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레드벨벳(Red Velvet)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2022)

평가: 2.5/5

2019년 말 < ‘The ReVe Festival’ Finale >의 성공 이후 자체 이슈로 홍역을 치른 레드벨벳은 지난 해 < Queendom >으로 정면 돌파를 감행한다. 허나 재도약의 발판으로 꺼내든 카드는 팀의 존속 여부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는 데 그칠 뿐 왕관 탈환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독특한 콘셉트와 실험적인 사운드가 결핍된 평범한 왕국은 다채롭게 쌓아 올린 디스코그래피 속 미미한 존재감만을 남겼다.

전열을 가다듬어 다시 한번 페스티벌을 개최한 이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안고 과거의 영광을 꿈꾼다. 먼지 쌓인 전원 스위치를 올리자 관객을 반기는 건 EDM 트랩 비트 위로 흐르는 클래식 선율. ‘G 선상의 아리아’를 차용한 ‘Feel my rhythm’은 수백 년 전 명화들을 오마주한 뮤직비디오까지 선보이며 시공간을 넘나든다.

바흐의 원곡 구절을 그대로 가져와 타이틀 곡 전면에 내세운 시도는 상반된 시각을 낳는다. 우선 무난한 작법의 틀 안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 분투했음은 분명하다. 동시에 나머지 요소들을 전부 빨아들이는 블랙홀로도 작용한다. 곡을 관통하는 파격 샘플링 앞에 촘촘히 쌓아 올린 하모니는 잠시 이목을 끌다가도 다시금 주도권을 내주고 만다.

축제의 실상은 뜨거운 오뉴월의 정열보다 푸르른 봄의 피크닉에 가깝다. 색소폰 터치가 돋보이는 댄스 팝 넘버 ‘Rainbow halo’는 신록의 계절을, AOR(Adult-oriented rock)풍의 ‘Bamboleo’는 광활한 평원을 그려낸다. 다소 건조하게 다가오는 알앤비 넘버 ‘Beg for me’와 ‘Good, bad, ugly’ 역시 동일한 계절감을 벗어나지 않고 일관성을 갖춘다.

‘In my dreams’는 페스티벌의 대미를 수려하게 장식한다. 음역대의 높낮이를 부드럽게 매만진 목소리의 조화가 공간감을 형성하고 꿈결처럼 포근한 여운을 남긴다. 새롭게 제시한 낯선 세계의 대한 거리감은 고유한 보컬 시너지로 일부 상쇄된다.

레드벨벳은 야심 차게 승부수를 띄웠다. 3년 전 끝맺었던 놀이공원 테마를 다시 끌어오되 서양 고전의 풍경을 바탕 삼아 설계도를 그려 새 방법론과 지속가능성 사이 절충안을 내밀었다. 그럼에도 양날의 검이 되어 개성을 도려낸 접붙이기는 내실보다도 단지 스포트라이트를 독차지할 근사한 간판에 목적이 있는지 의문점을 남긴다. 카니발의 주인공이 되어야 할 멤버들의 자체 콘텐츠가 주최 측의 부푼 홍보 전략에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수록곡-
1. Feel my rhythm
2. Rainbow halo 
3. Beg for me
4. Bamboleo
5. Good, bad, ugly
6. In my dreams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레드벨벳 ‘Queendom’ (2021)

평가: 2.5/5

오랜 기다림이었다. 레드벨벳은 2019년 연말 ‘Psycho’로 최고의 히트곡을 만들어냈으나 거듭된 난항을 겪으며 1년 8개월이라는 긴 공백을 보냈다. 하지만 본디 그들의 계절이라 할 수 있는 여름을 복귀 시점으로 택하며 ‘빨간 맛’, ‘Power up’, ‘음파음파’로 이어져 왔던 흥행 가도를 잇고자 한다. < Queendom >은 어느덧 데뷔 7주년을 맞은 레드벨벳의 컴백을 화려하게 알리는 축제의 의미를 표현함과 동시에 타이틀곡을 중심으로 여름의 향취를 품으며 익숙한 반가움을 더했다.

‘레드’와 ‘벨벳’으로 구분되는 변화무쌍한 콘셉트와 독특한 사운드의 흐름이 지금까지의 레드벨벳을 이끌어 온 원동력이었다면 ‘Queendom’은 철저하게 곡이 함의하는 메시지와 감성에 초점을 둔다. ‘다시 한번 시작해볼까’ 같은 식의 가사는 현재의 레드벨벳이 맞이한 국면과 동일한 맥락을 취하며 새로운 시작을 향해 나아가는 그들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았다. 웬디의 시원한 고음 코러스를 필두로 멤버들의 하모니가 벅차오르는 감성을 더하며 곡의 감정선을 풍부하게 만든다.

