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Album

르세라핌(LE SSERAFIM) ‘Unforgiven’ (2023)

평가: 2/5

어느 때보다 여성 아이돌의 인기가 뜨거운 지금 르세라핌은 ‘이야기 속 주인공 되기’ 전략으로 차별을 둔다. 에스파가 얼마 전 발매한 신보 < My World >로 가상에서 현실세계로의 이동을 선언했고, 아이브와 (여자)아이들이 ‘주체성’이란 바운더리 내에서 세계관보단 메시지 전파에 열을 올리며 ‘우리 곁의 아이돌’이 된다면 이들은 다르다. 르세라핌이 몰두하는 건 ‘Fearless’ 두려운 것이 없고, ‘Antifragile’ 충격받을수록 더 강해지며, 용서 따위는 바라지 않는 ‘Unforgiven’ 즉, 용서받지 못한 자로서의 ‘나 만들기’이다. 이때 이들의 메시지가 선명해지려면 르세라핌의 세계가 살아있어야 한다. 곤경, 고난, 서사가 맞닿았을 때야 노래의 외피가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2022년 데뷔 후 발매한 2장의 EP 수록곡 일부와 7개의 신곡을 묶은 첫 번째 정규음반 < Unforgiven >엔 세계관 정립을 위한 노력이 곳곳에 자리한다. 그 제목부터도 선언적인 ‘The world is my oyster’부터 ‘The hydra’, ‘Burn the bridge’가 대표적이다. 한국어, 일본어, 영어를 혼용해 ‘나는 꺾이지 않아’, ‘나는 점점 더 강해져’, ‘나랑 저 너머로 같이 가자’ 외치는 내레이션은 앨범에 독특한 질감을 형성하며 곡에 서사를 덧댄다. 실제로 앞서 언급한 노래들은 각각 ‘Fearless’, ‘Antifragile’, ‘Unforgiven’의 바로 앞에 배치되며 이어지는 음악의 메시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또 그에 맞는 이미지를 직선적으로 그려낸다.

친절한 안내를 통해 다다른 르세라핌의 ‘현실’은 여기가 아니라 ‘저 너머’에 가깝다. 그룹 세계관을 웹툰으로 그린 < 크림슨 하트>가 수록곡 ‘Blue flame’을 BGM으로 “푸른 반딧불이를 따라 마법의 황야”로 떠나는 여정을 담듯, 이들은 계속해서 ‘저 너머’ 어딘가로 ‘모험’을 떠난다. 신보의 후반부 배치된 신곡들로 미뤄볼 때 금번 이들의 행보는 용서받지 못할지라도 금기를 깨고 앞으로 나아가는 쪽으로 향한다. 타이틀 ‘Unforgiven’의 손을 맞잡고 앞으로 걸어 나가는 퍼포먼스가 이를 증명, 음악관에 힘을 싣고자 한다.

이처럼 음반은 내레이션, 콘셉트 확장을 위한 웹툰, 댄스 퍼포먼스 등 그룹 세계관 형성을 위해 총력을 다하지만 되려 작업의 단합력이 부족하다. ‘Unforgiven’을 두고, 르세라핌을 “용서하지 않은 자가 누구냐”라 질문은 이들이 만들어 나가는 서사의 기반이 탄탄치 않음을 보여준다. 이야기의 빈틈을 메울 만큼 음악이 강하지도 않다. 영화 < 석양의 무법자 >의 메인 선율을 가져오고, 유명 기타리스트 나일 로저스가 참여한 것이 무색하게도 곡에 이 소스들의 잔향은 옅다. 애써 귀 기울이지 않으면 흔적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

다시 말해, “우리들 만의 길을 가겠다”는 르세라핌의 도전이 기존 작업물의 모음집 격인 이번 음반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서사로 여타 아이돌과 구별되는 지점을 만들려 했으나 갑자기 등장하는 흥겨운 브라스 세션 기반의 ‘No-return’이 말하는 모험에 동참하고 싶은 의지가 지금으로써는 잘 생기지 않는다. 뜬금없는 위치에 배치된 팬송 ‘피어나’, 이지 리스닝 계열의 ‘Flash forward’, 라틴 장르를 가져온 끝 곡 ‘Fire in the belly’로 이어지는 구성 역시 헐겁다. 금기를 부수겠다며 강렬한 모습을 보이다 급 힘을 풀어버리니 이들의 외침도 흩어져 버린다.

