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앤 마리, 에이치(Anne-Marie, Aitch) ‘Psycho’ (2022)

평가: 2.5/5

‘2002’로 한국인에게 가장 친근한 팝 가수가 되었지만 이 곡 하나로 앤 마리를 정의하긴 어렵다. 그는 알앤비와 UK 개러지에 뿌리를 둔 전자음악 그라임(Grime) 등 다양한 장르를 구사하며 팔색조 매력을 뽐내고 있다. 2021년에 발표한 2집 < Therapy >가 영국 앨범 차트 2위에 오르며 소포모어 징크스를 비껴갔지만 2022년의 첫 싱글 ‘I just called’는 대세 래퍼 라토와 스웨덴 전자음악 듀오 네이키드(Neiked)의 지원에도 신통치 못했다. 보다 힘을 준 신곡 ‘Psycho’로 반전을 꾀했고 현재 영국 싱글 차트 16위에 착륙했다.

반복되는 건반 리프에 트랩 비트를 가미한 이번 곡에서 특별한 감흥을 느끼기 어렵다. 랩과 노래 중간에 있는 톡 쏘는 창법으로 남녀상열지사를 다루지만 쾌감에 초점을 둔 사운드가 금세 휘발했다. 그라임에 두각을 보이는 신예 래퍼 에이치(Aitch)는 설 자리를 잃은 채 ‘Straight rhymez’에서의 존재감을 내비치지 못했다. 다재다능이 곡의 완성도와 직결되지 않음을 증명하며 쉽게 소비하고 쉽게 잊는 또 하나의 곡을 양산했다.

Categories
Editor's Choice

2021/09 Editor’s Choice

백예린(Yerin Baek) < 선물 >

유리알 같은 여린 감성으로 코팅한 위로의 선물.
추천곡 : ‘Antifreeze’, ‘왜? 날’, ‘돌아가자’

by 김성엽

펠리스 브라더스(The Felice Brothers) < From Dreams To Dust >

어쿠스틱 사운드에 담긴 개인적인 이야기들,  문을 열고 나서면 펼쳐지는 푸른 전원 풍경.
추천곡 : ‘All the way down’, ‘Jazz on the Autobahn’, ‘We shall live again’

by 염동교

양요섭 < Chocolate Box >

오랜 기억과 감정을 숙성해 만든 달콤 쌉싸름한 맛.
추천곡 : ‘Brain’, ‘척’, ‘꽃샘’

by 정수민

박혜진(Park Hye Jin) < Before I Die >

원초적 질료로 빚어낸 다면적인 하우스의 형상, 그리고 마주한 공허감.
추천곡 : ‘Where are you think’, ‘Sunday asap’, ‘Clouds’

by 김성욱

로우(Low) < Hey What >

고립된 폐허에서 잡아낸 희망의 주파수.
추천곡 : ‘White horses’, ‘All night’, ‘Hey’

by 장준환

김사월 < 드라이브 >

사월이 사월한 사월표 음악. 따뜻하고 아름답다.
추천곡 : ‘드라이브’, ‘레슬링’

by 박수진

Categories
Editor's Choice

2021/08 Editor’s Choice

메이지 피터스(Maisie Peters) < Volcano >

자꾸 생각나는 착한 팝, 맑은 목소리.
추천곡 : ‘Psycho’, ‘You signed up for this’

by 박수진

프렌치 키위 주스(FKJ) < Just Piano >

오직 건반으로 조경한 초록빛 숲과 녹색 테라피.
추천곡 : ‘Sundays’, ‘Pe’

by 김성욱

오핑(Offing) < Paradise Is Where We Are >

칙칙한 현실은 잔상과 이명이라는 얼트 록으로 치환이 가능하기에.
추천곡 : ‘Fish tank’, ‘론리 비치의 개들’

by 임선희

티나셰(Tinashe) < 333 >

보석 같은 선율로 매만진 다채로운 장르 혼합 파티. 티나셰 최고 작품이라 할 만하다.
추천곡 : ‘Last call’, ‘The chase’

by 이홍현

온앤오프(ONF) < Popping >

황금빛 햇살로 직조한 여름 찬가.
추천곡 : ‘여름 쏙 (Popping)’, ‘여름 시 (Summer poem)’

by 정수민

문선(MOONSUN) < Tom:貪 >

언어유희적 발상에서 시작된 톡톡 튀는 전자음의 변덕스러운 동태.
추천곡 : ‘Babe:배배’, ‘Time:타임’

by 김성엽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레드벨벳(Red Velvet) ‘Psycho'(2019)

평가: 3.5/5

‘짐살라빔’과 ‘음파음파’의 화려한 축제는 달콤 쌉싸름한 ‘Psycho’로 결말을 맺는다. < The Red >와 < Rookie >의 신비로운 동화 콘셉트와 ‘Bad boy’의 그루브를 조합해 비상식적일 수밖에 없는 사랑의 오묘함을 어색하지 않게 풀어낸다. 언뜻 건조하게 들렸던 ‘Bad boy’의 확실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크리스마스 시즌과 연말을 의식해 더욱 풍성한 베이스의 트랩 비트 위 멤버들의 코러스가 소리의 빈틈을 효과적으로 채운다. 파트 배분도 훨씬 자연스러운데 특히 곡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는 웬디와 후렴부 합창을 리드하는 슬기의 목소리가 만족스럽다.

좋은 곡이다. 훌륭한 선율, 흥미로운 테마, 그를 풀어내는 퍼포먼스 모두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다. 잠시 주춤할 때도 있지만,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더라도 결국 이와 같은 모범적인 노래를 만들어내며 끊임없이 가치를 증명해 보이는 것이 SM 시스템이다. 올 한 해 ‘The ReVe Festival’의 레드 벨벳도 그 경로를 그대로 밟았다. 돌이켜보면 ‘참 별나고 이상한 사이’였다. ‘짐살라빔’으로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음파음파’와 ‘Psycho’로 결국 ‘붙어 다니’게 되었으니.

*’SBS 가요대전’ 리허설 중 추락 사고를 당한 웬디의 쾌유를 빕니다.

(2019/12)


‘The ReVe Festival’ Day 1

평가: 2/5

어떻게든 단어만을 욱여넣으려는 전략만 있다.

‘The ReVe Festival’ Day 2

평가: 3.5/5

왜 ‘짐살라빔’을 낳고 또 ‘음파음파’를 낳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