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2021 올해의 팝 싱글

2020년대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지도 어느덧 1년, 작년과도 또 한 번 첨예하게 달라진 문화와 취향은 음악사의 새로운 지면을 장식한다. 그 어느 때보다도 수많은 장르가 범람하고 개성이 대두되는 다양성의 시대. 신인과 고참의 뚜렷한 자기 피력이 전투적으로 부딪히고 교차하는 2021년의 팝 싱글 10곡을 선정한다. 글의 순서는 순위와 무관하다.

실크 소닉(Silk Sonic) ‘Leave the door open’

기대하긴 했지만, 이 정도로 제대로일 줄이야! 1970년대 소울에 새 숨결을 불어 넣기 위해 뭉친 브루노 마스와 앤더슨 팩의 합동 작전은 그 시작인 ‘Leave the door open’에서부터 빈티지의 영광스러운 부활을 선포했다. 둘이 태어나기도 십 년도 더 전에 위세를 떨치던 스타일이다. 그런데 그 시절 명작을 빼다 박은 듯 매력적이다. 도처가 노스탤지어다. 은은하고도 후텁지근한 장르 특유의 무드와 감미로운 백 보컬, 거친 톤을 구사하면서도 저절로 어깨춤을 추게 하는 앤더슨 팩의 목소리, 미성과 시원한 고음을 오가며 예쁘게 수놓은 브루노 마스의 고감도 후렴구까지. 기대를 상찬으로 맞바꾼 단연 올해 최고의 콜라보다.

깊이 있는 브로디 브라운(Brody Brown)의 베이스 라인과 1970년대 초 필리 소울에 뿌리내리고 있는 담백한 스트링을 비롯한 수준 높은 세션도 근사하지만, 그 앞의 친근한 노랫말이 무엇보다 재미다. 흑인 음악 특유의, 그리고 기본 토대라 할 수 있는 관능의 매력에 충실한 섹스어필이 웃음을 유발할 정도로 노골적이고 능글맞은 언사로 새겨지는데 이게 도리어 무장을 해제시킨다. 달콤한 멜로디만큼이나 그들이 만끽한 성공의 맛 역시 달았다. 브루노 마스의 여덟 번째, 앤더슨 팩의 첫 번째 빌보드 넘버원 곡. (이홍현)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Driver’s license’

틴아이돌 배우 출신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데뷔곡이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2003년에 태어난 이 10대 소녀는 가식 없는 가창력으로 또래와 기성세대 모두를 감동시켰고 감정선을 자극하는 솔직함은 노래를 살렸다. 두려움 없는 사랑이 깨졌을 때 겪는 젊은이의 자기 파괴적인 심정과 어쩔 줄 몰라 하는 혼란스런 모습조차 감추지 않았다.

스타라는 이미지로 가려진 본래 모습을 솔직하게 드러낸 이 신인은 개인적인 분노와 회한, 아픈 추억을 예술로 승화하며 자신을 하이틴 스타에서 아티스트로 끌어올렸다. 누구나 겪는 이별의 슬픔을 과감하게 표현한 ‘Driver’s license’는 2021년의 ‘실연 송’. 아름답고 순수하고 재능 있는 올리비아 로드리고에게 상처를 준 조슈아 바셋이 밉다. (소승근)

방탄소년단(BTS) ‘Permission to dance’

가볍지만 통렬한 선포다. ‘Butter’로 빌보드 1위를 차지하며 모두의 주목을 받은 가운데, 이에 대한 소감으로 가져온 행보는 다름 아닌 춤에 대한 갈망이었으니. 유례없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서로 간의 교류가 단단히 걸어잠긴 상황 속 BTS가 마련한 것은 각종 결핍에 시달리는 현 세대를 위한 ‘내적 댄스’의 창구였다.

작금의 BTS 신화는 단순 차트의 지표나 기록만으로 설명이 불가능하다. 숫자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이면에 존재하는, 전세계를 활보하며 젊음의 소리를 대변하고 대중에게 긍정적 흐름을 전파하는 문화 동맥의 역할을 놓치기 쉽기 때문. 그런 의미에서 사회가 미처 챙기지 못한 개개인의 움직임 욕구를 부드럽고 면밀하게 채워준 산뜻한 혈류 ‘Permission to dance’는 팝스타가 지닐 수 있는 좋은 영향의 사례로 남을 것이다. (장준환)

더 키드 라로이, 저스틴 비버(The Kid Laroi, Justin Bieber) ‘Stay’

더 키드 라로이, 저스틴 비버의 ‘Stay’가 ‘Butter’와 ‘Permission to dance’로 빌보드 HOT 100에서 10주 연속 1위를 달리던 BTS를 막았다. < Justice >와 타이틀곡 ‘Peaches’로 한차례 정상을 찍었던 저스틴 비버는 자신의 어린 시절이 겹쳐 보였는지 9살 어린 새 시대의 호주 뮤지션과 의기투합해 현시대 가장 핫한 뮤지션을 꺾은 것이다.

