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2022 올해의 팝 싱글

유난히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진 한 해다. 예상치 못 한 고지 점령과 아슬아슬한 추격전, 그리고 통쾌한 정상 탈환까지. 주연과 각본이 쉴 새 없이 바뀌며 반전의 반전을 이룩하던 1년간의 드라마는 어느덧 막을 내렸다. 그 크레딧을 천천히 살펴보며, 차트 내외곽에서 활약을 펼친 그 영광의 10곡을 소개하려 한다. 글의 순서는 순위와 무관하다.

해리 스타일스(Harry Styles) ‘As it was’

새 출발 이후 곧바로 그룹 시절과의 단절을 완수한 해리 스타일스는 올해 ‘As it was’로 완연한 대세에 올라섰다. 자국인 영국에서는 10주 동안 1위를 차지했고, 미국 빌보드 핫 100 싱글 차트의 정상에서는 무려 15주 동안 군림하며 통산 4위의 기록을 세운 것. 심지어 솔로 아티스트로는 최장기간이다. 봄부터 여름을 지나 가을까지, 앨범 제목 < Harry’s House >처럼 1위 자리를 마치 그의 집처럼 드나든 셈이다.

비결은 ‘무자극’이었다. 1980년대 뉴웨이브부터 요즘 인디 록까지 다양한 재료와 향신료를 한데 넣고 섞어, 따뜻하게 속을 데워주는 깔끔한 수프 같은 곡을 완성했다. 그 중심에 놓인 기름기를 쫙 뺀 해리 스타일스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노래를 찾게 만드는 정겨운 맛을 내줬다. 정점을 찍은 인기와 물오른 실력이 엇갈리지 않고 동시에 만난 흔하지 않은 케이스다. 그러니 연기로의 외도보다는 음악에 집중해주시길. (한성현)

스티브 레이시(Steve Lacy) ‘Bad habit’

강단 있는 알앤비 록스타가 승리를 쟁취한 방법은 무엇일까. SNS, 챌린지, 차트 줄 세우기, 밈, 방송 등 노래의 성공적인 대중화를 위해 각종 플랫폼으로 홍보에 열을 올리는 작금의 시대에서 그가 선택한 방식은 당연하게도 ‘음악’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만을 좇는 ‘나쁜 습관’에 영원히 지속 가능한 음악으로 일갈을 가한다.

소울 그룹 인터넷의 멤버로 시작해 켄드릭 라마 등 이름난 뮤지션들과 협업하며 일찍이 실력을 인정 받아 2022년 정상에 올랐다. 오롯이 음악만을 생각한 뚝심의 결과. 트렌드의 부정을 역설(力說)했지만, 역설(逆說)적이게도 스티브 레이시는 스스로 유행의 최전선에 섰다. 아무리 급변하는 세상이라도 좋은 음악은 살아남는다. (임동엽)

원리퍼블릭(OneRepublic) ‘I ain’t worried’

초기 히트 공식을 반복한 작법에 따라붙은 자기복제 꼬리표, 그에 따른 평가 절하에도 걱정 따위는 없었다. 폭넓은 장르 도입 너머 보편적 송라이팅을 최우선으로 추구했던 원리퍼블릭의 정성이 다시금 결실을 거둔다. 놀라울 만큼 쉽고 선명하다. 부단한 담금질의 산물인 생생한 멜로디를 연료 삼아 ‘I ain’t worried’는 37년 만에 개봉한 속편 < 탑 건 : 매버릭 >에 탑승해 스크린을 넘어 박스 오피스와 음악 차트 상공을 쾌속 비행했다.