가사에 담긴 의미와 음악의 매력적인 요인은 별개로 작용한다. 늦여름과 어울리는 무난한 댄스 팝 장르의 곡이지만 레드벨벳이 7년간 시도해 온 다채로운 사운드와 과감한 실험들과는 가장 동떨어져 있다. 그룹 특유의 청량함과 ‘Ladida-do Ba-badida’라는 주문을 외는 캐치한 후렴구로 강조점을 두었지만 모호한 콘셉트의 곡과 시너지를 이루지 않고, 멜로디 전반에 깔린 밋밋한 인상 또한 상쇄시키지 못한다.

유니크한 콘셉트와 그에 적합한 수록곡들로 탄탄한 유기성을 구현했던 기존 앨범들에 반해 이번 앨범의 수록곡들은 무난한 만듦새를 취했으나 인상적인 트랙이 부재하다. 저물어가는 여름날의 잔상을 흩뿌린 발라드 ‘다시, 여름’과 톡톡 튀는 신시사이저 리듬이 돋보인 ‘Knock on wood’는 그룹의 익숙한 스타일과 맞닿아 있어 새롭게 들리지 않는다. 에스닉한 사운드를 기반으로 다이내믹한 변주를 그린 ‘Pose’, 아이린과 슬기의 유닛을 떠올리게 하며 매혹을 떨군 ‘Better be’만이 임팩트를 남기며 아쉬움을 달랜다.

< Queendom >은 약 2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레드벨벳을 그리워했을 대중에게 반갑게 다가가는 음반으로서는 성공적이나 어떠한 콘셉트를 소화하더라도 늘 주체적인 개성을 발휘하던 그룹의 기량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음악에 대한 기대감을 상실케 한다. 모두가 자신의 인생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앞세워 힘찬 응원가의 분위기를 형성했지만 정작 앨범의 주인공이어야 할 이들의 정체성은 흐릿하다. 무던한 완성도와 안전함을 추구한 작품은 레드벨벳이 공고히 쌓아온 독특한 세계관과 매력적인 사운드를 모두 담기 벅차다.

– 수록곡 –
1. Queendom
2. Pose
3. Knock on wood
4. Better be
5. Pushin’ n pullin’
6. 다시, 여름 (Hello, sunset)

Categories
Feature 한동윤의 러브 앤 어택

아이린이 일깨운 아이돌 인성 함양 중요성

지난달 걸 그룹 레드벨벳의 아이린이 대중의 도마 위에 올랐다. 모 스타일리스트가 자신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에 한 연예인으로부터 갑질을 당했다는 글을 올린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다.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글 말미에 레드벨벳의 히트곡 ‘Psycho’, 아이린과 슬기가 유닛으로 냈던 ‘Monster’를 해시태그로 달아서 네티즌들은 문제의 인물이 아이린임을 금방 유추해 낼 수 있었다. 얼마 뒤 아이린과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는 SNS에 사과문을 게재하며 갑질 의혹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아이린이 당사자를 만나서 사과했다고 하나 후폭풍이 만만찮은 상황이다. 최초 폭로 글이 게시된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 곳곳에 아이린의 평소 태도가 좋지 않았다는 연예계 종사자들의 말이 다수 올라왔다. 물론 이런 글들은 익명으로 작성됐기에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 어쩌면 악감정을 지닌 안티 팬이 허위로 쓴 글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15년 동안 업계에 몸담으면서 별별 사람을 경험했다는 스타일리스트가 “철저하게 밟히고 당하는”, “지옥 같은 20여 분”, “혀로 날리는 칼침” 등의 격한 표현을 써 가며 아이린이 모욕적인 언행을 했다고 밝힌 터라 아이린을 향한 대중의 시선은 이미 많이 냉랭해진 상태다. 그룹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치니 탈퇴해야 한다는 팬들의 목소리도 거셌다. 근래 갑질을 견디다 못한 근로자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기사가 왕왕 보도돼 갑질이 공분을 사는 상황에서 아이린이 또 한 번 뇌관을 건드렸다.

