 좋아했던 것 같다. 특히 그린데이(Green Day)를 진짜 좋아한다. 테이프 온리 앨범 < 1,039/Smoothed Out Slappy Hours >을 듣고 싶어서 온라인 매장을 다 뒤져 본적도 있다. 캣 파워(Cat Power), 에잇 밀리미터(8mm), 고릴라즈(Gorillaz) 같은 펑크를 기반으로 한 얼터너티브 록도 진짜 좋아한다. 물론 지금은 힙합에 대한 사랑도 충분하다.

‘파랑’의 크라잉넛의 베이시스트 캡틴락의 협업 계기도 궁금하다. 2019년, 복합문화공간 에무(EMU)에서의 ‘종로콜링’ 무대에 서게 된 것이 인연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작업은 어땠나.
나름 특이하다. 초등학생 때부터 홍대에 스트릿 건즈(Street Guns)의 타이거 사장님이 운영하시는 ‘락샵’에 줄곧 다녔는데, 어느 날 친구와 만든 작업물을 드린 적이 있다. 그때 거기 사장님이 캡틴락님과 함께 보시면서 나를 섭외하고 싶어하셨고, 그렇게 연이 닿게 되었다. 공연 이후 따로 약속을 잡아 ‘파랑’의 데모 버전을 들려드리면서 기타를 부탁드렸다. 캡틴락님은 자신이 베이시스트라며 당황하셨지만, 나는 중요치 않게 꾸리고 싶고, 마음에 드실 때까지 저희가 시간을 끌 테니 1년이 걸려도 괜찮다고 말씀드렸다. 후에 공을 많이 들여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앞서 감정을 어떻게 풀어냈는지에 대해 말했는데. 그런 의미에서 ‘Alibi’는 어떻게 보면 분노를 담는 것만이 아닌 해소가 떠오르기도 한다.
사실 ‘Alibi’에 정확히 무엇을 담고 싶었다고 말하기가 어렵다. 훅에는 처절함이 담겨있고, 첫 번째 벌스는 최대한 직관적으로 비주얼라이징을 할 수 있도록 제삼자처럼 꾸몄는데, 두 번째 벌스는 엄청 부글부글한 화를 참고 있는 느낌이다. 그런 불안과 분노 같은 수많은 감정의 총 집합체 같아서, 정확히 하나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대신 < Undercover Angel >을 관통하는 정서는 최근 고민을 좀 해봤는데 ‘복수심’인 것 같다. 왜 지금까지 행동하지 않았고 움직이지 않았을까 하는 자신을 향한 복수심. 나는 ‘ART GANG MONEY’를 내기 전까지 내가 제대로 된 음악적 성취를 낼 수 있을 거라 단 한 번도 생각을 못 했다. 그냥 스킬풀한 랩이 하고 싶었고 그게 다인 줄 알았다. 이제 < Undercover Angel >을 만들면서 처음으로 타임라인을 짜고, 구두로라도 프로듀싱에 참여해보고 콘티를 짜면서 그런 것에 대한 해소가 미친 듯이 되기 시작했다.

오래전부터 함께 활동해온 수이와의 작업 과정이 궁금하다.
수이는 학자 같은 욕구가 많다. 보통 나는 비주얼로 먼저 설명을 하는데, 예를 들면 ‘왜, 밤에 아리랑 치기 당할 것 같은 골목에서 담벼락 돌로 긁을 때 나는 소리 있잖아’ 이런 식으로 말하면 그걸 글로 적어가며 공부를 하고, 똑같이 만들어 낼 수 있을 때까지 배우면서 자기 것으로 만들어낸다. 모노로도 틀어보고, 스테레오도 들어보고, 자기가 확실히 이해했다 싶으면 그제야 트랙을 만드는 거다.
어떻게 보면 수이도 < Undercover Angel >을 만들면서 나를 비롯해 같이 발전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내가 처음으로 ‘어떤 랩을 하는지 보여주고 싶어’가 아니라 ‘어떤 음악을 하는 사람인지 보여주고 싶어’라 말했을 때 엄청나게 좋아했다. 의견 충돌도 있었지만, 결국 목표는 좋은 작업물을 만드는 것으로 귀결되니까 그걸 다 참작할 만큼 들떠 있었다.

