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칠린(ICHILLIN’) ‘Draw’ (2022)

평가: 3/5

2021년에 데뷔한 7인조 걸그룹 아이칠린(ICHILLIN’)의 미니멀한 댄스팝이다. 선율감을 도드라지게 하는 전통적인 방법 대신 사운드에 다양한 변화를 주고, 화성과 함께 연주했을 때 긴장감을 주는 소리를 곡에 적절하게 배치하며 간간한 재미를 준다. 또한 멤버 중 일부가 직접 작사에 참여하여 이 팀이 단순히 콘셉트 소화력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인 가능성 또한 함께 있다는 것을 어필한다.

최근 K팝 신에서 유행한 스타일의 비트 위에 무난한 보컬을 얹은 모양새다. 이에 얼마간의 기시감이 들려 할 때 비교적 색다른 편곡과 의도한 긴장감으로 흥미를 끄는 전략이다. 멤버들의 개성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나 전반적인 만듦새가 괜찮아서 팀의 긍정적인 미래를 상상하게 한다. 이제는 ‘칠린(Chillin)’할 만한 분위기와 더불어 단번에 귀에 감기는 선명함이 필요한 시점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미미로즈(mimiirose) ‘Rose’ (2022)

평가: 2.5/5

대척점에 선 두 스타일을 교배한 꽃내음이 묘하다. 발라드 가수 임창정이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신인 K팝 걸그룹 미미로즈. 정박자로 떨어지는 하우스에 기반해 별다른 변주 없이 담백한 짜임새를 갖췄고, 오리엔탈 풍의 현을 튕기며 드리운 이국적 분위기로 불모지에 피어난 붉은 장미를 꿈꾼다.

그 형상은 아직 꽃망울에 가깝다. 베테랑 발라더의 디렉팅이 더해진 만큼 이들의 승부처는 보컬 역량에 있지만 음역대, 스킬, 리듬감 모두 곡의 뒤에서 소극적으로 발휘되고 있다. 제작자가 본인의 히트곡 ‘소주 한 잔’ 저작권까지 포기해가며 양성한 후배들이란 소식에도 음악만으론 그 희생의 크기를 가늠하기 힘들다. 자신은 있을지언정 확신까지 하기엔 위험부담이 큰 시대, 꽃잎을 필요 이상으로 오므렸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이창섭 ‘Surrender’ (2022)

평가: 3/5

세 번째 정규앨범 < Be Together >로 복귀를 마친 비투비가 솔로 활동에 힘을 싣는다. 래퍼 이민혁이 스타트를 끊었고 이번엔 보컬 이창섭이 바톤을 이어받았다. 미니 앨범 < Mark >와 각종 OST에서의 발라드 가수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위켄드의 ‘Blinding lights’로 익숙한 신스웨이브를 사용했다. 새로운 모습을 담은 싱글 ‘Surrender’는 뮤지컬과 각종 방송 무대를 오가며 활약해온 목소리의 범용성을 시험한다.

도전은 성공적이다. 이전에 선보인 적 없었던 사운드를 이질감 없이 소화해내며 다양한 장르에서의 활약 가능성을 입증했다. 부드러운 목소리와 적절한 감정선으로 준수한 결과물을 완성했지만 개성은 부재한다. 일렉트로닉에 기반을 둔 사운드로써 중요한 요소인 인스투르먼트(Instrument) 자체의 매력이 떨어지는 탓에 더 확실하게 이목을 끌만한 무기를 갖지 못한다. 장르적인 특성을 활용하지 못한 채 사용하는 악기만을 공유한 데에 그치는 음악은 위켄드, 두아 리파 등의 훌륭한 신스웨이브 선두 주자들이 넘치는 시점에서 설득력이 부족하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최유리 ‘숲’ (2022)

평가: 3/5

‘푸념’이란 곡으로 2019년 제30회 유재하 음악 경연 대회 대상을 받은 싱어송라이터 최유리는 다섯 장의 미니 앨범으로 경력을 다져왔다. 차분한 음색과 노랫말은 위안으로 다가오고 인디 록, 포크를 기반으로 다채로운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숲’, 과 ‘바다’ 두 곡으로 삶과 사람을 자연에 비유한 싱글 앨범 < 유영 >은 올해 5월에 나온 EP < 욕심의 반대편으로 >처럼 성찰이 묻어나온다.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 위주의 담담한 곡 전개가 마음의 안식을 품는다. 나무, 숲, 바다를 소재로 한 시적인 노랫말은 사람을 향한 사랑과 포용을 담았고 이는 아티스트 이전의 인간 최유리를 고백한다. ‘길을 터 놓을게, 나를 베어도 돼 / 날 밀어내지마, 날 네게 둬’에 성숙과 두려움이 공존하고 ‘나는 내가 보여, 난 항상 나를 봐’로 자아를 두드린다. 이 곡에 이어지는 ‘바다’는 보다 직접적으로 인간애를 이미지화했다.

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오지 오스본(Ozzy Osbourne) ‘Degradation rules (Feat. Tony Iommi) (2022)

평가: 2.5/5

세월의 격세지감 따위 오지 오스본 앞에서 기를 펼 수 없다. 9월 9일 발매될 2년 만의 새 음반 < Patient Number 9 >의 선공개 싱글인 이 곡은 무리 없이 오지 오스본의 건재함을 알린다. 그뿐만 아니다. 1970년대 그때 그 시절을 ‘블랙 사바스’란 이름으로 함께 풍미한 기타리스트 토니 아이오미도 그와 손을 잡았다. 그룹 활동 외에 처음 시도한 협업임에도 시침은 녹슬지 않고 되레 탄력을 높여 사운드를 내뱉는다.

토니 아이오미의 전매특허 속주와 까끌까끌하지만 시원한 질감을 내뱉는 하모니카 그리고 무엇보다 오지 오스본이 보컬이 매끈하게 뒤엉킨다. 4분간의 쾌청한 메탈 뜀박질. 머지않아 문을 열 신보, 눈여겨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