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티나 터너, 용맹하게 살고 당당하게 떠나다

1939년 11월 26일 미국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2023년 5월 24일에 눈을 감은 티나 터너는 다큐멘터리 같은 삶을 살았다. 그의 인생은 단거리 선수의 속도로 달리는 마라톤이었고 그만큼 굴곡지고 극적이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전 남편과 함께했던 그룹 아이크 & 티나 터너의 시기는 영욕으로 점철된 시간이었다. 셀린 디온을 포함해 많은 가수들이 커버한 명곡 ‘River deep mountain high’와 씨씨알의 원곡을 소울로 환생시킨 ‘Proud Mary’만으로도 이 부부 듀엣의 음악적인 업적은 명징하다. 문제는 무대 밖이었다. 남편의 구타와 학대는 티나 터너를 옥좼고 주눅 들게 했다. 현생에서 기댈 곳이 없었던 그는 불교에 심취해 불교 신자가 됐다.

미국의 블루스 음악을 부활시킨 주인공이 1960년대에 활동했던 영국 뮤지션들이었던 것처럼 잊혀져 가던 티나 터너를 기억하고 그에게 도움과 용기를 준 사람들도 영국인들이었다. 롤링 스톤스의 보컬리스트 믹 재거와 데이비드 보위,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마크 노플러, 기타리스트 제프 벡, 신스팝 그룹 헤븐 17의 멤버 마틴 웨어와 그렉 월시 등이 티나 터너의 재집권 시나리오에 동참한 인물들. 그 결과물이 티나 터너가 44세였던 1984년에 발표한 명반 < Private Dancer >다. ‘Let’s stay together’,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Better me good to me’, ‘Show some respect’, ‘Private dancer’가 빌보드 싱글 차트 40위에 올랐고 넘버원 싱글 ‘What’s love got to do with it’은 그래미에서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최우수 여성 팝 보컬을 수상했다. ‘Better be good to me’는 최우수 여성 록 보컬 부문에 낙점됐다. 그래미 위원들은 힘든 시간을 인내하고 고난을 극복한 티나 터너에게 트로피를 몰아주며 그의 인간승리를 기념했다. 이때부터 사자 갈퀴 헤어스타일과 미니스커트는 티나 터너의 트레이드마크가 된다.

1970년대에 뮤지컬 영화 < Tommy >와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에 출연했던 경험을 살려 1985년에는 멜 깁슨과 함께 < 매드맥스 > 2편에 출연했고 1990년대에는 007 시리즈의 17번째 작품 < 골든아이 >의 주제곡도 불렀다. 1986년에 공개한 자서전 < I, Tina >를 스크린으로 옮긴 자전영화 <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은 흥행과 평단에서 모두 성공을 거뒀다. 자서전과 영화를 통해 대중은 전 남편 아이크 터너의 진짜 모습을 보았고 티나 터너에게 동정 어린 따뜻한 눈빛을 보냈다. 휘트니 휴스턴을 죽음으로 내몬 바비 브라운 이전에 아이크 터너가 그 ‘썩을 놈’의 원조로 등극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개인적인 불행은 끝나지 않았다. 2018년에 첫째 아들이 자살했고 2022년 12월에는 둘째 아들이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에게 남은 사람은 1986년에 처음 만나 2013년에 결혼한 EMI의 전 임원인 어윈 바흐였다. 결혼 전에 티나 터너가 건강이 안 좋았을 때 그에게서 신장을 이식받은 후에 그와의 결혼을 결심했다고 한다. 이것이 티나 터너의 진정한 결혼이었다. 결국 티나 터너는 남편을 따라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스위스에서 행복한 삶을 살다가 그곳에서 편히 눈을 감았다.

티나 터너의 인생은 마라톤이었다. 과정은 고통스러웠지만 결국 마지막에 영광의 월계관을 썼다. 2023년 5월 23일은 이 시대의 ‘로큰롤의 여왕’이 영면한 날이다.

Categories
Album POP Album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022)

평가: 4/5

켄드릭 라마의 불안은 우리의 불안이다. 성공한 아티스트로서의 특별한 그늘 대신 보통의 지질한 걱정으로 내면을 표현했기에 그와 우리의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진 까닭이다. 그의 흔들림을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그가 사회적 혼란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책임과 자유, 종교적 교리와 자아, 절제와 욕망 등 이분법적 선택을 강요받는 사회 속에 사는 모두는 이 사회처럼 그리고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처럼 불안하다.