구성 자체가 굉장히 독특하다. ‘천수경’ 다음 이어지는 ‘Mama lisa’는 어머니에게 바치는 곡이다.
바로 전 트랙 ‘천수경’은 실제 엄마의 기도를 담은 스킷(Skit)이다. 기도라는 행위는 어쨌든 정말 아무것도 받지 않겠다는 마음에서 비롯된 사랑이라 생각하는데, 내가 그 기도에 맞게 행동하고 살고 있지 않은 것 같다는 분노랄까. 그리고 나는 어머니가 젊을 적에 얼마나 힘들게 살아왔는지 아니까, 거기에 부합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어머니에 대한 헌정곡임에도 불구하고 상스러운 비속어도 들어가 있고, 그저 호강시켜주겠다는 내용이 아니라 엄마가 가르친 대로 일단 행동하겠다는 마음이 주체가 된 것 같다.

사실 어머니를 위한 노래라고 하면 텍스트 자체가 고정될 수밖에 없는데 틀을 깬 곡인 것 같다. 실제로 어머니의 삶의 방식이나 가치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건가.
맞다.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냥 엄마라서 좋은 게 아니라, 전기를 보면 따르고 싶은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근데 엄마는 이 곡을 별로 안 좋아하셨다. 나중에는 좋아해 주셨는데, 처음에는 미쳤냐고. (웃음) 오늘도 옷 이렇게 입고 나온다고 해서 혼났다.

하이라이트 레코즈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내는 정규다. 소속사에 영향을 많이 받았나.
잘 모르겠는데, 팔로알토의 랩은 특유의 칼같이 끝나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한 마디마다 온점 찍혀서 빡 빡 꽂히는 느낌. 거기서 많은 걸 배웠고, 또 새로운 의미의 사랑과 가족을 많이 알았다.

말 나온 김에, 막내가 생각하는 하이라이트 멤버의 한줄평을 부탁해도될까.
우선 허클베리 피(Huckleberry P)는 가사가 너무 좋다. ‘Cooler than the cool’은 듣고 울기도 했다. 영원히 헉피였으면 좋겠다. 레디는 내가 진짜 사랑하는 사람 중 하나다. ‘ART GANG MONEY’에 ‘스월비가 30대가 됐을 때는 레디처럼 살고 싶대’라는 라인이 있는데, 내가 맨날 ‘저는 그런 적 없는데요’라며 장난치곤 했다. 지금은 진심으로 그런 태도로 살고 싶다. 스웨이디(Sway D), 석현이는 이름이 대명사다. 과거의 한 3~4년 전에 트랩 신에 석현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었으니까. 그 레거시가 영원하게.

저드(jerd)는 약간 클리셰 한 말처럼 보일 수 있는데 스펀지 같다. 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냥 팬으로, 혹은 동료 입장으로 봤을 때도 말이다. 수비(Soovi)는 반대로 자기가 어쨌든 흡수될 수 있는 액체 같은 물질 같다. 오히려 다른 사람이나 다른 장르를 해도 늘 수비 언니일 것 같은. 오웰(Owell Mood)은 위닝 좀 이기고, 맨날 진다. 조원우랑 윤비(YunB)는 살아있으면 연락 좀 해달라. (웃음) 요시도 살아있음 연락 좀 해달라. 음악 너무 잘하는데, 세상이 알아줬으면 좋겠다.

‘Did it like I did’의 경우 원곡과 리믹스 버전이 둘 다 존재하고, 심지어 후자를 타이틀로 선정했다.
‘Did it like I did’는 라틴풍의 트랩이 가미된 말 그대로 팝의 정수다. 타 인터뷰에서도 말한 적이 있던 것 같은데 곡을 만들었을 때 담고자 했던 정서는 소수자에 대한 내 애정과 존중이다. 같이 움직이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싶었고, 내가 죽고 싶다 해서 세상이 죽고 싶은 건 아니니까 같이 살아남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면 그 사람들에게 뭔가 말을 해주고 싶었다. 그리고 그때 살아보자고 했던 친구들이 공교롭게도 소수자가 많았다.

