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엔믹스(NMIXX) ‘Roller coaster’ (2023)

평가: 1.5/5

엔믹스는 가수의 인기도와 음악의 완성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실천하는 그룹이다. 팀 이름도 알려졌고 각 멤버들의 인지도도 좋지만 이들의 노래들은 휘발성이다. 기억에 오래 남지도 않고 흥얼거리게 되지도 않는다. 믹스팝이라는 신조어에 함몰된 음악적인 실험 안에서 사람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일종의 리트머스 같은 그룹이다.

다행히 ‘Roller coaster’는 믹스팝이라는 허울에서 살짝 벗어나 있지만 빈약한 멜로디는 여전하다. 이것을 감추기 위해 리듬을 강조했고 여러 소리로 채웠으며 멤버들은 그 구간을 커버하려고 여섯 명의 똑같은 음색으로 보컬을 중첩한다. 그래서 어수선하고 피곤하다. 뛰어난 사운드 믹싱, 세련된 리듬, 들을만한 후크도 다듬지 않으면 듣기 불편하다. 대중이라는 뜻은 대다수의 사람이고 대중음악은 그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한다. 대중음악은 대중적이어야 한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엔믹스(NMIXX) ‘Expérgo’ (2023)

평가: 2/5

여러 음악을 다채롭게 섞은 ‘믹스팝’을 과감히 선보이며 변혁의 중심에 서고자 했던 엔믹스는 유례없을 혼란을 겪고 있다. 저조한 반응이 거듭되자 견고했던 확신이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한 이유다. 그런 시기에 등장한 미니 1집 < Expérgo >의 입장 표명은 높은 접근성과 안전 지향이다. 이 보 전진을 위한 일 보 후퇴. 보편과 타협하여 정체성의 농도를 대폭 줄인 뒤,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재고하는 단계인 셈이다.

정의 규정부터 시급했던 < Ad Mare >의 ‘O.O’는 시기상조의 결과물이었다. 첫인상이 워낙 깊게 자리 잡은 탓일까, 시원시원한 성량과 다양한 악기 소스를 저글링 하듯 가지고 놀며 역동적인 변주를 선보인 ‘Dice’는 우수한 퀄리티에도 그다지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일반적인 악곡에 프랑스 고전 동요 선율만을 소극적으로 각인한 ‘Young, dumb, stupid’의 등장 배경이 여기에 있다. 설명란에는 믹스팝의 연장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구조 자체를 과감하게 뒤흔들던 과거 모토에 비하면 지극히 평범한 수준이다.

모호한 포지셔닝은 결국 충돌을 빚는다. 대중적 노선은 취해야 하지만 동시에 ‘믹스팝’이라는 난해한 과제는 일부 수행해야 하기에, 일부러 순탄한 전개를 배치한 뒤 하이라이트 구간만 분위기를 급격히 바꿔 당위를 부여하려는 기조가 반복된다. 타이틀 ‘Love me like this’가 대표적이다. 긴박한 클랩 사운드 아래 전투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게 덧입힌 초반 연출과 달리, 갑작스런 후렴구의 낙하 이후에는 구절을 단순 반복하는 무의미한 도돌이 곡으로 바뀌고 만다. 섣부른 저음 난입으로 불협화음을 형성하는 ‘Just did it’의 경우도 비슷하다.

조금은 게으른 전략처럼 다가온다. 곡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순도 높은 고양감을 창출하고, 콘셉트가 뚜렷해 급격한 변주에도 흐름을 따라가기 어렵지 않았던 ‘Dice’의 사례가 있어 그 대비감은 더 크다. 결국 캐릭터성과는 별개로 보편적으로 듣기 좋은, 유려한 기승전결 아래 용수철처럼 마구 튀어 오르는 ‘Paxxword’와 멤버들의 음색이 파트별로 잘 드러나는 쉽고 편안한 팬송 ‘My gosh’에 손길이 가게 된다.

나름의 변화구를 던졌지만 < Expérgo >는 이전만큼 차별점을 제시하지도, 그렇다고 통쾌한 자구책을 제시하지도 못한다. 두 번의 맛보기와 피드백은 분명 스스로 돌아볼 지점을 던졌다. 다만 걸어온 행보를 부정하기보다는 엔믹스만의 특장점을 고려한 거시적 통찰과 고민을 통해 전진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야망가가 겪는 방황의 궤적은 길고 고통스럽지만, 먼 훗날 멀리서 바라볼 때 아름다운 화폭이 되기 마련이다.

– 수록곡 –
1. Young, dumb, stupid
2. Love me like this
3. Paxxword
4. Just did it
5. My gosh
6. Home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엔믹스(NMIXX) ‘Young, dumb, stupid’ (2023)

평가: 1.5/5

익숙한 노래를 사용해 믹스 팝이란 생소한 장르를 선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프랑스의 고전 동요 ‘Frère Jacques’에서 선율을 따왔다. 낯익은 장치로 초기의 관심은 단숨에 불러 모았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그 단순한 멜로디 탓에 흥미가 역으로 사그라든다. 선 굵은 저음의 신시사이저만이 허공에서 허우적거리며 열심히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O.O’, ‘Dice’ 같은 곡에 비하면 전체적인 흐름은 자연스럽다.

트와이스, 있지 이후 JYP 엔터테인먼트에서 나온 4세대 걸그룹으로 팀명에서 보이는 것처럼 ‘음악을 이것저것 섞는 것’이 주요 콘셉트다. 낯설은 스타일로 혁신적인 작법을 선보이고 있으며, K팝의 새 시대에서 선구적인 위치에 서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선함보다는 신기함이 가득하다. ‘Young, dumb, stupid’도 마찬가지다. 후렴으로는 듣는 이의 동심(童心)을 끌어냈지만, 음악적 매력에 있어서는 동심(同心)을 끌어내지 못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