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Album

알엠(RM) ‘Indigo'(2022)

평가: 3.5/5

말하고자 하는 욕망과 전하고자 하는 욕심이 가득하다. 2022년 방탄소년단의 단체 활동 중단 선언 이후 내놓은 리더 RM의 정규 음반 < Indigo >에는 인간 김남준의 생각과 사고가 빼곡하게 적혀있다. 팝스타로서 느끼는 외로움과 불안함 혹은 평온한 일상의 필요성과 타인에게 전하는 위로가 동시에 교차하는 식이다. 지난 솔로작 < Mono. > 역시 직접 가사를 쓰며 ‘나’를 적극 드러냈지만 이번 음반만큼의 ‘듣는 맛’은 부족했다. 전작이 모노톤의 단조로운 사운드를 바탕으로 감정을 토해냈다면 신보는 적소에 록, 일렉트로닉, 포크 등을 배치해 듣는 즐거움을 높였다.

이 같은 장르의 다양성은 ‘Still life’, ‘건망증’, ‘들꽃놀이’와 같은 트랙에서 빛을 발한다. 펑키한 힙합곡 ‘Still life’는 클랩 사운드, 관악기 등을 밀도 있게 배합해 ’94 livin’ in 한남대로 91 look at my 탄탄대로 / 갈 일이 없어 이젠 강남대로 월세 밀린 넌 빨리 당장 방 빼고’ 노래하며 스웨그 넘치는 삶을 그린다. 어쿠스틱 기타 반주 위에 포근한 멜로디를 얹은 ‘건망증’은 자칫 건조할 수 있는 노래에 맑고 청아한 뮤지션 김사월의 보컬과 따뜻한 가사를 엮어 매력을 높이고, 빌보드 싱글 차트 83위까지 오른 록 트랙 ‘들꽃놀이’는 힘 있는 곡 전개로 작품의 중심을 단단히 묶어낸다.

여러 장르를 끌어왔지만 핵심은 치우치지 않았다는 사실에 있다. 앞서 언급한 < Mono. >를 비롯한 RM의 이전 작품과 슈가(Agust D), 제이홉이 발표한 솔로 음반 등이 강렬한 음악적 이미지 제공에 일차적 목표를 뒀다면 신보는 음악 청취의 난이도를 낮추고 ‘이지 리스닝’을 대표 키워드로 내세운다. 그 결과 현재의 상념을 표현한 작품의 메시지가 생생히 귀에 걸린다. 해외 팬들을 고려한 듯 영어 가사로 전반을 채색한 ‘Closer’가 전형적인 팝송의 부드러움을 따라가고, 날카로운 전자음이 부서지는 ‘Change pt.2’가 다소 이질적 인상을 전하기는 하나 이를 상쇄할 대중성이 이 음반엔 있다.

월드 스타로 자리매김한 이후 방탄소년단의 음악적 행보는 ‘대중 지향적’이었다. ‘Dynamite’, ‘Butter’, ‘Permission to dance’, ‘Yet to come’ 등 근래 그들의 히트곡은 분명 쉬웠고, 편했으나 음악적으로 평이했다. RM의 이번 음반은 쉽고, 편함 사이 적절한 음악성까지 겸비한다. 정신없이 바쁜(‘Hectic’) 삶 속에서 호텔에 혼자 떠 있는 것 같은 외로움(‘Lonely’)을 견디며 살아가는 이 시대 대표 팝스타가 전하는 이야기가 좋은 음악 위 쉬운 선율을 타고 전해진다.

“No lookin’ back, no / 이젠 니가 널 지켜줄 거야”

끝 곡 ‘No.2’의 뒤돌아보지 말고 뮤지션인 ‘내’가 아닌 ‘너’ 스스로가 자신을 지켜줄 것이라는 외침까지 작품엔 선명한 위로가 스친다. 조타를 쥐고 움직일 줄 아는 뮤지션 RM의 현재를 매끄럽게 녹이며 그가 지닌 음악성, 대중 감각을 증명했다.