디제이 리믹스를 만든 것도 애초부터 생각이 있었다. 결과물은 너무 좋았지만, 전체적인 느낌이 내가 하고 싶은 말에 비해서 소프트하다는 생각이 들더라. 내가 아무리 그런 정서를 담아 녹음을 했다 한들 결과물을 만들 때는 수많은 플러그인이 걸리고 트랙에 맞게끔 믹스가 되는 거니까. 뭔가 내가 살리고 싶던 게 많이 사라졌다는 생각이 들어서 결과가 나오자마자 수이한테 훨씬 더 리드미컬한 EDM 리믹스를 부탁했다. 살짝 짜증 섞인 ‘내가 알아서 할게요’ 부분은 녹음실에서 즉석으로 튀어나온 말인데 메시지를 위해 살렸다.

당시 ‘Did it like I did (Remix)’는 뮤직비디오도 굉장히 화제가 되었다. 더불어 팔로알토가 피처링을 맡은 ‘왜 이래’와 ‘파랑’까지 총 세 편을 촬영했는데, 만약 다른 뮤직비디오도 찍어보고 싶다면 어떤 트랙이 떠오르나.
당연히 ‘Mama lisa’. 애초에 찍기로 되어 있었고 아이디어도 되게 많았는데 ‘왜 이래’의 뮤직비디오 제작에 매료되면서 시간과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빠지게 된 비운의 트랙이다. 다행히 ‘랩하우스’와 ‘온스테이지’에서 해소가 됐다.

‘Yaya2’에서는 프로듀서 수이가, ‘Trapped in the drum’에서는 저스디스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Yaya2’에서는 랩에 중점을 뒀다기보다는 오래 나를 봐준 사람들을 위한 이스터에그 같은 거였다. ‘Yaya’라는 오리지널 트랙은 거의 소음이다. 중2병의 총집합이라 해야 하나. 여튼 우리가 살아남았고 그동안 정말 고마우니까 선물로 드린다는 느낌. 근데 수이가 랩 못한다고 욕먹어서 뭔가 좀 짠하면서 웃겼다.

저스디스와의 작업은 어땠나.
너무 깔끔하게 진행됐다. 어느 날 팔로알토에게 ‘Trapped in the drum’ 곡을 들려드리면서 이 곡에 대한 애정이 아주 깊은데 처음부터 저스디스를 피처링으로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주제가 저스디스의 최근 고민과 일치하는 점이 많은 것 같다고 하더니, 한 이틀도 안 돼서 바로 연락이 왔고 정말 순식간에 작업이 끝났다.

그리고 꼭 말하고 싶은 미담이 있는데, 이 곡의 저스디스 파트가 드럼이 안 깔린 상태에서 작업을 한 뒤 후에 드럼을 깔았다는 말이 있다. 원래 따로 프로듀싱을 하니까 좀 더 편하게 보라고 드럼이 있고 없는 버전을 같이 드리려 했는데, 실수로 드럼 비트가 없는 버전만 준 거다. 근데 우리에게 잘못 온 것 같다는 말도 없이 흔쾌히 해줬다. 아마도 슬래밍을 부탁한 줄 알았던 거다.

후반부 타이틀곡 ‘파랑’에 이르러는 앞서 나타난 다양한 감정들이 해소되고 아름답게 마무리되는 듯한 느낌이 든다.
‘파랑’은 사실 이렇게 많은 분이 좋아해 주실지 몰랐다. 물론 중요한 역할을 부여해서 마지막에 넣어둔 트랙이지만, 사실상 마음속 서사에서 타이틀은 ‘Trapped in the drum’이다. 드럼은 어느 문화권에 가도 원통 모양이다. 원통에 갇히면 이리저리 움직이지도 못하고 아예 사람으로서 형태를 못 갖추게 된다. 힙합이라는 장르 안에서 수많은 문화가 파생되면서 래퍼들이 원치 않는 기믹에 갇히고, 이질감 드는 행동과 가사를 뱉는다든지. 물론 나도 그중 하나였고, 드럼에 갇힌 느낌이었다.

‘파랑’은 내 친구들과 나를 사랑해 주는 사람들에게 주는 선물이다. 물론 이 트랙이 다른 강하고 자극적인 사운드를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많이 해주기 때문에 타이틀로 택한 것도 있지만, 영상을 오랫동안 친했던 절친들로 구성을 한 것도, 그리고 베이시스트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존경이 끓어오르던 캡틴락님께 피처링을 부탁드린 것도, 나 혼자 알 법한 중2병 다운 선택이었다. 정말 사실 오로지 작업물만 생각했으면 다른 선택을 했을 것 같다. 놀라움이 많은 트랙이다.