비속어 섞어가며 내게 머물기를 바라는 가사와는 다르게 속도감 있는 전개는 모두 비키라는 듯 쉴새 없이 달려 나간다. 기타를 제거한 펑크(Punk)같이 반복-간결-짧은 노래는 빠른 유행과 숏폼(Short-form) 콘텐츠를 선호하는 Z세대를 취향 저격하며 두 번이나 차트 재등정에 성공한다. ‘Stay’, ‘Butter’, ‘Mood’ 등 3분 미만의 곡들이 유행한 올해를 대표하는 곡. (임동엽)

존 메이어(John Mayer) ‘Last train home’

2018년 발매한 신보의 첫 예고편 ‘New light’부터 유추할 수 있었다. 명실상부 현시대의 기타 히어로 존 메이어가 거듭 영감의 원천을 고백한다. 토토의 메가 히트곡 ‘Africa’를 오마주한 ‘마지막 열차’의 행선지는 1980년대 소프트 록. 팝 가수와 블루스 기타리스트의 경계를 넘나들며 어느덧 불혹의 나이를 넘긴 그는 자신의 유년시절 흘러나왔던 곡을 소환해 선배 그룹과 동시대 아티스트들에게 경의를 표했다.

노스탤지어로 주조한 결과물은 탄탄한 지원군을 갖춘다. 향수를 자극하는 신시사이저와 퍼커션 사운드는 토토와 합주 경험이 있는 키보디스트 그레그 필린게이즈와 퍼커셔니스트 레니 카스트로가 담당하고 컨트리 가수 마렌 모리스의 백업 보컬로 풍성함을 더했다. 재현의 미학은 공간감을 머금고 깨끗이 압축된 기타 사운드가 느긋한 보컬과 자연스레 포개지며 완성된다. 여유를 두른 40대의 존 메이어가 1980년대에 보내는 격조 높은 찬사다. 에릭 클랩튼의 바통을 이어받은 ‘뉴 슬로우핸드’는 바위 밑에 묻어 두었던 테이프를 되감아 모던 클래식 록 넘버를 탄생시켰다. (김성욱)

릴 나스 엑스(Lil Nas X) ‘Industry baby’

카우보이모자를 쓰고 컨트리 랩을 하던 2년 전 루키가 어느덧 힙합 신을 주도하는, 그리고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신흥 메시아로 거듭나고 있다. ‘Old town road’의 유례없는 흥행에도 원 히트 원더에 그칠 거라는 항간의 의견은 이제 무색할 뿐. 커밍아웃을 기점으로 과감한 행보를 이어나간 릴 나스 엑스의 미래는 역사의 뒤안길이 아닌 개척자의 천명(天命)에 가까워 보인다.

무기는 화제성이지만 그 총알은 명료함이다. 카니예 웨스트의 손길이 닿은 수려한 멜로디 메이킹과 중저음 톤을 살린 캐치한 훅이 빛을 발했다. 도발적인 뮤직비디오와 당당한 충격으로 무장한 ‘Industry baby’가 대중을 현혹하여 빌보드 정상에 오른 것은 한 개인이, 혹은 한 곡이 거대한 외압을 타파하고 인정받는 순간일테니, 과연 올해를 대표할 팝 랩의 모범적인 효시 중 하나다. (장준환)

시저(SZA) ‘Good days’

불안이 잠식한 세상에 스며든 고결한 위로의 속삭임. 팬데믹이란 생소했던 단어가 익숙해질 만큼 일상엔 끝이 보이지 않는 공포가 서려 있다. ‘좋은 날’이란 흔한 말이 쉽게 꺼내지 못하는 안부가 된 지금, 희망은 우연히 우리를 찾아왔고 그곳엔 시저의 음성이 흐르고 있었다. 그는 운명을 깨달은 듯 묵혀둔 멜로디로 급작스럽게 성소(聖所)를 마련했고 직접 기수가 되어 지친 이들을 위한 성가를 선창했다. 곡의 제목은 ‘Good days’. 정확히 2020년 크리스마스에 외친, 내일을 가로막은 벽을 허물 함성의 시작이었다.