이번 일을 거울삼아 아이돌 그룹을 제작하는 기획사들은 소속 가수들의 인성 교육을 더욱 신경 써야 할 듯하다. 아이돌은 성공에 도취되기 쉽다. 스타 대열에 들면 가는 곳마다 극렬한 환호가 터지며, 많은 팬에게 선물도 받는다. 공연이나 방송 출연을 앞둔 때에는 여러 사람이 옆에서 이런저런 것들을 살피고 챙겨 준다. 항상 극진한 대접이 따르니 이를 당연하게 여긴 나머지 우월감에 사로잡힐 가능성이 크다. 그 생각에 자기도 모르게 잠식되면 어느 순간 안하무인격 행동이 나오고 만다. 그릇된 행실은 개인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그룹과 회사에 불이익을 안긴다. 기획사는 느닷없는 손해를 막을 목적에서라도 소속 가수들의 올바른 성품 함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실 소속사는 아이돌 가수에게 직장 이상의 역할을 해 줘야 하는 곳이다. 많은 아이돌 가수가 대체로 중학생, 빠르면 초등학생 때부터 기획사에 들어가 연습생 생활을 시작한다. 숙식은 회사가 마련한 숙소에서 해결하고, 춤과 노래 실력을 연마하느라 상당 시간을 연습실에서 지낸다. 이렇게 집과 학교에서 멀리 떨어져 사는 기간이 평균 3년에서 5년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소속사는 어른, 선생의 입장에서 사회화가 활발히 진행되는 시기에 놓인 연습생들, 어린 가수들이 바람직한 행동 양식과 도덕적으로 건강한 가치관을 익힐 수 있도록 면밀히 지도해야 한다.

어떤 행동의 강도는 대체로 경험이 축적될수록 높아진다. 스타일리스트가 겪었다는 날카로운 하대는 그날 처음 완성된 것이 아니라 반복의 과정을 통해 에너지와 숙련도를 쌓은 결과일 테다. 따라서 남을 업신여기는 아이린의 좋지 않은 모습은 이전에도 여러 번 있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매니저는 아이린이 다른 스태프에게 모질게 구는 광경을 목격했을지도 모른다. 그럴 때 매니저는 잘못을 지적하고 반성할 수 있게끔 했어야 했다. 매니저의 임무는 아티스트를 보호하고 수발을 드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가장 기본적인 업무는 소속 아티스트의 ‘전반적인 관리’다. 기획사들은 이번 일로 매니저의 소임에 대해서도 재고해 봐야 할 듯하다.

한편에는 아이린을 변호할 사유도 존재한다. 아이린 같은 아이돌 톱스타들은 빡빡한 스케줄에 쫓기기 일쑤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날이 허다해서 피로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 몸은 천근만근임에도 아이돌이라서 항상 밝고 명랑한 모습을 보여 줘야 하니 정신적으로도 힘들다. 몸과 마음이 고달픈 상태가 계속되면 신경질적인 행동이 나타나곤 한다. 아이린도 심신이 지쳐 있는데 일에 대한 긴장감과 압박감까지 겹쳐 히스테리를 부렸을 수 있다. 이 같은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기획사는 무리한 스케줄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소속 아티스트가 전문가에게 주기적으로, 꾸준히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소속사의 교육과 지원만큼 개인의 마음가짐도 중요하다. 큰 인기를 누리는 아이돌 가수들은 지금의 성공이 오로지 자신의 힘으로 이룬 것이 아님을 인지해야 한다. 본인이 돋보이는 존재가 될 수 있었던 바탕에는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안무가, 댄서 등 여러 관계자의 노고가 언제나 함께 자리한다. 스태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고, 그들을 소중한 동료로서 존중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마땅하다. 이런 자세를 갖춰야 아이린처럼 어리석은 행동을 범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레드벨벳-아이린 & 슬기 ‘놀이 (Naughty)’ (2020)

평가: 3.5/5

조커가 배트맨을 향해 ‘너가 날 완성해!(You Complete Me!)’라 외치듯, 아이린과 슬기의 < Monster >도 ‘놀이’로 인해 완전해진다.

‘4 walls’ f(x)의 세련된 퓨처 하우스에 3년 전 태민과 슬기의 ‘Heart stop’에서 파트너를 바꾸고 템포를 높이며 ‘아슬’한 경계선을 넘나 든다. ‘Monster’가 < Perfect Velvet >부터 시작된 레드벨벳의 호러 콘셉트를 퍼포먼스로 확장했다면 ‘놀이’는 음악의 영역에서 그룹 및 소속사의 스타일을 가져와 충실하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곡은 ‘놀이’와 ‘Naughty’를 연결하는 언어 유희로 출발해 이를 차근차근 뒷받침해나간다. 강한 베이스 리듬 위 속도감 있는 진행에도 강약 조절이 잘 되어있고, 서로 주고받는 아이린과 슬기의 보컬은 타이틀 싱글보다 더 짙은 인상을 남긴다. 특히 하이라이트 부분 고혹적인 로우 톤 코러스는 간결하면서도 선 굵은 안정감을 들려준다. 매혹적인 텃팅 퍼포먼스도 놓칠 수 없다.

