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에스파(aespa) ‘Savage’ (2021)

평가: 3.5/5

차세대 SMP의 이상향

SM 엔터테인먼트의 역사는 실재하는 우주의 변천사와 평행을 달린다. 수많은 스타들이 탄생하고 소멸했지만 그들의 파편은 지금까지도 가요계를 수놓고 있다. 허공에 흩뿌려진 유산은 팽창의 자양분이 되어 2020년 마침내 일원화된 신세계 SMCU(SM Culture Universe)를 창조했다. 그 과정에서 선배들의 에너지를 흡수하며 태어난 거대 세계관의 주인공이 바로 걸그룹 에스파다.

팀 이름부터 방향성은 명확했다. 인간 멤버들이 자신의 데이터에 기반한 아바타 ‘아이(æ)’를 만나 경험하게 될 메타버스 스토리. 미래 기술과 음악의 접목이란 사실만으로 등장 전부터 이목이 쏠렸다. 낯익은 이미지로 점철된 데뷔곡 ‘Black mamba’가 그 기대에 미치진 못했으나 올해 손목을 꺾는 디귿 춤과 쫀득한 발음을 곁들인 ‘Next level’이 인기를 끌며 에스파는 단숨에 대세로 우뚝 섰다. 산업 간의 융합으로 호기심을 자아내긴 했지만 가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힌 건 결국 음악이었다.

유행의 본질을 파악하고 돌아온 이들의 음조는 더욱 맹렬해졌다. 강렬한 비트와 찢어 늘인 신시사이저 그리고 극적인 고음 애드리브까지, ‘Savage’의 기틀은 보아와 동방신기가 프로듀서 유영진과 함께 주도했던 2000년대 중반 SMP다. 물론 그 시절에만 충실한 것은 아니다. 후렴구는 엔시티 127의 대표곡 ‘Cherry bomb’처럼 짧은 호흡으로 받아치며 중독성을 배가하고, 브릿지는 엑소의 알앤비 발라드 ‘What is love’를 들여와 보컬 기량을 발산한다. 더불어 둔탁한 타격의 틈엔 영국 일렉트로닉 레이블 PC 뮤직의 시그니처 샘플들을 분절시켜 입체감을 높인다. 기획사의 노하우를 집약하고 하이퍼 팝까지 이식한 K팝 트랙은 혁신적 관점으로 시대를 매끈하게 앞서간다.

뒤이은 ‘I’ll make you cry’까지 야성적인 자세로 일관한 데 비해 후반부는 톤을 낮추며 캐주얼한 면모를 드러낸다. 몽롱한 멜로디의 ‘자각몽’은 이달의 소녀나 레드벨벳의 드림 팝이 스치고, 자존감이 충만한 ‘Yeppi yeppi’는 있지의 ‘달라달라’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긴다. 비교적 친숙한 질감이 자칫 독보적인 매력에 대한 반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다채로운 전자음과 목소리의 블렌딩은 음악적 친밀감을 제고하며 타이틀곡의 접근법이 낯선 이들마저 새로운 차원으로 빨아들인다.

음악 외의 콘텐츠도 흡인력을 강화한다. 어린이 만화에 나올 법한 ‘ænergy’의 대사나 ‘Savage’ 뮤직비디오 속 2D 애니메이션은 키치한 즐길 거리다. 막연한 연출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훗날을 위한 면밀한 설계로 짐작된다. 현실의 ‘나’와 가상의 또 다른 자아 ‘아이’는 익명에 가려진 시스템의 양면이고 둘 사이를 갈라 놓으려는 빌런 ‘블랙 맘바’는 딥페이크를 비롯한 기술 범죄의 초상이다. 허구의 이야기 속 투쟁은 디지털 사회의 실태고 이를 조영하는 비주류 매체는 유머 섞인 지적질을 날린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는 서브컬처의 상승으로 근래 보기 드문 아이돌식 풍자를 완성했다.

팬데믹을 기점으로 메타버스는 점점 일상에 스며들었다. 그러나 그 실체는 여전히 흐릿하다. 엉성한 3D 모델링과 각종 표절 논란만 봐도 생소한 개념은 그저 키워드 마케팅에 불과해 보인다. 그럼에도 네 명의 소녀와 네 개의 홀로그램이 그려갈 문화 행보는 근시안적 태도의 불손함을 상쇄한다. 탄탄한 가창력과 과거의 질료로 구축한 세련된 사운드 그리고 다각적인 고발과 비판의 메시지. < Savage >는 미디어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며 가장 이상적인 SMP를 주조했다. 시대가 공증할 수 있는 ‘Iconic’한 존재, 선구자의 발걸음에 신세기의 성패가 달렸다.

