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무비즘] 주디

코로나 기세가 조금씩 저물자 삭막했던 극장가에 활력이 돌기 시작했다. 지구촌 곳곳에는 흥미로운 작품 소식들이 당차게 고개를 내미는 추세다. 이러한 스크린 흐름에 발맞춰 IZM이 무비(Movie)와 이즘(IZM)을 합한 특집 ‘무비즘’을 준비했다. 시대를 풍미했던 아티스트의 명예를 재건하고 이름을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매주 각 필자들이 음악가를 소재로 한 음악 영화를 선정해 소개한다. 여덟 번째는 너무 일찍 ‘Over the rainbow’로 떠난 주디 갈란드의 전기 영화 < 주디 >다.

무대 위에 서 있는 주디 갈란드를 사랑한다. 한없이 나약하고 한없이 강렬한 삶을 살다 떠난 주디 갈란드. 영화 < 주디 >는 47살의 이른 나이로 세상을 뜬 그의 마지막 1년을 다룬다. 5번의 결혼과 4번의 이혼. 뮤지컬 영화 < 오즈의 마법사 >의 ‘도로시’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지만 그 이면 가해진 소속사의 착취는 오랜 세월 주디의 발목을 잡았다. < 주디 >는 위태롭지만 강해 지려했던, 삶을 버텨내고자 했던 한 여성의 이야기다.

#1. 스타 탄생
회오리바람을 타고 오즈의 나라로 날아간 소녀 도로시. 1939년 전 세계에 선풍적 인기를 끈 < 오즈의 마법사 >는 주디 갈라드를 만인의 ‘이웃집 소녀’로 위치시킨다. 영화 속 도로시는 특유의 맑고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희망을 노래했지만 현실의 ‘도로시’는 반대의 상황에 살았다.

영화의 시작이 묘사하듯, 당시 그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스케줄과 강압적인 소속사(MGM)의 요구 아래 혹사당했다. 17살의 나이에 수면제와 각종 약물, 하루 80개비 이상의 담배에 손을 댄 것 역시 ‘어른들’의 계략 때문이었다. 마름을 강요 받고 외모 지적 및 비하 속 살던 어린 시절은 성인이 된 주디의 삶을 계속해서 뒤흔든다.

작품은 바로 그 어린시절과 1969년 생을 마감하기 직전의 어른이 된 주디의 모습을 교차해 보여준다. 즉, 소속사에서 방출되다시피 벗어난 뒤 1954년 자력으로 다시 한번 정산에 선 영화 < 스타 탄생 > 시절의 이야기는 다루지 않는다. ‘희’보다 ‘비’에 주목했다. 

#2. 무대

‘비’를 내세웠지만 작품에는 슬픔 이상의 감정이 번진다. 우여곡절 끝에 생애 마지막 런던 투어 길에 오른 그는 첫 번째 무대를 끝내고 말한다.

“다음엔 못 해내면 어쩌지”

무대에 오르기 전 항상 불안함과 두려움을 토했다. 마이크를 잡으면 변한다. 주디 갈란드로 분한 르네 젤위거는 영화 속 모든 무대를 직접 라이브로 소화했다. 그 덕에 여러 차례 등장하는 공연 장면은 생생하고 활기 넘치고 무엇보다 ‘희로애락’을 압축해 전달한다.

어린 시절 열연한 또 다른 뮤지컬 영화 < 세인트 루인스에서 만나요 >의 히트곡 ‘The Trolley Song’에서는 앙증맞은 춤사위를 뽐내고, 처연한 슬픔을 머금고 부르는 ‘Get Happy’는 행복에 닻을 내리지 못한 주디의 삶과 대비되며 마음을 울린다.

큰 장소의 변화 없이 무대, 그리고 런던 투어 중 머물던 호텔이 영화 속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그사이를 채우는 몇 차례의 공연은 주디의 삶을 집약해 확대한다. 무대 위의 그는 강하고 약했으며 청중을 휘어잡는 동시에 휘청거리며 존재했다.

#3. 희망 : 무지개 너머 어딘가

아이들을 양육할 경비와 파산 수준에 다다른 재정을 살피기 위해 선택한 런던 투어. 영화의 말미 이마저도 실패로 돌아간다. 약물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무대는 그에게서 멀어졌다. 주디 갈란드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진행한 공연의 마지막 날, 그는 위태롭던 정신을 부여잡고 무대에 오른다. 혼신의 힘을 다해 부른 노래는 ’Over the rainbow’였다. 그는 곡을 ‘희망에 관한 노래’라고 소개한다.

“뭔가가 이뤄지는 노래는 아니에요. 늘 꿈꾸던 어떤 곳을 향해 걸어가는 그런 얘기죠. 어쩌면 그렇게 걸어가는 게 우리 매일의 삶일지도 몰라요. 그렇게 걸어가는 게 결국은 전부죠.”

무대 위의 주디는 언제나 찬란하게 빛났다. 받은 사랑 이상의 굴곡진 인생을 살았지만 작품은 그럼에도 그가 피워낸 아름다운 노래들을 들여오고 맞서 싸운 강한 흔적들을 꺼내 삶을 다시 썼다. 절망 끝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았던 뮤지션 주디 갈란드.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데워주는 ‘Over the rainbow’가 회자하는 한 주디가 전한 감동의 음악들 역시 계속 살아 찬란한 희망을 전한다. 주디 갈란드를 잊을 수 없다.

– 영화에 사용된 음악 목록 –
1. By myself
2. Get happy (duet with Sam Smith)
3. For once in my life
4. Zing went the strings
5. You made me love you
6. Talk of the town
7. Come rain or come shine
8.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 (duet with Rufus Wainwright)
9. The trolley song
10. The man that got away
11. San Francisco
12. Over the rainb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