앨범의 난해함을 뚫고 들어오는 공감의 정서는 우리가 이 다사다난한 인간 군상을 구성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악스러운 사랑 싸움으로 그려낸 ‘We cry together’의 후반부가 현대의 젠더 갈등을 암시한다. 욕설로 점철된 대화 끝에 서로를 향한 아쉬움을 집단 간의 대결 논리로 확산하다가 욕망으로 모든 분노를 삼킨 위태로운 관계를 지속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 이 곡은 함께 울기 때문에 씁쓸한 지금의 초상이다.

정치적 올바름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목소리와 선을 그으면서도 그들의 주장과 비슷한 이야기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끌어내는 모습이 흥미롭다. 뿌리 깊게 박힌 혐오 정서와 싸우는 내용의 ‘Auntie diaries’와 어머니에 관한 슬픈 이야기를 담은 ‘Mother I sober’는 켄드릭 라마의 개인적 트라우마를 발판 삼아 차별에 대한 입장 선회를 드러낸다. 사회 정의를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보다 개인적 선택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주장을 설하는 보통의 입장과 다소 구분된다.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의 결론은 명쾌하지 않다. 인위적인 매끈함 대신 자연스러운 불편함을 택했기 때문이다. 내면을 솔직하게 노출하다 보면 언젠간 이 흔들림의 균형추가 맞춰질 것임을 믿고 던지는 자신감이다. 다분히 힙합적인 이 태도는 메시지, 콘셉트 등 앨범의 각 요소를 화자의 세심한 의도 하에 있는 상태가 아닌 본능적으로 내던져진 모습으로 두게 한다. 이에 아티스트의 통제는 벗어났지만 심리적으로는 가수와 매우 가까워진 묘한 감성이 작품을 관통한다.

그는 구원자가 아닌 개인으로서의 삶을 선택한다. 정치적 올바름, 표현의 자유 같은 큰 담론과 트라우마, 불안 등의 개인적 서사 사이에서 줄을 타다 비교적 소소한 결론으로 모두를 바라본다. 흑인 커뮤니티의 영웅으로 불리든, 문제 많은 친구와 어울리는 그냥 랩 잘하는 랩퍼로 불리든 남들이 씌운 정체성과 상관없이 신념에 따라 행동하겠다는 의지다. 그가 블랙 메시아가 아니었다는 선언을 넘어 메시아는 원래 없다는 다소 오만한 주장을 넌지시 드러내는 모습에 눈이 간다. 켄드릭 라마의 개인주의자 선언이 갈등에 지친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가 될지, 고도로 꼬인 심리적 회피로 불릴지는 시간이 답할 것이다.

-수록곡-
1. United in grief 
2. N95
3. Worldwide steppers 
4. Die hard (Feat. Blxst, Amanda Reifer)
5. Father time (Feat. Sampha)
6. Rich (interlude)
7. Rich spirit
8. We cry together (Feat. Taylour Paige)
9. Purple hearts (Feat. Summer Walker, Ghostface Killah)
10. Count me out
11. Crown
12. Silent hill(Feat. Kodak Black)
13. Savior (interlude)
14. Savior (Feat. Baby Keem, Sam Dew) 
15. Auntie diaries
16. Mr. morale (Feat. Tanna Leone)
17. Mother I sober (Feat. Beth Gibbons)
18. Mirror

Categories
Album POP Album

레드 핫 칠리 페퍼스(Red Hot Chili Peppers) ‘Unlimited Love'(2022)

평가: 3.5/5

전성기를 함께 했던 기타리스트 존 프루시안테의 두 번째 복귀 소식은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지지자들을 열광하게 했다. 1983년 결성 이후 단 한 번도 뒷걸음친 적 없던 행보 중에서도 < Blood Sugar Sex Magik >, < Californication > 등 정점의 순간마다 그의 연주가 있었고 오랜 시간에 거쳐 완성한 질감은 너무도 고유해져 조쉬 클링호퍼와 같은 대체자의 활약에도 비집고 들어올 틈을 내어주지 않았다.

프로듀서 릭 루빈까지 가세한 12번째 정규 < Unlimited Love >에서 선 공개 싱글 ‘Black summer’를 필두로 오리지널리티 재현에 나선 그들은 펑크(Funk)를 기반으로 쌓아 올린 아스라한 탑의 정상에서 완전한 부활을 선언한다.

플리의 베이스가 중심이 되는 특유의 그루브는 묵직한 슬랩으로 포문을 여는 ‘Here ever after’로 되새겨진다. ‘Poster child’, ‘She’s a lover’에서 랩과 보컬을 오가며 박자를 타는 앤소니 키디스와 적재적소에 음을 짚어 존재를 드러내는 기타 리프까지. 지난 세월만큼 힘은 덜어냈지만 여전한 펑키 스타일을 선보이며 절제란 틀에 갇히지 않고 어느 때보다 자유롭게 서로의 손끝에 집중한다. 이는 대다수 곡에 자리하는 악기 솔로 파트에 녹아들어 청각적 쾌감을 제공한다.