원리퍼블릭의 ‘탑 건` 라이언 테더의 탁월한 프로듀싱 역량은 거듭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대중적 흡인력을 갖춘 록 선율과 경쾌한 휘파람 사운드를 끌어온 샘플링 기법, 공간감을 연출한 편곡까지 엘리트 조종사의 날 선 감각이 올해 절정에 달했다. 시리즈를 상징하는 사운드트랙 ‘Take my breath away’와 ‘Danger zone’의 아성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민 신흥 클래식 넘버. 찬사와 홀대를 양득하며 쌓아온 노하우가 결정적 한 방을 터뜨렸다. (김성욱)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The heart part 5’

켄드릭 라마는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믿는다. 밥 딜런과 보노의 궤를 잇는 흑인 사회운동가는 < Good Kid, M.A.A.D City >(2012)와 < To Pimp A Butterfly >(2015), < Damn >(2017)의 명반 퍼레이드로 평단의 찬사를 독식했고 랩 뮤직의 시초격인 소울 뮤지션 질 스콧 헤론(Gil Scott-Heron)과 퍼블릭 에너미가 주도했던 폴리티컬 힙합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그의 파급력을 다시금 공고하게 한 다섯 번째 정규 앨범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의 프로모션 싱글 ‘The heart part 5’는 자전적 특성을 담은 ‘The heart’ 시리즈의 5번째 순서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사회의식이 강했던 선배 가수 마빈 게이의 1976년 작 ‘I want you’를 샘플링해 재즈와 펑크(Funk)적 색채가 다분하며 반복적인 리듬 아래 선언문과도 같은 언어를 채웠다. 분노와 일갈을 억누른 랩은 냉소적 시선을 견지해 더욱 날카롭고 성찰적이다. 딥페이크 기술로 화제가 된 뮤직비디오는 로스앤젤레스의 흑인 공동체를 위해 힘썼던 래퍼 닙시 허슬(Nipsey Hussle)과 살인 사건에 휘말렸던 전 미식축구 선수 오제이 심슨(OJ Simpson), 아카데미 시상식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윌 스미스 등 6인의 표상으로 흑인의 삶을 아울렀고 갱 문화를 비롯한 흑인 사회의 그릇된 방향성에 사랑만이 해결법(I want you)임을 제시했다. (염동교)

도자 캣(Doja Cat) ‘Vegas’

도자 캣의 공세는 멈추지 않고 계속된다. 여러 히트곡을 배출한 2021년 < Planet Her >로 본격적인 궤도에 오른 아티스트는 영화 < 엘비스 >의 부름을 받아 입지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 빌보드 싱글 차트 10위까지 올라간 ‘Vegas’는 전쟁터 같은 힙합 세계에서 도자 캣이 이제 슈퍼 루키를 넘어 독보적인 주연에 등극했음을 알린다.

전기 영화다 보니 트렌디한 힙합 사운드의 사용은 키워드만 보면 어색할지도 모른다. 작품에서 ‘Hound dog’의 원곡자 빅 마마 손튼(Big Mama Thornton) 역을 맡은 숀카 두쿠레(Shonka Dukureh)의 목소리를 샘플링한 영민한 비트와 후렴이 일말의 괴리감을 메꾼다. 시대와 인종의 장벽을 넘은 무대 위, 매서운 전달력과 흥겨운 싱잉 랩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래퍼의 실력도 역시 굳건하다. 복고 추세로도 모자라 옛 명곡의 적극적인 차용이 주류로 올라선 오늘날의 흐름 가운데 특히 빛나는 곡이다. (한성현)

덴젤 커리(Denzel Curry) ‘Walkin’

덴젤 커리가 2023 그래미 어워드 힙합 부문 후보에 이의를 제기했다. 자신의 음반을 포함해 올 한해 호평을 받았던 앨범들을 명단에서 제외한 데에 불만을 토로한 것. 어리광으로 치부될 수 있는 발언이지만 그에게는 그럴만한 자격이 있다. < Ta13oo >(2018), < Zuu >(2019) 등의 탄탄한 디스코그래피로 제이 콜, 켄드릭 라마 이후의 컨셔스 래퍼 선두 주자 타이틀을 노리는 그가 이번엔 < Melt My Eyez See Your Future >로 제대로 역량을 터뜨렸다.