음악을 언제부터 좋아했나. 해야겠다고 결심한 순간은 언제인가.
음악은 부모님 덕분에 태어난 순간부터 좋아했던 것 같다. 혼자 3살 때 에이스 오브 베이스(Ace of Base)의 음악을 CD 플레이어에 틀어놓고 춤추는 영상도 있다. 랩을 통해서 커리어를 쌓아야겠다 생각한 건 아마 한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그리고 음악을 하기로 결심한 순간은 좀 말장난스럽기는 하지만, ‘ART GANG MONEY’를 기점으로 오로지 스킬풀한 랩만 해야겠다는 틀에서 벗어났을 때다.

앞으로 음악에서 보여주고 싶은 게 있다면.
2집도 차츰차츰 준비 중이다. 아까 래퍼는 자기 얘기를 너무 많이 하면 안 된다고 말했는데, 이제는 내 얘기를 할 때가 된 것 같다. 감정과 정서는 사이드 디시로 녹이고, 메인으로 스월비라는 사람이 누구고 신유빈은 누구인가에 대해 호기심을 많이 풀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리고 아직 궁금한 사운드가 너무 많다. 많이 듣고 많이 배워서 녹이고 싶다.

음악 외에도 패션에 대해 굉장히 관심이 많아 보인다. 실제로 가사에서도 많은 브랜드를 언급하는데.
옷을 좋아하고 욕심을 가진 것도 열두 살 즈음인 것 같다. 근데 욕심 때문에 지출 금액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건 열아홉. 그전까지는 가진 돈도 없었고 내가 스스로 만들어보려고도 해서 크게 부담이 안됐다 치면, 열아홉부터는 이러다가 굶어 죽겠다 싶었다.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이 음악에 영향을 끼친 사례가 있을까.
별로 좋아하는 영감은 아니지만, 은근히 가게에서 옷을 입어보고 사기 직전에 ‘아, 이 옷 입고 이런 얘기 하면 진짜 멋있겠는데’에서 비롯된 트랙은 많다. ‘Trapped in the drum’가 그런 경우다. 언더커버(Undercover) 브랜드의 2003년 스캡 컬렉션을 보고 친구가 멋있는 미래 사냥꾼 같다는 말을 한 적이 있는데, 머릿속에 오케스트라 사운드가 막 들리기 시작하더라.

개인적으로 힘든 시기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2019년~2020년 힘든 시기를 해소하는 <Undercover Angel>로 새로운 커리어 전기를 열었다고 평가된다. 앨범을 통해 스월비가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메레디스 브룩스(Meredith Brooks)의 ‘Bitch’의 후반부 가사인 ‘I’m your angel undercover’를 인용해서 이름을 정했지만, 그게 사실 누군가가 위장한 천사가 되어줘서 위로받은 것도 아니고, 누군가에게 위장한 천사가 됨으로써 위로받는 것도 아니다. 뭔가 천사라는 존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선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리스 로마신화의 헤르메스같이 하늘의 뜻을 ‘전해주는 사람’이기도 하지 않나. 사실 처음에는 ‘Undercover Hermes’라고 하려 했는데, 그러면 그냥 옷 얘기만 늘어놓은 트랩 앨범처럼 보일까 봐 바꿨다. 그리고 사라 맥라클란(Sarah MacLachlan)의 ‘Angel’도 있으니까.

처음에는 ‘나는 위장해 있지만 너희한테 알려줄 거다. 사람들에게 나는 내 뜻을 전할 거고, 대한민국에 이런 음악을 하는 루키가 있다.’ 이런 의미가 강했다. 지금은 처절함이라는 정서가 핵심이다. 이렇게 우울하고 죽고 싶고 처절해도 괜찮다는 뜻을 전하고 싶다.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다가도, 사랑하는 사람들이랑 있으면 ‘파랑’처럼 파랗고, ‘Yaya2’처럼 별이 빛난다고 말하고, 마지막 ‘Did it like I did (Remix)’에서 가장 완벽하고 나다운 모습으로 돌아가듯 말이다.