– 수록곡 –
1. Yun(with Erykah Badu)
2. Still Life (with Anderson .Paak)
3. All Day (with Tablo)
4. 건망증 (with 김사월)
5. Closer (with Paul Blanco, Mahalia)
6. Change pt.2
7. Lonely
8. Hectic (with Colde)
9. 들꽃놀이 (with 조유진)
10. No.2 (with 박지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바밍 타이거(Balming Tiger) ‘섹시느낌’ (Feat. RM of BTS) (2022)

평가: 3.5/5

2018년 믹스테이프 < Balming Tiger vol​.​1: 虎媄304 >로 핀 작은 불씨는 싱글 ‘I’m sick’을 거쳐 88라이징에게 선택받은 ‘Armadillo’의 뮤직비디오로 걷잡을 수 없이 번졌고, 바밍 타이거란 기묘한 예술가 집단의 흔적이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짙게 태워졌다. 전작 이후 1년 6개월여 만에 온전한 단체로서 발표한 ‘섹시느낌’은 잠시 멈춰있던 그들이 지핀 또 다른 발화점이며 방향은 여전히 세계로 뻗어있다.

묵직한 베이스와 드럼의 일정한 반복을 중심으로 기이하게 변형되는 실험적인 비트를 낮게 지배하는 비제이 원진(bj wnjn)의 훅 파트와 오메가 사피엔의 랩으로 잠식한다. 패드처럼 작동하는 둘의 목소리로 통일된 몽환적 분위기가 자아내는 긴장 속으로 방탄소년단의 알엠 역시 어려운 트랙 공식을 능숙하게 풀어내며 조화롭게 스며든다. 다만 머드 더 스튜던트는 곡의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맞지 않은 옷을 입은 듯 불편하다.

글로벌 스타의 참여로 초기 화제를 일으킨 것은 분명하나 데뷔 때부터 다져온 바밍 타이거의 고유한 예술적 영역이 마침내 취향의 틀을 허물고 양지로 나아간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방탄소년단(BTS) ‘Butter’ (2021)

평가: 3/5

지난해 ‘Dynamite’로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3번이나 차지한 이들이 새 싱글 ‘Butter’로 또 한 번 칼을 갈았다. 외수시장을 공략하려는 전략은 영어로 적은 가사에서 한번, 걸릴 것 없이 안전한 멜로디에서 또 한 번 드러난다. ‘Dynamite’와 같이 펑키함을 살리고 선명한 선율로 모든 연령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접근을 취해 누구나 방탄소년단의 노래를 즐길 수 있게 했다.

팬데믹 상황을 잊게 할 에너지 넘치는 썸머 송이란 설명처럼 노래는 그야말로 경쾌하고 그야말로 청량하다. 간결한 드럼 비트로 문을 열어 퀸의 ‘Another one bites the dust’과 쉭(chic)의 ‘Good times’를 연상케 하는 베이스라인을 얹고 사이사이 신시사이저를 짙게 채색해 즐기기 좋은 멜로디를 만들었다. 마이클 잭슨의 ‘Smooth criminal’, ‘Man in the mirror’, 등의 가사를 조금씩 비틀어 아는 사람만 알 수 있는 가사의 맛을 살린 접근은 또 어떤가. 살짝 감춰둔 재치 있는 은유는 명백히 해외 시장을, 나아가 윗세대 어른들의 취향까지 노린다.

뮤직비디오를 공개함과 동시에 390만 명의 유튜브 최다 동시 접속자를 만들어내고 24시간 만에 이룬 1억 820만이란 누적 조회 수는 이들의 전략이 이번에도 세계를 호령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기세 좋은 성과가 균열 없이 안전한, 모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요소 속에서 쓰였음은 노래를 해석하는데 한 면에서의 제동을 건다. 3분이 채 되지 않는, 밝고 맑은 소재로 그려낸 긍정적인 치얼 업 송. 이들의 군더더기 없는 퍼포먼스가 곡의 가치를 풍부하게 살린 것은 맞지만 보편타당함을 지향하는 지금의 방향이 어딘가 노래의 힘이 풀리게 한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이언(eAeon) ‘Fragile’ (2021)

평가: 3.5/5

이이언은 시간의 흐름에 솔직했다. 밴드 못(Mot)의 8년 공백을 깬 복귀작 < 재의 기술 >이 5인 체제의 확장된 편성으로 새로운 단상을 기획했듯, 그리고 < Guilt-Free >와 < Realize >가 각각 차가운 일렉트로닉과 따뜻한 어쿠스틱의 온도차를 가져왔듯 맹목적인 스타일 고수보다는 시대에 적격인 방식으로 여유롭게 형상을 바꿔오곤 했다. 물론 용기(容器)가 다르다고 본질 자체가 변한 것은 아니다. < Non-Linear >에서 정교하게 제시한 우울과 공허의 세계관은 앨범과 앨범 사이를 잇는 주축을 수행하며 오늘날까지도 정체성의 기반으로 단단히 자리하고 있다.