음악과 서사가 합쳐져 시너지를 낼 때, 르세라핌의 모험은 생명력을 얻는다. 그것이 이들이 데뷔 이래 지금껏 몰두하는 단 한 가지 가장 큰 지향이다. 목적지가 어딘지 불확실한 지금, 이 연대에 손을 얹기가 어렵다. 장황하다. 캐릭터 혹은 주인공 만들기에 급급해 중심이 흔들린 음반. 정리가 필요하다.

– 수록곡 –
1. The world is my oyster
2. Fearless
3. Blue flame
4. The hydra
5. Antifragile
6. Impurities
7. Burn the bridge
8. Unforgiven (Feat. Nile Rodgers)
9. No-return (Into the unknown)
10.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
11. 피어나 (Between you, me and the lamppost)
12. Flash forward
13. Fire in the belly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코드 쿤스트(Code Kunst) ‘Remember Archive'(2023)

평가: 3.5/5

당신의 삶은 안녕한지 묻게 하는 음반이다. “10년 동안 기억에 남는 순간들만 뽑아 곡으로 만들었다”는 그의 말처럼 정규 5집에는 17개의 많은 수록곡만큼이나 다양한 이야기들이 소환된다. 이는 팬과 뮤지션의 사랑 한담이 되기도, 지구 멸망 55분 전 애인에게 전하는 마지막 메시지가 되기도, 힘들 때 조금만 더 해보자는 외침이 되기도 한다. 저마다 뚜렷한 장면들을 소환해 내 삶을 찬찬히 돌아본다. 따뜻하고, 힙하게.

8번 트랙 ‘In the attic’ 즉, ‘다락방에서’라는 수록곡을 기점으로 위편은 주류 차트에서도 무난히 사랑받을 ‘힙’한 트랙이, 아래쪽에는 톤 다운된 ‘따뜻한’ 곡들이 담겼다. 앞 편의 “널 한입 베어 먹으면 라랄라”라는 섬뜩한 가사로 뮤지션과 팬 사이 연애담을 그린 ‘Jumper’는 리드미컬한 베이스라인과 개코, 송민호(MINO)의 상반된 목소리로 호흡을 다지고, 뒤편의 백예린, pH-1의 매혹적인 목소리가 인상적인 발라드 ‘Page 1’은 ‘내가 모든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그 시절, 나의 첫 페이지로 돌아가고 싶다’ 노래하는 식이다.

전 후반부의 음악색이 상반되는 와중, 크러쉬, 이하이, 타이거JK 등 막강한 피처링 진의 활용이 눈에 띈다. 지난 음반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뮤지션들의 목소리를 빌어 내 얘기를 전한다. 이때 코드 쿤스트는 앞보다는 옆과 뒤에 선다. 호미들의 친(CHIN)이 작사에 참여한 드릴 힙합곡 ‘Crew’에선 친의 색이 강하게 느껴지고, 수민(SUMIN)이 함께한 ‘Terminal’은 관능적인 베이스라인과 신시사이저가 어우러지며 수민의 흔적이 강하게 드러난다.

피처링 아티스트에게 많은 역할을 내어주며 추억을 회고하고자 하는 그의 시도는 나의 개인적 경험이 어떻게 좀 더 범대중적으로 확장될 수 있느냐 하는 고민과도 맞닿아있다. 이를 증명하듯 신보엔 그의 출발이던 힙합의 색은 많이 빠졌고 전작 4집 < People >와 비슷하게 잘 들리고, 잘 다가오는 알앤비, 팝이 주를 이룬다. 도입부 ‘Bad bad’, ‘Circle’ 등 화려한 트랙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잔잔하고 감성적인 분위기가 대다수를 이룬다.

귀에 꽂히는 히트 싱글의 한방보다 모든 수록곡이 고른 완성도를 지녔다. 피처링으로 협업한 뮤지션의 색과 주인장 코드 쿤스트의 설계가 매끄럽게 어우러져 볼륨감 있는 신시사이저로 부드럽게 문 닫는 끝 곡 ‘Oㅁ’에 이르면 까슬까슬한 여운이 귓가를 감돈다. ‘Jumper’에서 송민호의 거친 래핑이나, ’55’ 속 백예린과 웬디의 감정 표현의 격차가 조금은 이질적이다는 인상도 들긴 하지만, 이를 무마할 시너지가 이 앨범 안에 담겨있다. 가사와 선율을 좇아 하나하나 곡에 기울이다 보면 각자의 기억 편린이 슬며시 떠오를, 코드 쿤스트의 음악 스타일이 잔상처럼 남는 음반.