인터뷰 : 김도헌, 김성엽, 김성욱, 임동엽, 장준환
정리 : 장준환
촬영 : 임동엽
편집 : 김성엽, 김성욱, 정다열, 정수민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스월비(Swervy) ‘Undercover Angel’ (2020)

평가: 3.5/5

누군가의 사적인 일기를 엿본 듯하다. ‘위장한 천사’라는 명명처럼, 사회가 구축한 시스템의 성역에서 벗어나 한껏 꾸며진 가식의 날개를 벗어던지고 인간계에 스며든 < Undercover Angel >은 내면에 끓어오르는 쾌락주의의 단면을 가감 없이 휘갈긴다. 위험천만한 상상조차 손글씨의 형상으로 실현되는 곳. 2001년생 십 대 래퍼의 다이어리에는 덕지덕지 붙은 스티커와 마스킹 테이프, 그리고 선혈이 낭자한 잔혹동화가 가득하다.

하이라이트 입단 후 발매한 2019년 싱글 ‘Art gang money’는 기성 질서에 대항하는 요소를 역동적으로 콜라주하며 ‘쾌락을 추구하는 청년 문화’를 총집합한 인상을 남긴 곡이었다. 본 앨범은 이러한 분열적인 캐릭터성을 주축으로, 흐트러뜨린 조각을 작품 단위로 확장하고 갈무리한다. 포문을 여는 첫 트랙 ‘Alibi’는 그 계획을 암시하는 완벽한 소개문이다. 마치 이야기를 들려주듯 또박또박 진행되는 박자, 포스터 더 피플(Foster the People)의 ‘Pumped up kicks’가 연상되는 의미심장한 가사는 입체적인 구조를 통해 청자에게 적극적인 체험을 유도한다.

언더그라운드 시절부터 합을 맞춰온 프로듀서 수이(SUI)가 전 트랙을 맡은 덕에, 마치 한 아티스트가 작업한 듯한 조화로움을 보인다. 한영을 능란하게 오가며 순도 높은 적의를 분출하는 ‘Did it like I did’와 어머니에게 바치는 헌사인 ‘Mama lisa’가 그 예시로, 비교적 차분해진 기조 가운데 웅얼거리는 발성은 고딕풍의 신비주의로 둔갑하고, 완급에 따라 쉬운 선율과 실험적인 면이 매끄럽게 오가는 프로듀싱 역시 몰입을 강조하는 촉매로 작용한다.

사무치는 기타 사운드가 점차 뒤틀리는 ‘Trappend in the drum’, 위화감을 부여하는 신시사이저 사이로 통렬한 래핑을 펼치는 ‘Gomp’, 반대로 순수한 동화세계가 떠오르는 ‘Yaya2’가 이어진다. 스월비는 그를 형성하는 다형의 밝고 어두운 인격체를 등장시키며 감정을 구석까지 전부 쏟아붓는다. 본작을 일기에 비유한 것도, 이 작품이 지닌 자극적인 변덕과 갈망 역시 ‘해소’의 인상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마침내 치기 어린 성장통과 갈등을 토해낸 스월비는 캡틴락의 능란한 기타 연주를 덧댄 쾌청한 록 넘버 ‘파랑’에 도달하는데, 로킹한 무드 아래 파멸적으로 폭발하는 곡은 여운 있는 마무리로 이 작품이 스월비 본인의 명확한 성장 징표임을 증명한다.

개성파를 표방하는 많은 래퍼가 난잡한 패션과 온갖 기믹, 콘셉트를 도구로 일차원적 브라가도시오(Braggadocio)를 남용하는 시대다. 초창기 < Yaya Tape > 시절의 스월비는 이러한 몰개성의 바다에 잠식한 이들과 크게 다를 바 없었지만, 탁월한 랩 스킬과 넘치는 상상력의 초점을 온전히 자신의 테두리로 겨냥한 < Undercover Angel >을 통해 독자적인 구심점을 구축하고, 동시에 ‘쇼미더머니’ 편집의 희생양으로 국한될 위치의 래퍼가 아님을 증명한다.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이 오묘한 경계성을 걸친 앨범이 힙합 신의 새로운 물꼬를 틀 것만 같다.

– 수록곡 –
1. Alibi 
2. Did it like I did
3. 천수경 (Skit)
4. Mama lisa 
5. 왜 이래 (Feat. Paloalto)
6. Trapped in the Drum (Feat. JUSTHIS)
7. Funs & money
8. Gomp
9. Yaya2 (Feat. SUI)
10. 파랑 (Feat. 캡틴락 of 크라잉넛) 
11. Did it like i did (Rem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