꾸준한 도전으로 맺은 결실도 수확한다. ‘Aquatic mouth dance’에선 세련된 브라스 세션으로 재즈 색채를 덧칠하며 폭넓게 섭취한 장르의 결과물을 배출하고, 소리의 잔향이 몽환적인 ‘It’s only natural’과 전자음을 뼈대 세운 ‘Bastards of light’를 통해 전작 < The Gataway >의 유산도 잊지 않는다. 한편 ‘발라드 넘버 ‘Not the one’, ‘Veronica’로 캘리포니아의 나른한 여유마저 가져온다.

변함없는 모습에 반갑게 인사를 건네지만 다음을 이어갈 대화거리가 없다. ‘레드 핫’ 공식을 철저히 따르는 구성과 멜랑콜리 사운드에서 기인한 청취가 편안하여 오히려 각 트랙의 매력을 흐릿하게 해 뚜렷한 구분 없이 흘러가게 만든다. 과거 ‘Give it away’, ‘Dani California’처럼 확실하게 돋보이는 타이틀의 부재도 원인 중 하나. 빠른 속도와 캐치한 멜로디의 대중적 접근 ‘One way traffic’, 하드록에 가까운 ‘The heavy wing’으로 완급을 조절하지만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긴장이 느껴지지 않아 밋밋하다.

잔잔한 어쿠스틱 기타 위 웅장한 콰이어의 ‘Tangelo’로 마무리 짓는 < Unlimited Love >는 그럼에도 잘 갖춰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총괄 편이다. 트렌드를 거부하고 기량과 연륜으로 다진 17개의 고집스러운 만듦새는 시대에 부드럽게 안착,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로 데뷔하며 현세대 최고의 록 밴드임을 또다시 증명해낸다.

– 수록곡 –
1. Black summer
2. Here ever after
3. Aquatic mouth dance
4. Not the one
5. Poster child
6. The great apes
7. It’s only natural
8. She’s a lover
9. These are the ways
10. Whatchu thinkin’
11. Bastards of light
12. White braids & pillow chair
13. One way traffic
14. Veronica
15. Let ’em cry
16. The heavy wing
17. Tangelo

Categories
Album POP Album

켈라니(Kehlani) ‘Blue Water Road'(2022)

평가: 3.5/5

한 사람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어떤 식으로 넓혀가는지 그 과정을 지켜보는 건 흥미롭다.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알앤비 가수 켈라니의 내면 탐구 여정을 영화처럼 그려낸 < Blue Water Road >는 진지한 메시지가 묻어나는 솔직한 음반이다.

전작 < It Was Good Until It Wasn’t >이 육체적인 사랑에 집중했다면 이번 앨범은 그 사랑의 의미에 관해 묻는다. 죽음과 이별에 대한 고민을 담은 ‘Altar’, 불안을 승화하는 순간을 포착한 ‘wondering/wandering’ 등 밀도 있는 가사가 돋보인다. 켈라니는 한 팟캐스트에서 “다시 태어남(Re-birth)”이라고 표현할 정도의 큰 심정적, 영적 변화가 있었음을 밝혔다. 이를 증명하듯 고요한 사운드로 종교와 퀴어 등 진지한 주제들을 다루는 모습이 근사하다.

앨범 전반적으로 힙합 사운드 위에 간단한 멜로디를 얹은 모양새다. 네오 소울의 향취도 있으나 선율로 음악을 주도하는 대신 가사 전달과 리듬에 집중했다는 측면에서 힙합의 정서와 더 가깝다. 1990년대가 머릿속에 떠오르는 붐뱁 비트에 속도감 있는 보컬을 더한 ‘Wish I never’와 저스틴 비버가 피쳐링한 ‘Up at night’에서 안정감 있는 구조의 리듬과 짜임새 있는 연주 테크닉이 드러난다. 트렌디한 알앤비 보컬 스타일의 교과서 같은 전개다.

멜로디가 도드라지지 않아 각 트랙의 역동적인 재미는 부족하나 음반 전체의 서사가 촘촘하여 몰입감이 있다. 음악을 주도하는 사운드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완급 조절이 제 역할을 해낸 까닭이다. ‘Little story’, ‘Shooter interlude’, ‘Everything interlude’ 등 테마를 전환하며 감성을 환기하는 시도도 눈에 띈다. 한 곡씩 따로 들을 때보단 첫 트랙부터 마지막 트랙까지 한 번에 들었을 때 더 매력적인 작품이다.

