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방탄소년단(BTS) ‘MAP OF THE SOUL : 7′(2020)

평가: 3.5/5

방탄소년단이 집약한 ‘영혼의 지도’는 데뷔 이후 일곱 멤버들이 밟아온 지난 7년 간의 한 페이지를 마무리한다. 지난해 초 선보인 < MAP OF THE SOUL : PERSONA >의 다섯 트랙이 국제 시장을 호령하는 월드 스타의 기쁨과 설렘을 집약한 후, 그 누구도 걷지 못했던 길을 개척하는 고독과 두려움을 ‘Interlude : shadow’ 이하의 곡들이 어두운 장을 들춰 보인다.

빛과 그림자를 대비한 후 굳은 의지로 밝은 미래를 노래하는 서사는 앞서 < Love Yourself > 시리즈에서도 선보인 바 있다. 그럼에도 < Map OF THE SOUL : 7 >이 새로운 건 역설적으로 이 앨범의 설계가 과거를 기반으로 하는 덕이다.

앨범은 2013년 데뷔 초 ‘학교 시리즈’ 방탄소년단의 도면 위 그룹의 지난날과 다가올 앞날을 동시에 쌓아 올려 전시한다.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가 ‘상남자’를 계승한다면 ‘On’은 ‘N.O’에 해당하고, 앨범을 닫는 ‘We are bulletproof : the eternal’은 연습생 시절부터 만들어온 ‘We are bulletproof’ 시리즈의 마무리다. < 2 Cool 4 Skool >의 인트로를 샘플링해 만든 제이홉의 솔로 ‘Outro : ego’는 순환의 결정적인 증거.

그룹의 회고는 ’00:00 (Zero o’clock)’에서 보컬 라인이 건네는 위로의 메시지 차원과 RM과 슈가의 듀엣 ‘Respect’의 복고적인 스크래칭과 랩 사운드 차원으로 나눠진다. 전자에선 보컬 멤버들의 솔로곡 ‘Moon’, ‘시차’, ‘Inner child’와 지민과 뷔의 ‘친구’ 등 이지 리스닝 팝이 주를 이루고, 후자의 랩 파트는 ‘Black swan’의 절박함과 ‘욱 (Ugh!)’의 반항, ‘Outro : ego’의 에너지로 전체적인 균형을 맞춘다.

이 구성이 방탄소년단의 과거를 되짚어가는 개인적인 차원은 물론 케이팝 보이그룹의 역사를 요약하여 압축하는 서사의 차원으로도 들린다는 점이 흥미롭다. 거대 팬덤과 함께 규모를 확장해온 그룹의 팬송 < MAP OF THE SOUL : PERSONA > 시리즈부터 서태지의 ‘교실이데아’와 H.O.T ‘아이야!’의 적자임을 증명하는’욱(Ugh!)’, 소년에서 청년으로 성숙해가는 ‘시차’의 메시지와 멤버 간의 우정과 화합을 노래하는 ‘친구’까지 여러 부분에서 방탄소년단은 자신을 정립하며 동시에 케이팝의 어제와 오늘을 상징한다.

그래서인지 젊은 팝스타 트로이 시반과 함께한 ‘Louder than bombs’와 시아(Sia)가 참여해 ‘케이팝에 없던 거대한 것’을 만들고자 한 ‘On’은 의외로 앨범에서 겉돈다. 이는 세계가 그들을 사랑하게 된 서사의 바탕이 UN 연설처럼 철저히 멤버들의 개인적 경험과 케이팝 특유의 산업 구조를 바탕으로 한 로컬의 경험인 덕이다. 라틴 리듬의 어쿠스틱 팝으로 꾸린 지민의 솔로곡 ‘Filter’처럼 좋은 결과물도 있지만, ‘On’만큼은 시아 없이 방탄소년단만의 목소리로 꾸린 버전이 더 어울린다.

케이팝 그 이상을 넘어 전진하고자 하는 방탄소년단에게 < MAP OF THE SOUL : 7 >은 새로운 2020년대의 모습을 위해 필수불가결적이었던 정체성 확립과 정리의 작품이다. 팝스타들과의 단순 콜라보레이션을 넘어 세계에 충격을 안기고 국제 규격에 연착륙하는 것이 그들의 향후 과제임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적어도 국내에서는 적수가 없음을 증명하며 ‘방탄 스타일’은 물론 케이팝의 표준 양식을 제시한다. 