그 중 ‘Walkin’은 단연 베스트 트랙이다. 부조리한 세상에서 앞으로 나아가는 자신을 가사에 담아 역설적으로 불합리한 사회를 고발한다. 정통 붐뱁에서 하이햇과 함께 트랩으로 변주하는 사운드, 그에 맞춰 플로우를 바꾸는 랩은 무거운 주제를 전달하면서 일말의 지루함도 허락하지 않는다. 켄드릭 라마의 ‘The heart part 5’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흑인 커뮤니티에 자극을 주며 어느 때보다 눈에 띄는 도약을 만들어냈다. 덴젤의 ‘Walkin’이 올해를 대표할 자격은 충분하다. (백종권)

푸샤 티(Pusha T) ‘Diet coke’

드레이크는 앨범을 (훨씬) 더 많이 팔았다. 릴 베이비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더 많은 노래를 빌보드 차트에 올렸다. 2022년 현재 힙합 신에서 푸샤 티보다 잘 팔리고 인기 있는 래퍼는 많다. 그러나 ‘Diet coke’에서 그의 랩을 듣는다면, 선정을 납득할 것이다.

일로매진(一路邁進)의 승리다. 노래는 그의 바위처럼 단단한 태도와 모든 음악적 특징을 압축한다. 맹수처럼 사나운 랩, 랩에 집중할 여유를 넉넉히 주는 반복되는 비트, 마약상의 경험에서 비롯된 공격적인 텍스트까지. 프로듀서 에이티에잇 키스(88-keys)가 18년 전 만들어 카니예 웨스트와 새로 손본 비트는 빈티지한 느낌을 물씬 자아내고 여기서 래퍼의 목소리는 여느 때보다 자신감과 여유가 넘친다. 축소, 경량화, 단발성이 득세한 힙합 신에서 이런 묵직하고 정직한 카운터 펀치를 날릴 수 있는 래퍼는 많지 않다. 이게 기록이나 수치적 성적을 떠나, 푸샤 티가 항상 승리하는 이유다. (이홍현)

리조(Lizzo) ‘About damn time’

여성을 대표한 뮤지션은 많다. 1980년대 이후 마돈나가 줄곧 여성의 섹스(욕구)를 거침없이 발화 하고 레이디 가가는 ‘태어난 대로 살자’며 ‘Born this way’를 열창, 여성을 넘어 소수자의 마음을 어루만진다. 약간 결이 다르긴 하지만 메간 더 스탈리온, 도자 캣, 카디 비 등의 음악가는 자신의 ‘바디’를 음악적 어필 포인트로, 서슴없이 자기 과시를 행하는 중이다.

리조 역시 여성을 대표하고 자신을 과시한다. 하지만 그는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몸’에 주목, ‘몸 긍정주의(Body Positive)’를 이끈다. 그를 이 분야의 대명사로 만든 앨범 < Cuz I Love You >가 그랬듯 이 곡도 몸의 두께와 상관없이 ‘음악은 키우고 조명은 낮추며’ 신나게 즐기자고 말한다. 1980년대 펑크/디스코 사운드를 골자로 트레이드 마크인 플루트 선율을 담은 점 또한 과거와 맥을 맞춘다. 이 연속성이 반복됨에도 올해 팝은 또다시 리조로 집약이다. 왜? 곡이 가진 독보적이고 힘 있는 메시지 덕분. 시대가 변하지 않는 한 그의 바디 찬가는 계속해서 시대를 대표할 것이다. (박수진)

수단 아카이브(Sudan Archives) ‘Selfish soul’

기록은 오직 인간에게만 허락된 신성한 행위다. 이 뜻깊은 작업을 활동명에 새겨 넣은 뮤지션 수단 아카이브는 방대한 음악 자료 수집을 통해 깨우친 가치를 단 2분 22초 안에 압축했다. 둥둥거리는 베이스로 맥이 뛰기 시작한 트랙은 소울 가득한 목소리, 가스펠 풍의 백 보컬, 그리고 박수 소리에 맞춰 그 박동을 빠르게 이어가고 이내 북동 아프리카의 바이올린과 조우하며 경쾌한 대비를 이룬다. 말미에는 짧은 랩까지 가미해 투철한 실험 정신과 장르를 끌어안는 포용성을 두루 발휘한다.