-수록곡–
1. Remember archive
2. Jumper(Feat. 개코, MINO)
3. Bad bad(Feat. Tabber, 박재범) 
4. Circle(Feat. Crush)

5. Home boy(Feat. 이하이)
6. Woode(Feat. 우원재)
7. Shine(Feat. 우원재, Tiger JK, JUSTHIS)
8. In the attic
9. Page 1(Feat. 백예린, pH-1)
10. 이불(Feat. Big Naughty)
11. Little bit(Feat. DeVita)
12. 55(Feat. 백예린, 웬디)
13. Terminal(Feat. SUMIN, 키드밀리, CHAI)
14. Petty(Feat. CAMO, Paul Blanco)
15. 911(Feat. 잭슨)
16. Crew(Feat. 쿠기, Paloalto, Chin)
17. oㅁ(Feat. meenoi)

Categories
Album

우원재 ‘Comma’ (2022)

평가: 3/5

독특한 뮤직비디오로 화제가 된 ‘Uniform’과 미노이와 공연한 ‘잠수이별’로 음악 작업에 충실한 2022년이었다. 더 콰이엇과 코드쿤스트가 참여한 2018년 작 < af >에 이은 두 번째 EP < Comma >의 기록까지. 한때 의식불명(Coma)에 빠졌던 청년은 음악과 대중을 통해 구원받았으나, 시나브로 변해버린 자신을 되돌아보기 위해 쉼표(Comma)를 찍었다.

오랜 음악적 파트너 쿄(Kyho)와의 협업은 소리 질감의 다변화라는 근작의 지향성을 재확인했다. 원슈타인이 참여한 레이드 백 넘버 ‘Glass’는 ‘하늘이 불을 껐어, 니 집 창문이 거울로 바뀌었어’란 시각적 노랫말로 나른한 주말 오후를 그려냈고 건반과 스트링을 결합한 ‘우리’의 평화적 분위기가 데뷔 초 우울한 정서를 가렸다.

앨범의 자전적 성향은 4, 5번 트랙에서 두드러진다. 진솔한 고백 조의 ‘Me’가 독특한 플로우의 ‘Mommy’로 이어지는 구성은 나약함을 발견하고선 따스한 품속으로 들어가는 인간적 면모다. 앨범 전반에 걸쳐 월장한 기술력을 두른 정제된 메시지가 래퍼의 발전을 명시한다.

산타 라인과 ‘알약 두 봉지’처럼 우원재의 밑바탕은 감정과 분위기였다. 하지만 안주하지 않았다. 딜리버리의 발전과 톤의 연구는 아티스트의 번민이 그저 머릿속 사투로 그치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달콤한 성공을 거둔 우울 청년의 이야기는 가공 없이 그대로 전달 되며 < Comma >는 다시금 기로에 선 뮤지션의 자화상이다.

-수록곡-
1. Repeat
2. Glass (Feat. 원슈타인)
3. 우리
4. Me (나야)
5. Mommy
6. 그래요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한정인 ‘Spells'(2022)

평가: 3.5/5

공들인 성장, 반짝이는 서사
2011년 즈음 홍대에 발을 들인 이후 줄곧 ‘코스모스 슈퍼스타’로 활동하던 그가 본명인 ‘한정인’으로 첫 번째 정규 음반을 냈다. 앞서 발매한 2개의 싱글 ‘Extra’, ‘슬픔의 맛’을 포함한 총 14개의 수록곡. 음반은 긴 시간 심혈을 기울여 만든 정성을 대변하듯, 많은 곡 수와 꾹꾹 눌러 담은 감정들로 용솟음친다. 한 곡, 한 곡, 탄생 내막을 묻게 하는 노랫말. 매끄럽게, 또 때론 예상 밖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곡 배치도 힘 있다. 한정인이 주도권을 쥐고 듣는 이의 호흡을 이끈다.

전자음을 중심으로 어둡고 맑은 신시사이저를 교차하며 선율을 뽑았다. 이는 전작 < Eternity Without Promise >(2019)와 비슷한 구성이나, 그는 신보에서 목소리를 보다 앞으로 끌어온다. 어둡고 몽롱한 꿈속 한 가운데를 헤엄치던 것 같던 과거의 보컬 사용에서 탈피, 선창하듯 제 색을 내는 목소리의 운용은 더 이상 음악 뒤에 숨지 않으려는 뮤지션의 의지로 읽힌다. 이 의지는 외로움, 두려움, 괴로움, 사랑 등의 감정을 적극 드러내는 노래 속에서도 천명한다.