만 16살의 나이에 오디션 프로그램 < 아메리카 갓 탤런트 시즌6 >에서 최종 4위의 성적을 거둔 밴드의 보컬로서 주목받은 이후로 독특한 캐릭터를 대중에게 고스란히 노출하고 있는 켈라니는 언제나 자신의 혼란을 음악으로 녹여낸다. 더 깊어진 감성으로 순수하게 제련된 사운드가 도드라지는 < Blue Water Road >도 내면의 제단 위에 불안을 올려놓은 이야기다. 앨범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 이 음반은 아티스트가 밟은 어떤 길에 대한 이야기다. 제단으로 가는 길이 전보다 가볍다.

– 수록곡 –
1. Little story
2. Any given sunday (Feat. Blxst)
3. Shooter interlude
4. Wish I never
5. Up at night (Feat. Justin Bieber)
6. Get me started (Feat. Syd)
7. Everything Interlude
8. More than I should (Feat. Jessie Reyez)
9. Altar
10. Melt
11. Tangerine
12. Everything
13. Wondering/wandering (Feat. Thundercat and Ambré)

Categories
Album POP Album

로살리아(Rosalía) ‘Motomami’ (2022)

평가: 4/5

단단한 오토바이 헬멧을 쓴 머리와 국소 부위만을 가린 나체의 몸이 이루는 대비가 곧 음악을 대변한다. 신보의 제목으로 바이크를 뜻하는 ‘Moto’와 어머니를 가리키는 ‘Mami’의 합성어를 내건 스페인 출신의 가수 로살리아는 섞이지 않을 것 같은 두 세계를 통합한다. 온갖 요소가 어우러진 혼돈 속의 아름다움이다.

끊임없이 몸을 뒤틀며 < Motomami >는 전작 < El Mal Querer >에 의해 이미 희미해진 고전과 현대의 경계를 완전히 파괴한다. 절반 가까이 아카펠라로 채운 플라멩코 ‘Bulerias’와 역동적인 레게톤 리듬에 ‘치킨 데리야키’를 훅으로 투척하는 ‘Chicken teriyaki’가 대표적이다. 전통과 트렌드, 자전적 이야기와 도발적인 언어, 차분함과 공격적인 태도가 혼재한 예측불가능한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기존의 관습은 자연스레 무너지고 만다.

다층적인 구조는 곡 단위로도 드러난다. 가냘픈 피아노에 일본 성인 만화를 키워드로 한 ‘Hentai’는 말미에 총격을 복제한 드럼 머신 사운드를 갑작스레 등장시켜 쾌락의 순간에 폭력의 역전극을 덧씌운다. 반대로 ‘Cuuuuuuuuuute’의 애절한 브릿지는 기계적인 비트 사이로 순간적인 인간성을 부여한다. 복잡한 전개 속 산만함의 여지를 차단하는 무기는 역시 목소리. 랩과 가창을 능수능란하게 오가는 보컬이 전반을 아우르며 다양한 스타일과 메시지를 질서 있게 묶어낸다.

첫 트랙 ‘Saoko’에서 선포한 거듭되는 변신과 탈피의 근거는 팝스타의 유한성을 쓸쓸하게 토로하며 음반을 매듭짓는 ‘Sakura’의 마지막에서 찾을 수 있다. 단서는 ‘모든 것을 파괴하기에 불은 아름답다’는 가사다. 일찌감치 끝을 직시한 젊은 아티스트는 망설이며 시간을 허비하는 대신 화려하게 타오르는 길을 선택한다. 계속되는 과감하고 실험적인 행보의 불씨가 바로 여기에 있다.

방향은 전진을 가리키지만 뿌리는 과거에 존재한다. ‘Motomami’, 유년기 친구들이 공유하던 이름이자 바이크를 타고 다니던 어머니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어다. 지난날의 추억은 아티스트의 철학이 되어 하나의 음반으로 귀결된다. 뒤돌아본 개인의 역사에 미래가 있었고, 이 둘을 연결 지으니 현재가 되었다. 더 이상의 수식어는 불필요하다. < Motomami >는 바로 지금 로살리아의 음악이다.

– 수록곡 –
1. Saoko
2. Candy
3. La fama (Feat. The Weeknd)
4. Bulerías
5. Chicken teriyaki
6. Hentai
7. Bizcochito
8. G3 n15
9. Motomami
10. Diablo
11. Delirio de grandeza
12. Cuuuuuuuuuute
13. Como un g
14. Abcdefg
15. La combi Versace (Feat. Tokischa)
16. Sak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