– 수록곡 –
1. ænergy
2. Savage
3. I’ll make you cry
4. Yeppi yeppi
5. Iconic

6. 자각몽 (Lucid dream)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이달의 소녀(LOOΠΔ) ‘Not friends’ (2021)

평가: 2/5

전작 < [&] >의 참여 프로듀서인 라이언 전과의 두 번째 협업물이자 프로젝트성 싱글이다. ‘PTT’가 활력적 군무와 토속적 빌드업의 응집으로 전사적 캐릭터를 가져왔듯, 같은 프로듀서라는 연장적 위치에 존재하는 ‘Not friends’는 공격성은 유지하되 축소된 멤버 선별만큼이나 정적인 킬러의 이미지를 파고든다.

다만 기존 언급되던 그룹의 지향점과 궤를 달리하는 작법이 또 한 번 의아함의 원인이 된다. 절도 있는 어쿠스틱 도입과 침잠하는 베이스 등 감각적인 질료의 활용은 돌파구를 개척하는 듯 보이지만, 단조로운 곡 진행이 모든 장점을 퇴색게 한 것. 특히 이달의 소녀의 우수한 보컬 라인업을 한 데 뭉쳤으나 오디오북을 읽듯 큰 변화 없이 반복되기만 하는 코러스는 개성의 발현을 가로막을 뿐이다. 총격전과 첩보 액션을 펼친 뮤직비디오가 되려 4분 가량의 FPS 게임 광고처럼 보이는 이유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달의 소녀 ‘[&]’ (2021)

평가: 3/5

복잡하고 장대한 세계관에서 출발한 이달의 소녀는 발랄한 소녀들의 모습을 담은 데뷔곡 ‘Hi high’, 몽환적인 분위기의 ‘Butterfly’, 반항적인 걸크러시 콘셉트의 ‘So what’ 등 장르적 변화를 통해 스펙트럼을 확장해 왔다. 아직 음악 정체성 면에서는 뚜렷한 색깔로 정의 내릴 수 없지만 이들이 줄곧 노래해 온 소녀들의 주체성만큼은 세계관의 흐름과 함께 올곧게 이어진다. < [&] >이라는 앨범 제목은 소녀들이 서로 하나가 되어 그룹만의 색깔로 세계를 물들이겠다는 당찬 포부를 반영하며 영역을 한 발짝 넓혀 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당당한 메시지는 강렬하고 에너지 넘치는 음악으로 나타난다. 신비로운 이미지에 파격적인 변화를 주었던 ‘So what’의 기조를 계승한 타이틀곡 ‘PTT’는 지금껏 들려준 적 없는 공격적인 멜로디가 요동친다. 드럼과 타블라를 비롯한 타악기 연주의 폭발력과 에스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플루트 소리까지. 발리우드의 음악적 요소에 덥스텝, 힙합 리듬까지 혼재한 음악은 풍성한 들을 거리로 몰입을 더한다. 다만 세계관과 일치하는 곡의 분위기와는 별개로 장르적 특색은 (여자)아이들, 에버글로우, 블랙핑크 등의 노래를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개성을 흐릿하게 한다.

사운드의 임팩트에 비해 그룹의 정체성을 선명히 드러내지 못한 타이틀곡과 달리 수록곡에서는 이달의 소녀만의 매력이 톡톡 튄다. 그루비한 재즈 풍의 곡 ‘Wow’는 리드미컬한 멜로디에 멤버들의 화려한 가창이 돋보이며 신선한 코드 변주와 효과음으로 재미를 더한 ‘Be honest’는 예사롭지 않은 형태의 여름 노래다. 로파이 한 사운드의 ‘U r’는 청아한 음색으로 이달의 소녀 특유의 몽환적이고 아련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그룹의 정체성을 일깨운다.

호평을 받았던 < [X X] > 앨범의 ‘Butterfly’ 이후 성장을 보였던 이달의 소녀는 상반된 분위기의 ‘So what’과 ‘Why not?’을 거치며 점차 본연의 스타일이 옅어졌다. ‘PTT’ 역시 그룹 고유의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그룹의 색깔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가깝다. 오히려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콘셉트와 장르의 변화 속에서도 팀만의 세계관을 온전히 지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만들며 광활한 세계관에 대한 설득력을 더해간다.

