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우릴고트(OUREALGOAT) ‘않았을 텐데 (Feat. 피에이치원, 해쉬스완) (2023)

평가: 2/5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악착같이 일어나 성공을 갈망하던 아우릴고트를 기억한다면 이번 신곡이 어색할 것이다. 한껏 목을 긁으며 죽기 살기로 절규한 청년은 온데간데없고, 이별의 여운을 부드럽게 갈무리하는 싱잉 래퍼가 자리하고 있으니 말이다. 물론 이런 선택이 순간의 변덕은 아니다.

전작 ‘멍’을 비롯해 프로듀서 파테코의 ‘Night drive’ 등 그는 일찌감치 감정의 농도를 채우고 있었고, 어쿠스틱 소스에 기대 랩이 아닌 감미로운 멜로디를 노래하는 ‘않았을 텐데’에서 짙게 발현됐다. 다만 너무 훌륭하게 감성 힙합을 재현해낸 것일까? 곡 전체에서 같은 장르의 레퍼런스들이 선명히 빛을 발한다. 피에이치원을 지나 등장하는 해쉬스완의 지루한 파트도 흠. 듣기 편안한 음악임은 틀림없으나, 떠도는 성공 방식을 무작정 복제해 아티스트의 특색마저 가려버린 것은 아닌지.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아우릴고트 ‘죽을힘을 다하여’ (2021)

평가: 3.5/5

아우릴고트가 자리한 작은 공간엔 빛 하나 들어오지 않는다. 2020년 8월 첫 번째 정규 < 가족애를 품은 시인처럼 > 이후 6개월여 만에 발표하는 새 앨범 < 죽을힘을 다하여 >는 곰팡이 속에서 피어난 처절한 생존 일지이며, 적어 내려가는 그의 펜촉은 미세한 흔적도 허투루 하지 않기 위해 먼지 한 톨 털어낼 여유가 없다.

타인이 아닌 오로지 자신을 세상에 남기려는 투쟁은 현재진행형이다. 직관적인 제목 아래 어두운 트랩 비트 위 의도적으로 긁는 목소리가 늘어뜨리는 가사엔 목표를 두고 가장 밑바닥부터 기어오른 아우릴고트의 손톱자국이 그대로 새겨져 있다. 뚜렷하게 파트를 나누지 않고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주인공’을 시작으로 성공이란 단 하나의 이유가 더 깊게 앨범을 파고든다.

그런 점에서 아우릴고트의 승리 공식은 지극히 자기중심적이다. ‘현실의 벽은 안 피해 / 아직도 여전하게 난 깨’란 말처럼 그에게 현재는 탓할 대상이 아니며, 고난의 벽을 부수기 위한 유일한 주체는 ‘바닥에서부터’ ‘죽을힘을 다해’ 묵묵히 ‘행동’하는 그여야만 한다. 배고팠던 과거를 양분 삼아 쉬지 않고 달려왔기에 가능한 선언이다.

완벽하게 빚어내지 않고 음악으로써 작동하는 그의 문장은 운율을 살리기 위해 삭제 혹은 배열의 과정을 거친다. ‘계절 변했고 나이를 먹어’ ‘현실 인지 못 해 온통’ 등 조사의 생략과 ‘필요 없어 유치한 논쟁 / 바퀴를 굴려 없어 공백’의 도치법으로 리듬감을 다지며 이는 훅을 만들어내는 능력과도 연결된다. ‘한 번 사는 생’의 ‘하다 말아 죄다 컨셉 / 즈려밟고 가 난 벌레’를 비롯해 이어지는 2음절 혹은 3음절 단어를 단락 마지막에 배치하는 고전적인 작법은 아우릴고트 특유의 톤과 뭉개지는 발음과 어우러져 고유해진다.

앨범의 일관된 기조로 수록곡마다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다만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악착같이’에선 싱잉으로 후렴구를 표현하고, ‘시간은 금’의 불투명하게 전달하는 메시지와 더 거친 음색을 선보이는 ‘버프’ 등 다양한 방식과 호미들, 릴러말즈, 제네 더 질라, 이그니토란 수준 높은 참여진으로 신선도를 유지한다. 편곡을 넘어 믹싱과 마스터링까지 직접 주도한 아우릴고트의 프로듀싱이 돋보인다.

짧은 활동 기간이 믿기지 않는 필모그래피다. 목적에 대한 순수한 열망은 다작이란 노력으로 발현되며 그 결과물에 대한 설득력을 뒷받침하는 건 온전한 그의 재능이다. < 죽을힘을 다하여 >란 아우릴고트의 바른 몸가짐이 허황을 좇는 이들에게 귀감이 된다.

-수록곡-
1. 주인공
2. 진저리 (Feat. 릴러말즈, 제네 더 질라)
3. 바닥에서부터
4. 악착같이 (Feat. 호미들)
5. 처방책
6. 한 번 사는 생
7. 죽을힘을 다하여
8. 단독 (Feat. IGNITO (이그니토))
9. 무덤덤
10. 시간은 금
11. 행동
12. 버프 (Feat. Dbo (디보))
13. 목표로 빼곡한 공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