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POP Single Single

린킨 파크(Linkin Park) ‘She couldn’t’ (2020)

평가: 3.5/5

2000년대 초반을 살았던 록 팬으로서 마음이 움직일 수밖에 없는 곡이다. 2017년 세상을 떠난 체스터 베닝턴(Chester Bennington)의 목소리를 다시 들을 수 있는 것도 모자라, 그가 부르는 곡은 린킨 파크의 상징적인 데뷔앨범 < Hybrid Theory >에 수록하기 위해 녹음된 유명한 데모다. 곡 공개를 위해 밴드의 공식 홈페이지도 20년 전의 웹사이트처럼 모양을 바꿨었으니, 관객의 노스탈지어를 정확히 겨냥한 팬서비스다.

강렬한 기타 리프나 비교적 짧은 런닝 타임 등 다른 곡들을 정의하는 특징들과는 반대되는 발라드 격인 곡이지만, 린킨 파크의 정체성은 곡 속에 그대로 살아있다. 드럼 루프와 보컬 샘플을 적극 활용하는 면모는 누 메탈(Nu Metal) 장르를 적극적으로 탐험할 밴드의 방향성을, 가사에 담겨있는 서글픔과 그 속에서 ‘넌 혼자가 아니’라는 위로는 폭발적인 분노에서 공감과 위로를 향해 나아갈 밴드의 발걸음을 예견한다. 록 음악이 대중문화를 호령하던 시절은 이제 가버렸고, 린킨 파크 역시 과거의 영광에 영원히 사로잡혀있을 수는 없지만, < Hybrid Theory >의 20주년 앨범 발매를 앞둔 지금만큼은 추억에 젖을만하다.

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쥬스 월드(Juice Wrld) ‘Come & go (Feat. Marshmello)’ (2020)

평가: 3/5

그는 세상을 떠났지만, 음악은 이곳에 남았다. 첫 사후앨범에서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이 곡은, 현 시대의 록을 재정의하는 사명도 함께 겸하고 있는 듯하다. 기존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전반부에 균열을 일으키는 기타의 디스토션은 “록스타”가 한참 전부터 래퍼들과의 공동영역이 되었음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게스트로 참여한 마쉬멜로우의 비트와 맞물려 마치 한창 때의 린킨 파크를 듣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타이트한 전개 속 유유히 흐르는 래핑은 하나의 트랙을 어떻게 지배하는가에 대한 모범답안처럼 다가온다. 이와 같은 장점기반의 시도 속에서 그는 더 나은 삶을 살아야 한다 다짐하고 있지만, 결국 러닝타임이 끝난 후엔 이 가사만 맴돌 뿐.

“하지만 때때로, 난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되기도 해(But sometimes, I come out as bein’ not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