흑인 음악을 집대성한 만큼 던지고자 하는 메시지 또한 그들의 공동체 의식을 투영한다.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을 소재로 풀어낸 노랫말은 그 형태와 색깔, 질감으로 다양성 존중을 피력하고, 흑인 여성들과 촬영한 뮤직비디오에서 수단 아카이브는 몸소 삭발과 핑크색 가발 쓴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며 주장에 힘을 싣는다. 흥미로운 ‘내용’, 간결하고도 짜임새 있는 ‘구조’, 여기에 사회를 관통하는 ‘맥락’까지. 기록의 3요소를 완벽히 충족한 현대식 민족음악 아래 새로운 무도회의 여왕이 탄생했다. (정다열)

엔칸토(Encanto) ‘We don’t talk about Bruno’

대중, 시장, 평단의 예상 밖 일치된 환대였다. 차차차 리듬을 내건 살사 음악은 친숙해서 신선하지 않고 가볍게 흘러 평가대상에서 밀려날 듯했다. 실제로 영화 OST를 쓴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도 아카데미상 후보로 딴 곡을 제시했을 만큼 이 곡은 주변의 비핵심 트랙으로 간주되었다. 가수들도 영화 캐릭터의 보이스를 맡은 생소한 인물들이어서 대표곡 지위를 부여하지 않았음이 명백했고 왠지 여럿이 합창하는 곡에 승부를 걸지 않는 디즈니의 규범에도 부합하지 못했다.

반면 대중들은 이 야유적 어투의 쾌활한 아우성에 적극적 갈채를 건네면서 명곡은 범람했어도 디즈니에게 부재했던 빌보드 넘버원 싱글이란 나름의 영예를 안겼다. 무려 5주간 1위였다. (영국은 7주간) 진부할 수 있는 떼창은 오랜만에 접하는 완벽한 앙상블로 해석되어 코로나 시대에 갈구된 가족가치를 일깨우며 선전했다. 유머의 기민성, 가족 모두를 비추는 공평과 다양성, 굿 바이브레이션 사운드 그리고 미스터리 터치가 어우러진 한편의 완벽 크로스오버! 2022년을 사랑스럽게 했다. (임진모)

Categories
Album POP Album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022)

평가: 4/5

켄드릭 라마의 불안은 우리의 불안이다. 성공한 아티스트로서의 특별한 그늘 대신 보통의 지질한 걱정으로 내면을 표현했기에 그와 우리의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진 까닭이다. 그의 흔들림을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그가 사회적 혼란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책임과 자유, 종교적 교리와 자아, 절제와 욕망 등 이분법적 선택을 강요받는 사회 속에 사는 모두는 이 사회처럼 그리고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처럼 불안하다.

앨범의 난해함을 뚫고 들어오는 공감의 정서는 우리가 이 다사다난한 인간 군상을 구성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악스러운 사랑 싸움으로 그려낸 ‘We cry together’의 후반부가 현대의 젠더 갈등을 암시한다. 욕설로 점철된 대화 끝에 서로를 향한 아쉬움을 집단 간의 대결 논리로 확산하다가 욕망으로 모든 분노를 삼킨 위태로운 관계를 지속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 이 곡은 함께 울기 때문에 씁쓸한 지금의 초상이다.

정치적 올바름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목소리와 선을 그으면서도 그들의 주장과 비슷한 이야기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끌어내는 모습이 흥미롭다. 뿌리 깊게 박힌 혐오 정서와 싸우는 내용의 ‘Auntie diaries’와 어머니에 관한 슬픈 이야기를 담은 ‘Mother I sober’는 켄드릭 라마의 개인적 트라우마를 발판 삼아 차별에 대한 입장 선회를 드러낸다. 사회 정의를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보다 개인적 선택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주장을 설하는 보통의 입장과 다소 구분된다.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의 결론은 명쾌하지 않다. 인위적인 매끈함 대신 자연스러운 불편함을 택했기 때문이다. 내면을 솔직하게 노출하다 보면 언젠간 이 흔들림의 균형추가 맞춰질 것임을 믿고 던지는 자신감이다. 다분히 힙합적인 이 태도는 메시지, 콘셉트 등 앨범의 각 요소를 화자의 세심한 의도 하에 있는 상태가 아닌 본능적으로 내던져진 모습으로 두게 한다. 이에 아티스트의 통제는 벗어났지만 심리적으로는 가수와 매우 가까워진 묘한 감성이 작품을 관통한다.