9년 만의 솔로 앨범인 정규 2집 < Fragile > 역시 이전과 동일하게 ‘죄책감’을 다룬 1집에 이어 비슷한 인간의 고질적 약점인 ‘연약함’을 소환하고 특유의 부연 잔향으로 분절된 악기 사이의 여백을 채운다. 다만 차이 면에서는 긴 공백만큼이나 간극이 드러난다. 우선 주된 어법은 트렌드를 적극 위시한 대중적 터치다. 이러한 선택은 최근 여러 유튜브 플레이리스트의 세례를 받은 언니네이발관 출신 이능룡과의 2인조 그룹 나이트오프 활동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모던 록이나 트립 합, 일렉트로니카 등 당시 관심사에 따라 여러 작법을 오가던 유동적인 행보를 고려한다면 합리적인 결과물일 것이다.

방탄소년단의 RM이 참여한 첫 트랙 ‘그러지 마’는 그 양상을 집약한다. 무한히 늘어지는 전자음과 보컬 아래 격한 몰입을 유도하던 ‘Bulletproof’와는 달리 일반적인 팝의 문법이라 보아도 손색없는 보편적인 멜로디와 느릿하고도 익숙한 트랩 리듬, 그리고 한결 담백해진 창법이 자리를 대체한다. 음산한 피아노 도입부의 ‘Null’과 동화 속 기괴한 판타지아를 호출하는 ‘Mad tea party’는 비주류적 요소를 피력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에서 취하던 섬뜩한 전달법에 비하면 충분히 용인될 수준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성공적인 편입이다. 타 아티스트와 활발한 교류를 거친 이 세 곡은 우수한 합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앞으로의 시장 가능성을 해금한다는 의의를 가져온다.

다만 사운드 샘플 자체의 강도를 낮추고 진입 장벽을 낮추려는 대중성 지향의 일환 가운데 그를 상징하던 자기 침잠의 정서는 그저 나른한 무게감 정도로 순화된다. 여기서 장단점이 극명히 나뉜다. 최면을 거는 듯한 몽롱한 신시사이저 중심의 ‘어쩌면’과 ‘우리 함께 길을 잃어요’는 기존 팬층이 환호하던 모던 록 특유의 키치하고도 암울한 감성을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유약한 보컬과의 탁월한 시너지로 드림 팝의 푹신한 심상을 제공한다. 간단한 스타카토 발성의 ‘그냥’과 ‘세상이 끝나려고해’의 훅을 오마주한 간결한 라임으로 곡을 이끌어 나가는 ‘바이바이 나의 아이’는 독특한 박자감의 ‘5 in 4’나 ’11 over 8’에서 나타나던 실험적 태도와 거리가 멀지만 복잡한 카타르시스보다 쉽고 캐치한 각인을 유도한다.

점층적 멜로디와 일렉트로닉 사운드의 변칙성이 낳는 쾌감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 Guilt-Free >에 비해 < Fragile >에 사용된 탐구 정신은 분명 덜하다. 다만 개개 트랙이 지닌 수려한 완성도는 물론, 사운드스케이프와 소재의 안락한 일체감은 비록 정체성 약화라는 명확한 핸디캡을 수반하더라도 팝적 작법을 택한 가치를 증명한다. 결국 앨범은 지금껏 다져온 세계관이 또 한 번 현 시류의 알고리즘과 영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도전이자 대답으로 보인다. 그리고 여기서 유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사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이이언은 그저 솔직하다는 것이다.

– 수록곡 –
1. 그러지 마(Feat. RM)
2. 그냥 
3. 바이바이 나의 아이
4. Null (Feat. Jclef) 
5. 많은 밤을 지나
6. 어쩌면
7. Btfl mind
8. 왜일까
9. Mad tea party (Feat. Swervy) 
10. 우리 함께 길을 잃어요 

11. 언제까지나 우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