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Editor's Choice

2021/09 Editor’s Choice

백예린(Yerin Baek) < 선물 >

유리알 같은 여린 감성으로 코팅한 위로의 선물.
추천곡 : ‘Antifreeze’, ‘왜? 날’, ‘돌아가자’

by 김성엽

펠리스 브라더스(The Felice Brothers) < From Dreams To Dust >

어쿠스틱 사운드에 담긴 개인적인 이야기들,  문을 열고 나서면 펼쳐지는 푸른 전원 풍경.
추천곡 : ‘All the way down’, ‘Jazz on the Autobahn’, ‘We shall live again’

by 염동교

양요섭 < Chocolate Box >

오랜 기억과 감정을 숙성해 만든 달콤 쌉싸름한 맛.
추천곡 : ‘Brain’, ‘척’, ‘꽃샘’

by 정수민

박혜진(Park Hye Jin) < Before I Die >

원초적 질료로 빚어낸 다면적인 하우스의 형상, 그리고 마주한 공허감.
추천곡 : ‘Where are you think’, ‘Sunday asap’, ‘Clouds’

by 김성욱

로우(Low) < Hey What >

고립된 폐허에서 잡아낸 희망의 주파수.
추천곡 : ‘White horses’, ‘All night’, ‘Hey’

by 장준환

김사월 < 드라이브 >

사월이 사월한 사월표 음악. 따뜻하고 아름답다.
추천곡 : ‘드라이브’, ‘레슬링’

by 박수진

Categories
Editor's Choice

2021/08 Editor’s Choice

메이지 피터스(Maisie Peters) < Volcano >

자꾸 생각나는 착한 팝, 맑은 목소리.
추천곡 : ‘Psycho’, ‘You signed up for this’

by 박수진

프렌치 키위 주스(FKJ) < Just Piano >

오직 건반으로 조경한 초록빛 숲과 녹색 테라피.
추천곡 : ‘Sundays’, ‘Pe’

by 김성욱

오핑(Offing) < Paradise Is Where We Are >

칙칙한 현실은 잔상과 이명이라는 얼트 록으로 치환이 가능하기에.
추천곡 : ‘Fish tank’, ‘론리 비치의 개들’

by 임선희

티나셰(Tinashe) < 333 >

보석 같은 선율로 매만진 다채로운 장르 혼합 파티. 티나셰 최고 작품이라 할 만하다.
추천곡 : ‘Last call’, ‘The chase’

by 이홍현

온앤오프(ONF) < Popping >

황금빛 햇살로 직조한 여름 찬가.
추천곡 : ‘여름 쏙 (Popping)’, ‘여름 시 (Summer poem)’

by 정수민

문선(MOONSUN) < Tom:貪 >

언어유희적 발상에서 시작된 톡톡 튀는 전자음의 변덕스러운 동태.
추천곡 : ‘Babe:배배’, ‘Time:타임’

by 김성엽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문선(MOONSUN) ‘균열(龜裂)’ (2020)

평가: 3/5

브랜딩, 그래픽 디자인, 공간 기획 및 스타일링 등 시각의 분야에서 활동해온 문선(MOONSUN)은 2017년 싱글 ‘녹녹(Nok Nok)’을 발표하며 본인의 심상을 청각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소박한 소리로 출발해 뚜렷한 이미지를 만드는 그의 음악은 첫 정규 앨범 < 균열(龜裂) >에서 더욱 구체화된다. 옛 가요의 문법을 바탕으로 나른한 복고풍의 전자음이 아지랑이 지며 아티스트의 자아 속 벌어진 틈으로부터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칸딘스키의 작품을 연상케 하는 앨범 커버가 하얀 여백을 차례차례 채워나가는 그의 음악 세계를 예고한다. 최소한의 소리만 쓰인 작품은 군더더기 없이 명확하나 그 지향점과 표현은 오묘한 카오스를 의도하고 있다. 왜곡된 목소리를 겹치며 허무한 감정을 노래하는 ‘나에게 정을 주지 마요’의 짧은 도입 후 소용돌이치는 신스 루프의 댄스 팝 ‘줘요’가 이어지고 래퍼 쿤디판다와 함께한 ‘옵’으로 불규칙의 정점을 찍는다. 혼란에 기반한 박자와 음정, 리듬 위 쿤디 판다의 선명한 메시지가 독특한 균형을 이룬다.

소리와 더불어 메시지 역시 형식적인 것을 거부한다. 정박으로 진행되는 ‘조바심’은 친절한 멜로디와 반대로 ‘오므린 맘 자꾸 쿰척일 때’, ‘돋쳐버릴까, 갉아버릴까, 게워버릴까’ 등 낯선 우리말로 생소함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하나의 심상을 풍부한 언어로 다채롭게 표현하는 것은  ‘따끔따끔 찌르다가 슬금슬금 조이다가 팔랑팔랑 흔들다가’라는 내용의 ‘멍하니’로도 이어진다. 그러다 ‘두 세계’와 ‘풋사랑’처럼 간결한 구성에 선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복고적인 표현이 묘한 익숙함을 불러일으킨다.  

문선은 이 앨범을 두고 “가장 나다운 소리를 내보겠다는 생각으로, 마구 망치고 엉망이어도 된다는 전제를 스스로 붙이며’ 작업에 임했음을 밝혔다. 실제로 다듬어지지 않은 거친 소리와 투박한 표현이 앨범 전반을 지배하고 ‘고도’와 ‘거울’ 같은 몇몇 곡들은 어렵다. 하지만 아티스트의 의식 아래 존재하는 1970년대 가요의 멜로디와 메시지가 완벽한 미지의 것으로 표류하는 것을 막고 작품을 흥미로운 소우주로 압축한다. < 균열(龜裂) >은 문선에게 독특한 첫 발걸음을 떼게 함과 동시에 확장 및 정돈의 과제를 제시한다. 

– 수록곡 –
1. 나에게 정을 주지 마요
2. 줘요 (Feat. 서사무엘)
3. 옵 (Feat. Khundi Panda)
4. 조바심
5. Drowned
6. 부기
7. 고도
8. 멍하니
9. 두 세계
10. 풋사랑
11. 거울
12. 균열 요정
13. The Look Of Love (CD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