그는 구원자가 아닌 개인으로서의 삶을 선택한다. 정치적 올바름, 표현의 자유 같은 큰 담론과 트라우마, 불안 등의 개인적 서사 사이에서 줄을 타다 비교적 소소한 결론으로 모두를 바라본다. 흑인 커뮤니티의 영웅으로 불리든, 문제 많은 친구와 어울리는 그냥 랩 잘하는 랩퍼로 불리든 남들이 씌운 정체성과 상관없이 신념에 따라 행동하겠다는 의지다. 그가 블랙 메시아가 아니었다는 선언을 넘어 메시아는 원래 없다는 다소 오만한 주장을 넌지시 드러내는 모습에 눈이 간다. 켄드릭 라마의 개인주의자 선언이 갈등에 지친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가 될지, 고도로 꼬인 심리적 회피로 불릴지는 시간이 답할 것이다.

-수록곡-
1. United in grief 
2. N95
3. Worldwide steppers 
4. Die hard (Feat. Blxst, Amanda Reifer)
5. Father time (Feat. Sampha)
6. Rich (interlude)
7. Rich spirit
8. We cry together (Feat. Taylour Paige)
9. Purple hearts (Feat. Summer Walker, Ghostface Killah)
10. Count me out
11. Crown
12. Silent hill(Feat. Kodak Black)
13. Savior (interlude)
14. Savior (Feat. Baby Keem, Sam Dew) 
15. Auntie diaries
16. Mr. morale (Feat. Tanna Leone)
17. Mother I sober (Feat. Beth Gibbons)
18. Mirror

Categories
특집 Feature

켄드릭 라마와 Black Society

I hope you come back, and learn from your mistakes.
꼭 돌아와서, 네가 저지를 실수로부터 배웠으면 한다.


Come back a man,

tell your story to these black and brown kids in Compton.
남자가 되어 돌아와서, 컴튼의 흑인 아이들에게 네 이야기를 해주렴.


Let ’em know you was just like them,

but you still rose from that dark place of violence,
becoming a positive person.
너도 그들과 똑같았지만,

이 폭력의 도시에서 자라나 긍정적인 사람이 되었다고.

But when you do make it, give back,

with your words of encouragement,
and that’s the best way to give back, to your city.
네가 정말 성공했을 때, 격려의 말들과 함께 이곳에 돌아와.

이것이 네가 이 도시에게 보답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이야.


‘Real (Feat. Anna Wise)’

돈, 여자 그리고 마약을 쫓는 무의미한 가사를 남발하는 다른 래퍼들과는 다르게 켄드릭 라마는 자신의 목소리가 가진 힘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는 래퍼이다. 그는 아직 세상에서 사라지지 않은 흑인에 대한 억압과 편견을 고발하고자 하는 소신이 있으며 이를 곡으로 구현해내는 뛰어난 재주가 있다. 그가 주목받는 이유는 그저 랩을 잘하는 래퍼이기 이전에, 자신의 고향인 빈민촌 컴튼 구역의 처절한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깨어있는’ 메신저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 출시된 메이저 2집 < To Pimp A Butterfly >의 핵심은 가사에 있다. 물론 높은 수준에 도달한 프로듀싱과 랩 퍼포먼스가 당연히 빛을 발하지만, 그가 정성스레 빚어낸 가사야 말로 앨범의 뛰어난 성취이다. 흑인에 대한 역사적 사건과 여러 문학들을 근거로 한 서사와 성찰의 텍스트는 그저 안이하게 그러나 주눅 들어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날리는 뼈아픈 일침이다.


– 1 –

Sneak me through the back window,
I’m a good field nigga.
날 뒤 창문으로 몰래 들여보내줘,

나는 좋은 노예야.
I made a flower for you outta cotton just to chill with you
너랑 놀러 목화로 꽃을 만들어 왔잖아.
Brown skinned, but your blue eyes

tell me your mama can’t run
검은 피부에 파란색 눈을 가졌다는 것은

너의 엄마가 도망치지 못했단 뜻이겠지.

‘Complexion(A Zulu love) (Feat. Rapsody)’


What you want you? A house or a car?
원하는 게 뭐야? 집? 차?
Forty acres and a mule, a piano, a guitar?
40 에이커의 땅과 노새, 피아노, 기타?