신비로울 만큼 영적이다. 어쿠스틱 기타의 선율과 대비되는 전자음의 조화로 탄생한 몽환적 공간엔 걱정 하나 존재하지 않는다. 물감이 퍼져나가듯 잔잔하게 빈자리를 물들이는 목소리가 동행자인 제이콥 콜리어와 함께 청자의 굳어있던 상처를 치유하며 안식으로 안내한다. 그렇게 고통의 종식이란 모두의 염원은 물결을 타고 ‘Good days’를 시저의 빌보드 핫 100 최고 기록인 9위까지 이끌며 감응한다. 발매한 지 1년. 이 지독한 나날은 아직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지만, 마음에 좋은 날을 품고서 빛을 기다린다는 차분한 노랫말이 인도하는 결과는 분명하다. 시련을 견뎌내고 결국 행복을 찾은 욥과 같이. (손기호)

걸 인 레드(Girl In Red) ‘Serotonin’

올해 차트를 수놓은 또래 뮤지션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걸 인 레드 역시 Z세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싱어송라이터다. 첫 싱글 ‘I wanna be your girlfriend’의 히트로 ‘걸 인 레드 음악 들어?’라는 질문이 퀴어 식별에 사용된 덕분. 그의 음악적 질료는 현재 겪고 있는 생생한 고민과 경험이며 돌려말하는 법 없이 노골적인 가사가 인기 비결이다.

‘Serotonin’에서도 자신이 앓고 있는 강박증인 침투적 사고에 대해서 털어놓았다. 정신질환은 사회에서 터부시하는 주제지만 걸 인 레드는 솔직한 고백으로 코로나 블루와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가장 많이 겪고 있는 Z세대와 상호 연결고리를 마련했다. 다만 우울한 정서의 곡들이 뱉어내는 끈적한 감정과 멜로디는 모두 들어냈다. 산발적으로 내뱉는 건조한 래핑과 청량한 기타 리프는 부정적인 감정을 씻어내듯 경쾌하다. 불안과 우울의 시대에 어른으로 성장하고 있는 이들을 위한 듣는 ‘행복 호르몬’이다. (정수민)

울프 앨리스(Wolf Alice) ‘Smile’

1990년대 그런지 밴드들을 소환하는 파괴적인 기타 소리에 1980년대 신스팝 시대의 신시사이저 음색을 접붙인다. 30초간의 오마주는 보컬 엘리 로셀의 랩 혹은 주문으로 현대성을 껴안고 그가 내뱉는 단어들은 감정에 관한 직설화법이다. 지루할 새 없이 몰아치는 다이나믹스. 폭발성이 웅크린 개러지 록이란 측면에서 정규 2집 < Visions Of A Life >의 ‘Yuk foo’와 닮았다.

가끔은 남들의 시선 따윈 집어치우고 마음 가는 대로 살고 싶다. 감정, 성격, 취향. 자아를 이루는 모든 부면에서 당당해질 것을 주창하며 타인의 그 영역을 침범할 경우 성난 늑대처럼 으르렁댄다. 그러나 분노 표출만이 곡의 전부는 아니다. 후렴구에 들어서면 찰랑거리는 기타 스트로크로 경계심을 거두고 ‘길을 잃은 영혼들이 술집에 모인다’라며 연대를 강조한다. 내면의 투영부터 타인의 포용까지 짧은 곡에 너른 내용을 담아냈다. (염동교)

핑크 스웨츠(Pink Sweat$) ‘At my worst’

종종 해외보다 국내에서 더 많은 사랑을 받는 팝송이 튀어나올 때가 있다. 2021년 상반기를 은은한 핑크빛 구름으로 감싸는 ‘At my worst’가 그 주인공이다. 다소 늦은 나이로 데뷔, 적은 작품 수라는 불리한 조건임에도 한국이 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확실하다. 프로그램 < 윤스테이 >의 배경음악, 켈라니의 피처링 버전 그리고 BTS 정국의 커버 영상. 이 3가지가 작년에 발매한 곡을 힘껏 견인한 요인이다.