– 수록곡 –
1. &
2. PTT (Paint the town)
3. Wow
4. Be honest
5. Dance on my own
6. A different night
7. U r

Categories
KPOP Album Album

이달의 소녀(LOOΠΔ)'[X X]'(2019)

[X X]

평가: 3.5/5

Fly like a Butterfly

이달의 소녀가 비상을 위한 날갯짓을 시작했다. ‘Hi high’에서 ‘밀당’을 이야기하던 철없는 10대 소녀들이 다양성, 인종, 여성을 주제로 입을 모아 함께 날아갈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여러 모습의 여성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장벽을 부수고 춤을 추며 날아오르는 ‘Butterfly’의 뮤직비디오는 이달의 소녀를 형성하는 거대한 세계관을 담아냈다. 너, 나, 우리. 12명의 아이들은 경계를 넘어 세상의 모든 소녀에게 말을 걸고 있던 것이다.

정규 1집 < [X X] > 타이틀 곡 ‘Butterfly’는 ‘이달의 소녀’라는 존재에 대한 명분을 제공해준다. 우리를 담기에는 너무나 작은 이 세계에서 ‘더 멀리까지’ 날아가기 위한 준비를 마친 12명은 다 같이 손을 맞잡은 앨범의 아트워크처럼 소녀들의 힘과 연대를 대변한다. 데뷔 앨범 < [+ +] >와 유닛별 앨범이 각 멤버의 콘셉트와 색을 조율하는 과도기적 작품이었다면 < [X X] >는 지상계(이달의 소녀 1/3), 천상계(이달의 소녀 yyxy), 중간계(오드아이써클)라는 유닛의 경계를 초월해 하나의 메시지를 전하는 집합체 ‘이달의 소녀’를 정의하는 셈이다.

< [+ +] >의 인트로 곡이었던 ‘++’는 각 유닛이 발표한 EP의 인트로를 단순히 합친 것에 불과했지만 본 앨범의 포문을 여는 ‘XX’는 이달의 소녀가 맞이한 새로운 국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사운드를 담았다. 힙합 비트를 기반으로 신시사이저의 비중이 클 것을 암시하고, 보컬 샘플을 통해 멤버들의 목소리가 악기처럼 변용되리라고 넌지시 알려주는 청사진 역할을 수행한다.

앨범의 핵심이자 주제인 ‘Butterfly’는 딥 하우스 장르의 베이스와 1990년대를 휩쓴 뉴 잭 스윙의 킥 드럼 비트를 바탕으로, 이달의 소녀 yyxy의 ‘Love4eva’에서도 합을 맞췄던 그라임스의 ‘Flesh without blood’나 에프케이에이 트위그스(FKA Twigs)의 최신 일렉트로니카 사운드를 구현했으며 고음의 ‘Fly like a butterfly’ 보컬 파트를 전작의 ‘Stylish’처럼 반주의 한 요소로 사용했다. 클라이맥스(후렴)를 가사가 없는 드롭으로 대체하는 EDM 형식은 아이돌 그룹에 있어 다소 도전적일 수 있었으나 M83의 공간감을 이어받은 여성 솔로 아티스트 뫼(MØ) 스타일의 대중적인 멜로디 덕분에 감상에 무리가 없는 좋은 음악이 탄생했다.

심장 박동처럼 들리는 킥 드럼은 앨범 전반을 지배하며 트랙 간 유기성을 견고히 하고 작품에 안정감을 부여한다. 국내 알앤비, 힙합 신에서 활약하고 있는 크러쉬와 헤이즈 스타일의 감성 힙합과도 결을 같이하는 ‘Colors’, 퓨쳐베이스 트랙 ‘위성(Satellite)’, 비트가 전면으로 드러난 ‘Curiosity’는 주 멜로디 없이 점차 소리의 층을 쌓아가는 반주와 멤버들의 화음에 의존적인 트랙들이다. 따라서 적절한 강세의 비트가 앨범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며 금방이라도 사라질 듯 흩날리는 신시사이저 사운드를 붙잡아 놓는다.

이달의 소녀의 음악은 그간 우주를 넘나드는 거대한 규모의 기획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지곤 했다. ‘콩팥까지 두근대 아픈 것 같애’와 같은 일본식 표현을 차용한 시부야케이 스타일의 노래를 선보이며 서브 컬쳐 팬들을 집결시켰으나 한물간 사운드와 사소하고 유치한 가사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제 이달의 소녀는 비로소 확장된 세계관에 걸맞은 보편적 이야기를 전한다. 한 편의 캠페인으로 탄생한 여성 서사의 뮤직비디오와 날개를 달아주는 < [X X] >의 임파워링(Empowering)적 메시지는 이달의 소녀가 성장했음을 나타내는 지표다. 갈팡질팡하던 과거를 뒤로하고, 이달의 소녀가 마침내 제 색을 찾았다.

– 수록곡 –

  1. XX
  2. Butterfly
  3. 위성(Satellite)
  4. CUriosity
  5. 색깔(Colors)
  6. Where you at
  7. Stylish
  8. Perfect love
  9. 열기
  10. favOriTe
  11. Hi high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