‘네가 원하는 것은 친구가 아닌’ ‘특별한 단 한 사람’이라 말하는 ‘Listen & repeat’. 경계에 서 있는 것만 같은 불안한 삶을 고백하는 ‘Borderline’, 뱉을 수도 삼킬 수도 없는 ‘슬픔의 맛’을 노래하는 ‘슬픔의 맛’ 등 곡 안에서 한정인은 노래와 함께 실컷 나를 풀어낸다. 이 적극적인 고백의 기조가 특히 돋보이는 지점은 타이틀 ‘Wallflower’에서 ‘Badluckballad’를 지나 ‘도시전설’로 이어지는 전반부.

레트로한 댄스팝 ‘Wallflower’는 중무장한 대중 선율로 듣는 이를 댄스 플로어 위로 데려간다. 땀 흘리며 흠뻑 뛴 후 음반의 정체가 이 흥겨움 속에 놓여 있는가 할 때, 무너져 내리는 어두움으로 가격하는 ‘Badluckballad’가 흐르고, 반전되는 분위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새침한 어조의 ‘도시전설’이 재생된다. 종잡을 수 없는 항해가 쫀쫀하고 쫄깃해 음반 단위 청취의 즐거움을 높이 끌어 올린다.

‘인디 음악’으로 통용되는 오늘날 인디씬에 내 색으로 내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이 살아가고 있다. 긴 시간 공들여 쓴 이 음반으로 한정인은 자신이 독보적으로 맑고 청아한 창법에 뒤통수를 때리는 멜로디로 삶의 양가감정을 노래하는 음악가임을 증명한다. 그 제목도 웅장한 ‘Badluckballad’에서 ‘불행한 미신’에 의해 ‘행운을 불러온다는 미신을 믿는 마음’을 잃게 된 그가 앨범명을 Spells 즉, ‘주문들’로 지은 이 간극을 깨달을 때까지 앨범을 두 손에 꽉 쥐어 보길 추천한다. 그 의미를 깨달았을 때, 무엇을 시작할 수 있는가.

– 수록곡 –
1. Extra (Feat. 이이언)
2. Listen and repeat
3. Wallflower
4. Badluckballad
5. 도시전설
6. 차라리
7. Festival
8. Borderline(Feat. 천미지)
9. The boy named luke and the girl named lily(Feat. 김사월)
10. One second time machine (Prod. Piano Shoegazer)
11. 나나의 졸업식
12. 슬픔의 맛(remastered)
13. 하지
14. 묵시록(Feat. 아를)

Categories
Album KPOP Album

검정치마 ‘Teen Troubles'(2022)

평가: 3/5

2008년, 어느 날 갑자기 인디씬에 등장한 검정치마는 데뷔작 < 201 >의 수록곡 ’강아지’에서 ‘시간은 29에서 정지할 거야 라고 친구들이 그랬어 / 오 나도 알고 있지만 내가 19살 때도 난 20살이 되고 싶진 않았어’라고 노래한다. 그리고 2022년, 스스로 ‘사랑 3부작’이라 이름 붙인 < TEAM BABY >(2017), < THIRSTY >(2019)를 지나 당도한 마지막 연작 < Teen Troubles >에서 그는 다시 과거를 소재로 택한다. 작품은 1999년 인간 조휴일이 17살이던 때로 돌아간다. 첫 곡 ‘Flying bobs’의 내레이션 ‘난 그저 열일곱을 살던 중이었어요 / 귀가 찢어질 듯 매미가 울던 1999년의 여름 밤’이 음반이 소환한 그때 그 시절이다.

그가 정리한 사랑의 종착은 보통의 보편적 사랑 < TEAM BABY >, 부정의 오도한 사랑 < THIRSTY >을 거쳐 젊은 날의 나에게로 향한다. 다시 표현하면 조휴일의 사랑 이야기는 ‘젊음’ 그리고 ‘나’로 매듭지어진다. 특히 < THIRSTY >에 강하게 묻어 있던 가상의, 상상을 덧댄 노랫말에서 보다 순도 높게 ‘나’를 바라본 이번 작품은 그렇기 때문에 더 ‘검정치마스럽다’. < 201 > 때도, 정규 2집 < Don`t You Worry Baby (I`m Only Swimming) > 때도 그의 음악은 명백히 화자인 나를 드러냈다. 그래서일까. 신보에는 ‘젊음’과 ‘사랑’과 ‘그 시절의 향수’를 능숙하고 투박하게 저울질하는 검정치마의 강점이 잘 담겨있다.