BTS가 세계의 아성에 도전하는 동안, 수많은 케이팝 산업의 관계자들과 그룹들은 우선 이 기념비적인 앨범을 수없이 참고하고 뛰어넘어야 그 다음을 내다볼 수 있을 것이다.

– 수록곡 –
1. Intro : Persona 
2.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3. Make it right
4. Jamais vu
5. Dionysus 
6. Interlude : shadow
7. Black swan
8. Filter 
9. 시차
10. Louder than bombs
11. On
12. 욱 (Ugh!) 
13. 00:00 (Zero o’ clock)
14. Inner child
15. 친구 
16. Moon
17. Respect 
18. We are bulletproof : the eternal
19. Outro : ego 
20. On (Feat. Sia) (Digital Only)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방탄소년단(BTS) ‘ON'(2020)

방탄소년단의 앨범 ‘MAP OF THE SOUL : 7’의 타이틀곡 ‘ON’을 듣고 IZM 필자들이 각자의 해석을 내놓았다. 리뷰는 국내에선 28일 공개되는 시아(Sia)의 피처링 버전으로 진행했다.

박수진 ★★★★
폭발적 에너지를 쏘아 올리는 곡 전개와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전매특허 퍼포먼스까지. BTS, 더 크고 세고 강해졌다.

조지현 ★★★★
방탄소년단만이 스위치 ‘ON’ 할 수 있는 곡. 이미 한류스타를 지나 팝스타의 길을 걷고 있다.

임선희 ★★★☆
무작정 덤비지도, 좌절하지도 않았다. 부담감을 인정하고 준비하는 자세는 현실을 대처하는 절충안과 같다.

이홍현 ★★★☆
쌉싸름한 정상에서 맡은 사색의 향기. 자신에 의한, 청춘을 위한 응원가.

손기호 ★★★☆
심연의 끝에서 마주한 그림자를 피하지 않고 받아들인 아티스트의 자아는 어느 때보다 확고하다.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갖게 된 그들의 언어가 완성됐다.

임진모 ★★★☆
본인들 표현대로 K팝 아닌 ‘BTS 팝’의 안전착륙 혹은 확립에 다가섰다. 뭘 해도 되는 때라 고도의 대중흡수력과 호응이 예상된다. ‘Fake love’, ‘작은 것들을 위한 시’의 파괴력을 충분히 잇고 있지만 ‘진전’은 쾌척하지 못하고 있다. 약간은 제자리걸음. 상업적 싱글 형식에 대한 부담은 이해해도 이런 답보가 누적되면 정말 섀도가 될 수 있다. ‘Interlude : Shadow’란 곡에서 스스로 말했듯 도약과 추락은 한 몸이다.

임동엽 ★★★
복잡한 편성을 깔끔하게 버무린 프로듀싱은 아티스트로서의 무게감을 털어내는데 충분한 설득력을 발휘하지만, 어깨에 힘이 부담스러울 정도로 들어갔다.

장준환 ★★★
‘쩔어’에서 ‘피 땀 눈물’을 지나 ‘작은 것들을 위한 시’까지, 서슴없이 필체를 바꿔가며 다져 나간 BTS의 뚜렷한 성장 서사. 이 과정이 추리 드라마라면, ‘ON’은 그들이 그토록 원하던 ‘팝스타’의 실마리가 막 드러나기 시작한, 새로운 시즌의 5화 정도가 아닐까.

소승근 ★★☆
첫 부분의 하몬드 오르간 소리와 퍼레이드에서 들을 수 있는 군대식 드럼 비트는 공감각을 확장해 트인 장소에서 촬영한 뮤직비디오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중성적이고 부드러운 지민의 보컬과 정국의 마초적 음성, 창법은 곡의 중심이 되어 타이트한 구성을 완성하며 어둡고 도발적인 가사는 파격적인 안무와 앙상블을 도출한다. 평범하지 않은 도입부와 굽이치는 곡의 흐름은 내면의 혼돈을 상징하나 그래서 혼란스럽고 당황스럽다. 대중성은 작품성에 밀려 함몰됐다.

김도헌 ★★☆
월드 스타의 자격을 증명하고자 하듯 비장한 퍼포먼스와 무게감 있는 메시지를 준비했으나 자연스럽다기보다는 과장된 것처럼 들린다. 정교하지 못한 믹싱이 다양한 보컬 및 사운드 장치를 산만하게 하고, 특히 기대를 모았던 시아(Sia)의 참여는 실망스럽다. ‘방탄 스타일’로 매끈한 앨범에서 ‘국제 규격’을 맞추려 한 타이틀 선정 같아 어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