‘Wesley’s Theory (Feat. George Clinton)’

Amazon.com: Watch 12 Years a Slave | Prime Video

신대륙 아메리카의 발견과 함께 포르투갈과 스페인 등 유럽의 국가들은 16세기부터 그 곳을 식민지를 만들었다. 팽창하는 자본주의의 성질에 의해 아메리카의 원주민(인디언)들로는 일손을 채우지 못했고, 수많은 아프리카계 흑인들이 노예로서 끌려왔다. 주로 사탕수수나 목화 재배의 목적으로 이용된 흑인들은 백인들의 수하에 억압받고 겁탈당했으며, 고통당했다.

흑인들의 고단한 생활은 1863년 16대 대통령 링컨의 < 노예 해방 선언 >으로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 또한 1865년 윌리암 셔먼 장군은 < 특별 야전 명령 15호 >에서 흑인들에게 40에이커 넓이의 경작 가능한 땅과 노새를 주겠다고 발표했고, 여기에 많은 흑인들이 환호했다.

하지만 얼마 못가 링컨 대통령이 암살당하고, 이 약속은 새 대통령 앤드류 존슨과 다수의 정치인들로 인해 취소되고 만다. 이로써 흑인의 꿈은 무너지고, 그들은 다시 소작농의 생활로 돌아가야만 했다. 이러한 암울한 현실의 탈출구는 바로 피아노, 기타가 대표하는 음악이었다. 이들의 음악은 후에 탄생한 재즈와 블루스의 기원이 된다.

– 2 –

So why did I weep
when Trayvon Martin was in the street?
그래서 나는 왜

트레이번 마틴이 거리에 있었을 때 울었을까?

When gang banging make me

kill a nigga blacker than me?
내가 한 것들이 나보다 더 검은 흑인들을 죽이는데


‘The blacker than berry’

Florida Teen Trayvon Martin Shot and Killed - HISTORY

자경단원 조지 짐머만(George Zimmerman)이 동네를 순찰하던 도중, 후드티를 입고 있는 한 소년을 발견한다. 그는 그 소년을 아무 근거 없이 마약에 관련되었다고 판단하고 소년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겁에 질린 소년은 도망가기 시작했고, 결국 짐머만은 권총을 꺼내 발사했고, 그렇게, 17살 트레이번 마틴은 그저 편의점에서 스키틀즈 한 봉지와 아이스티를 사고 집으로 귀가하던 길 위에서 사망했다. 대학생 마이클 브라운은 백인 경찰과 몸싸움 도중 6발의 총알을 맞아 사망했다. 그의 유가족은 총격사유와 당시 경찰의 신원공개를 요구했지만, 경찰은 침묵했다.

이 두 소년은 모두 흑인이다.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나진 않았지만, 트레이번 마틴이 범죄자로 의심 받았던 이유엔 드러나지 않은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인 편견에 많은 흑인들이 분노했고 항의했다.

그리고 1년도 지나지 않은 2015년 4월 8일, 또 한 차례의 비극이 발생한다. 바로 백인 경관 마이클 슬레이저가 비무장한 흑인 월터 스콧에게 8발의 총격을 가한 것. 마이클은 스콧과 실랑이 중 빼앗긴 전기충격기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고 증언했지만 시민이 제보한 동영상에 의해 모두 거짓임이 밝혀졌다.

– 3 –

But remember, anybody can get it.
The hard part is keeping it.
기억해둬, 누구나 여기까지 올 순 있어.

하지만 가장 어려운 건 그걸 계속 유지하는 거야.
My name is Uncle Sam on your dollar.
나는 너의 지폐 위에 그려진 엉클 샘이야.

Pay me later, wear those gators
돈은 나중에 내고, 이 악어 가죽을 입어봐.
Two coupes, two chains, two c-notes.
두 대의 자동차, 두 개의 목걸이, 100달러 두 장.
And everything you buy, taxes with deny.
그리고 네가 그 모든 것을 산 댓가인 세금을 내기 거부한다면,
I’ll Wesley Snipe your ass before thirty-five.
난 네가 35살이 되기 전에 널 웨슬리 스나이프로 쏴버릴 테니까.