이를 증명하는 건 ‘Flying bobs’에서 ‘매미들’로 이어지는 앞부분의 수록곡이다. 업 템포로 폭발하는 검정치마 표 록의 진수를 보여주는 ‘불세례’는 ‘오늘은 너의 세상이 부서지는 날이야 /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춤과 노래는 갑자기 멈춰버렸고’ 외치며 식어가는 청춘을 그린다. 색소폰 선율로 감정을 끓게 하는 ‘어린양’, 신시사이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데뷔 초를 떠올리게 하는 ‘Sunday girl’까지. 아니, 계단에서 40oz (알코올을) 하나씩 때려 박는다는 ‘Friends in bed’, 주문처럼 ‘밝고 짧게 타올라라’는 외침으로 치기 어린 젊음을 정확하게 대변하는 ‘매미들’까지 음반의 시작부는 생기 넘치는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

무뚝뚝하고 시크한 조휴일스러움이 조금씩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드는 것은 그가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룰 때부터이다. ‘우리가 알던 여자애는 돈만 쥐여주면 태워주는 차가 됐고 / 나는 언제부터인가 개가 되려나 봐 손을 댈 수 없게 자꾸 뜨거워’(‘강아지’), ‘나는 음악 하는 여자는 징그러 / 시집이나 보면서 뒹굴어 / 아가씨’(‘음악하는 여자’), ‘더러워질 대로 더러운 영혼 / 내 여자는 어딘가에서 울고 / 넌 내가 좋아하는 천박한 계집아이’(‘빨간 나를’) 등 전체 커리어 퍼져있던 솔직함(혹은 발칙함)으로 포장된 여성 비하적인 비유, 표현 등이 신보의 발목을 잡는다.

그것은 그가 ‘John fry’에서 ‘통통한 손이 내 바지로 들어와 / 근데 니 생각이 났어 / 참 이상한 날이야’라며 야릇하게 사랑을 노래하거나, ‘Garden state dreamers’에서 ‘열일곱 내 생일을 막 지나서 나쁜 걸 좋아하게 됐을 때 / 그녀는 슬로우 머신처럼 날 다스렸고’하며 일면 과감하고 섹슈얼하게 속 얘기를 꺼내는 것과 명백히 분리, 단절된 문제이다. 조휴일이 소환하는 ‘사랑’은 늘 같은 표현과 비유, 통속적인 클리셰의 반복에서 피어난다. 사랑은 늘 ‘뜨겁게’ 몸과 마음을 달구고(‘Power blue’), ‘예술가’는 늘 여성의 마음을 빼앗는다(‘99%’). (그리고 그것을 은근하게 비하한다). 달아오른 화자를 ‘개’, ‘강아지’에 빗대는 비유 역시 마찬가지.

음반의 구성력, 선율의 흡입력 등으로 무장했지만 표현력이 제동을 건다. 더 정확하게 그 표현은 그가 이성 간의 사랑을 다룰 때 청자를 멈칫거리게 한다. 즐길 수밖에 없는 사운드, 내 청춘의 한 가운데를 떠올릴 수밖에 없는 과감하고 직접적인 개인 서사 앞에서 끝끝내 검정치마 음악의 한계점이 계속해서 드러난다. 후반부 ‘Ling ling’, ‘Our summer’가 17살 조휴일의 개인적인 회고에서 시작한 이 음반을 보다 범대중적인 ‘청춘에 대한 회고록’으로 끌어올릴 만큼 두꺼운 힘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몰입, 감상을 방해하는 요소 역시 분명하다. 같은 방식으로 그려지는 어떤 사랑의 묘사가 점점 더 검정치마의 음악을 얇고 묽게 짓누른다.

– 수록곡 –
1. Flying Bobs
2. Baptized In Fire (불세례)
3. 어린양 (My Little Lambs)
4. Sunday Girl
5. Friends In Bed
6. Cicadas (매미들)
7. Garden State Dreamers
8. Follow You (따라갈래)
9. Jersey Girl
10. Love You The Same
11. Powder Blue
12. Electra
13. Min (미는남자)
14. Jeff & Alana
15. Ling Ling
16. John Fry
17. 99%
18. Our Own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