유닛 각인의 효과로만 보면 ‘Monster’의 선언에 무게감이 실리지만 ‘날 감당할 수 있겠니?’라 짓궂게 질문하며 따로 또 같이 다양한 테마로 변주되는 이 곡이 기획의 당위를 더 잘 설명한다. ‘놀이’는 향후 레드벨벳이 들려줄 더 많은 이야기들을 천진난만하게 예고하며, 그들 자신이 회사가 오랜 기간 공들여 유지해가는 ‘SM 스타일’의 적자임을 오싹한 무표정으로 선언한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레드벨벳-아이린 & 슬기 ‘Monster’ (2020)

팬덤의 지지를 현실로 불러낸 아이린 슬기 유닛은 SM 루키즈 시절 커버한 ‘Be natural’의 고혹으로부터 침대 밑 욕망이라는 이름의 괴물을 불러낸다. 불길한 피아노와 무겁게 깔린 베이스가 조성한 불균형의 공간 위 짓궂은 속삭임 같은 보컬 샘플이 짙은 연기를 틔우고, ‘하나의 조명 왜 그림자는 둘이야’라 노래하는 두 뮤즈는 서로를 응시하며 오묘한 감정을 눈 앞에 꺼내 보인다. 광포한 워블 베이스로 중반부터 끝까지 균열과 뒤틀림을 의도하는 것 역시 제목에 걸맞은 마무리다.

다만 충분히 파격적인 요소들을 모아뒀음에도 ‘Monster’가 의도만큼의 효과를 가져오는지는 의문이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구성임은 분명 하나 뒤집어보면 그만큼 각인될만한 요소가 부족하다고도 볼 수 있다.

아이린과 슬기의 보컬은 안정적이나 슬기의 ‘이 광기가 싫지 않아’ 파트처럼 돌출된 쾌감을 많이 주지 못하고, 멜로디 샘플로 대체된 훅은 곡 후반 파괴적인 소리가 들어가기 전까진 하이라이트가 아니라 브릿지처럼 느껴진다. 그렇다고 이 소리들이 풍성한 코러스와 트랩 비트, 스트링 세션을 짜임새 있게 정돈했던 ‘Psycho’처럼 치밀하게 놓여있는 것도 아니다.

앨범 수록곡과 비교하면 ‘Monster’는 더욱 아이린 슬기를 대표하는 곡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Be natural’과 5년 전 ‘Automatic’을 이어가는 ‘Diamond’부터 그룹 시절보다 아이린과 슬기 두 멤버만을 위해 보다 짙게 가공된 1990년대 힙합 소울이라 상당히 만족스럽다. 효

과적인 보컬 배치로 강약을 조절하며 가학적인 욕구를 짓궂게 노래하는 ‘Feel good’, 아리아나 그란데의 ‘The way’를 연상케 하는 피아노 연주 위 브라스 세션을 더해 달콤 쌉싸름한 보컬로 포장해낸 ‘Jelly’와 신비로운 알앤비 솔로 곡 ‘Uncover’ 모두 이 조합의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실패하기 어려운 기획일수록 불어나는 기대감에 발목을 잡히는 경우가 많다. 발매 전 콘셉트 포스터와 티저를 통해 유추했던 매혹의 이미지와 달리 앨범은 ‘Monster’의 충격을 선택했지만, 증강 현실과 단체 퍼포먼스로 구현해낸 괴물의 상을 제외하면 노래 자체만으로 유닛의 당위를 충분히 설명하진 못한다.

레드벨벳의 이름으로 나왔어도 크게 이질감이 없었을 터. 완성도는 준수하나 기획의 바탕이 됐던 키워드들을 앨범에 담겠다면 타이틀만큼은 무던함을 넘어 더 파격적이어야 했다. 시선은 7월 20일 후속 활동을 위해 베일에 감춰둔 ‘놀이’에 쏠린다.

– 수록곡 –
1. Monster
2. 놀이 (Naughty)
3. Diamond
4. Feel good
5. Jelly
6. Uncover (Sung by 슬기) (Bonus T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