‘Wesley’s theory (Feat. George Clinson)’

wesley snipes mugshot - Google Search | Mug shots, Wesley snipes ...

2008년, 영화배우 웨슬리 스나입스는 플로리다 법원으로부터 1999년부터 2001년 사이의 소득 3억 8천만 달러에 대해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탈세와 소득신고 누락 등의 혐의로 유죄를 판결 받고 징역 3년형을 선고받는다.

이에 대해 그는 국가의 부당한 조세법에 대해 불만을 가지며 탈세를 저지르는 ‘납세 거부 운동’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 켄드릭 라마는 ‘Whesley’s theory’란 곡을 통해 힘겹게 부와 사회적 지위를 얻은 흑인들을 몰락시키는 국가를 엉클 샘(Uncle Sam)에 비유하며 부당 한 사회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미국 대통령 링컨이 < 노예 해방 선언 >을 선포한지 약 150년이 지난 지금, 과연 이 세상이 피부색으로부터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을까? 아직도 편견은 존재하며 차별은 현재진행중이다.

So I’mma say somethin’
that’s vital and critical for survival Of mankind,
그러니 내가 한마디 할게,

인류의 생존를 위한 중요하고 필수적인 한마디.

if he lyin’, color should never rival
피부색으로 적이 될 수 없어.


‘Complexion(A Zulu love) (Feat. Rapsody)’

(2015/04)


Categories
Album POP Album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To Pimp A Butterfly'(2015)

< good kid, m.A.A.d city >의 큰 성공과 ‘컨트롤 대란’의 시발점으로 유명한 벌스, ‘나는 뉴욕의 왕이다’는 켄드릭 라마를 한순간에 스타덤에 오르게 했다. 모든 세간의 이목은 그에게 집중되었고, 선 공개된 싱글 ‘i’와 ‘The blacker than berry’는 그가 들려줄 다음 이야기에 대한 기대를 증폭시켰다. 그리고 발매일보다 일주일 먼저 깜짝 공개된 < To Pimp a Butterfly >는 이러한 기대를 보란 듯이 넘어섰다. 여러 평단의 찬사는 이미 전작의 것을 넘어섰다.

스펙트럼이 달라졌다. 앨범을 아우르는 사운드는 이전과 동떨어진 펑크(Funk), 재즈, 블루스, 알앤비의 것인 데다 ‘Swimming Pool’과 ‘m.A.A.d city’만큼의 강렬한 임팩트도 없다. 그럼에도, 찬사가 쏟아지는 이유는 당연히 곡이 함축하고 있는 메시지와 독보적인 그의 래핑, 그리고 이들을 재단한 수준 높은 프로듀싱이다. 전작부터 함께한 프로듀서진과 플라잉 로터스(Flying Lotus)와 퍼렐 윌리엄스 등 유명 뮤지션과의 호흡은 각각의 곡들에 개성을 불어넣었다.

하퍼 리(Harper Lee)의 소설 < 앵무새 죽이기 (To Kill a Mockingbird) >에서 따온 앨범의 제목과 보리스 가디너의 ‘Every nigga is a star’를 샘플링한 첫 트랙의 도입부에서 주제는 명확히 제시된다. 앨범엔 흑인의 고된 삶에 대한 서술과 그들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한 고발, 비난의 메타포로 가득하다. 또한, 우수로 가득 찬 자아의 성찰과 흑인 엠씨로서의 입장과 막중한 책임감에 대한 그의 사색은 비판적이고 계몽적인 메시지를 내포한다.

고민의 흔적이 여러 트랙에서 나타난다. 힘겹게 높은 지위와 부를 얻은 흑인들을 몰락시키는 사회제도를 고발하는 ‘Wesley’s Theory’를 시작으로, 이들을 핍박하고 제도화하는 부의 속성을 비판하는 ‘Institutionalized’, 내러티브의 형식으로 빈민의 고난을 이야기하는 ‘How much a dollar cost’를 지나 ‘Complexion’은 피부색이 가져다주는 편견의 무의미함을 주장한다.