올해도 이전과 별반 다름없는 삶이었다. 건조하고 말라버린 세상에 핑크 스웨츠가 생동감을 불어넣는 방식은 간단하다. 단순 멜로디와 ‘최악의 상황에도 널 위해 뭐든지 하겠다’라는 달짝지근한 맹세는 여전히 따스한 위로를 필요로 하는 이들의 마음을 차분히 채워 나갔다. 자장가처럼 말랑하게 스며들어 대중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한 정타. 이것이 힐링의 기본 공식 아닐까. (임선희)

Categories
Album POP Album

케이티 페리(Katy Perry) ‘Smile’ (2020)

평가: 2.5/5

2019년 5월, 싱글 ‘Never really over’가 공개되었을 때만 해도 일각에서는 2010년대 초반의 팝스타 케이티 페리가 부활할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맴돌았다. 제드와의 협업으로 주조한 신스팝은 전작과 대비되는 초창기 활동의 활력적인 메모리가 담겨 있었고, 심지어 경쾌한 댄스곡 ‘Daisies’와 ‘Smile’이 차례로 발매되면서 이러한 주장에 박차를 가한 것이다. 실제로 3년 만의 복귀작인 < Smile >은 직관적인 팝 사운드의 향연으로, < Prism >에서 선보인 대중적인 작법을 가져와 차트를 호령하던 시절의 위엄을 일시적으로 재현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여러 악재 가운데서 발매된 < Witness >가 혼란과 불안에서 비롯된 자기성찰과 실험성이 중심이 되는 작품임을 고려하면 < Smile >이 취하고 있는 가볍고 쉬운 프로듀싱은 올랜도 블룸과의 결혼과 딸 출산 소식 등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그의 환경과 합리적인 인과임을 알 수 있다. 다만, 동기가 결과로 직결되지 않듯 사운드를 제외한 앨범은 낙천적 기조와 부정적 단면이 혼재된 이중성을 지닌다. < Prism >의 인스트루멘탈 위에 < Witness >의 가사가 올려진 형태랄까. 스마일이란 문구와 한껏 꾸며진 광대 분장을 한 채 슬픈 표정을 짓고 있는 케이티 페리의 모습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곡은 대체로 두 갈래로 나뉜다. ‘Fireworks’의 후예 정도로 각성과 감사를 찬미하는 희망찬 팝 트랙, 그리고 애인과의 관계와 침체기로부터의 극복과 같이 개인사를 토로하는 트랙이다. 선공개된 싱글과 더불어 앨범에 수록된 전자의 경우 케이티 페리 특유의 긍정적인 성격과 보컬 소화력이 합쳐지기에 보증수표 같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Tucked’와 같은 곡이 뇌리에 남는 이유도 그렇다. 무던한 훅과 드라이빙을 연상하는 업비트 멜로디는 조금 상투적이지만, 유별난 에너지가 니즈에 부합하니 기대에 상응하는 청취감을 부여한다.

걸리는 지점은 후자다. 전술한 양면성 때문에 노래의 의도나 중심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아 감상을 방해하는 트랙의 수가 많다. ‘눈물이 글썽거리는 눈으로 계속 춤을 춰’라는 가사에 동적인 댄스 비트를 엉성하게 풀칠한 ‘Teary eyes’와 트랩의 고조 이후 스팀(Steam)의 ‘Na na hey hey kiss him goodbye’의 정겨운 멜로디가 난데없이 튀어나오는 ‘Not the end of the world’, 잔잔한 어쿠스틱 도입부와 소량의 전자 기타로 여운 있는 마무리를 장식하다가도 갑작스러운 EDM을 난입하며 산통을 깨트리는 ‘What makes a woman’이 그 예시다.

물론 몇몇 문제점을 제외하면 수록곡 대부분이 무난한 편이지만, 확실한 킬링 트랙 또한 부재하다. 무엇보다 앨범 전반에 깔린 ‘팝 노선을 택했으나 즐기지 못하고, 진지하자니 다소 익살스러운’ 태도가 애매한 부조화를 낳는다. 차라리 독립 싱글로 발매된 절절한 발라드 ‘Never worn white’가 그가 거쳐온 오랜 시간과 성숙해진 모습을 훌륭하게 피력하고 있으니. 작금의 케이티 페리에게 필요한 건 < Teenage Dream > 시절의 시원한 성량을 내지르며 막연한 사랑을 꿈꾸는 악동 신인으로의 회귀가 아닌 본인의 장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일관된 논지로 밀어붙일 수 있는 선배로서의 기지와 기개가 아닐까.

– 수록곡 –
1. Never really over
2. Cry about it later
3. Teary eyes
4. Daisies 
5. Resilient
6. Not the end of the world
7. Smile 
8. Champagne problems
9. Tucked 
10. Harleys in Hawaii
11. Only love
12. What makes a wo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