그러면서도 자기 비판적인 태도는 여전하다. ‘u’에서는 그의 출신지 컴튼(Compton)에서 일어나는 부조리한 일들을 잊고 현실에 안주하는 자신에 대한 분노와 증오를 표출하고, ‘The blacker than berry’에선 자신을 위선자라고 깎아내리며 흑인사회에서의 존중의 중요성을 강요한다. 그렇게 그는 자신의 목소리가 가진 힘과 파급력에 대해 고뇌하는 인간적인 모습을 내비치며 곡이 주는 메시지의 설득력을 배가한다.

텍스트를 펼쳐내는 래핑 또한 탁월하다. 다채로운 플로우와 라임을 유지하면서도 주제의식을 벗어나지 않는 단어의 선택은 전작에 이은 작사가로서 뛰어난 재량을 보여주고, 톤을 자유분방하게 변경하며 여러 화자를 오가는 래핑은 마치 그가 곡 안에서 ‘연기’를 하는듯한 착각에 들게 한다.

가사를 곱씹어봐야 진가를 발휘하는, 결코 쉽게 넘어가서는 안 될 앨범이다. 시대를 성실히 성찰하고 생각하는 아티스트의 ‘흑인의, 흑인에 의한, 그러나 모두를 위한’ 메시지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의 경각심을 일깨운다. 근래 흑인 인권을 위해 이렇게 광대한 목소리를 낸 사람이 있었을까. 감히, 마틴 루터 킹의 환생이다.

– 수록곡 –
1. Wesley’s theory (Feat. George Clinton & Thundercat) 
2. For free? (Interlude)
3. King kunta 
4. Institutionalized (Feat. Bilal, Anna Wise & Snoop Dogg)
5. These walls (Feat. Bilal, Anna Wise & Thundercat) 
6. u
7. Alright
8. For sale? (Interlude)
9. Momma
10. Hood politics
11. How much a dollar cost (Feat. James Fauntleroy & Ronald Isley)
12. Complexion (A Zulu love) (Feat. Rapsody)
13. The blacker the berry 
14. You ain’t gotta lie (Momma said)
15. i
16. Mortal man

Categories
특집 Feature

흑인의 살 권리를 노래하다

자타가 공인하는 자유와 평등의 국가, 미국의 이면에는 흑인에 대한 뿌리 깊은 차별과 멸시의 역사가 존재한다. 강제 이주 및 노예제로 건국 초기부터 고통을 받았던 흑인들은 노예제가 철폐된 이후에도 오랜 기간 백인들과 동등한 대접을 받지 못했다. 전설적 여가수 빌리 홀리데이는 1939년 ‘Strange fruit’에서 적나라한 비유를 통해 참혹한 현실을 드러냈다. 노예제 폐지는 명목상의 해방이었을뿐, 실질적 차별은 사라지지 않았던 것이다.

‘짐 크로우 법’을 두고 각층의 목소리가 충돌하고, 말콤 엑스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등장했던 격동의 1960년대 전후, 혼란스러운 흑인들을 위로한 것은 음악이었다. 샘 쿡은 ‘A change is gonna come’으로 따뜻한 격려를 건넸고, 제임스 브라운의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는 흥겨운 펑크(funk)로 사람들을 독려했다. 

밥 말리의 ‘Redemption song’퀸시 존스가 주도한 1980년대 인기 가수들의 대형 프로젝트 ‘We are the world’는 더 넓은 메시지를 함의했지만, 흑인들에게는 연대의 송가와도 같았다. 1990년대에 들어 마이클 잭슨은 ‘Black or white’로 흑백의 화합을 노래했고, 1993년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는 대규모 카드 섹션으로 미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기도 했다.

‘Strange fruit’으로부터 70년이 흐른 지난 2009년, 미국은 건국 이래 최초로 흑인 대통령을 맞이했다. 척 베리와 리틀 리차드, 마빈 게이와 제임스 브라운을 거쳐 1980년대 마이클 잭슨에 이르자 음악계 최전선에 서는 흑인 아티스트들도 다수 등장했다. 1990년대를 전후로 힙합과 뉴잭스윙, 알앤비 등 흑인 음악이 시장에 돌풍을 일으켰고, 어셔와 비욘세, 알리시아 키스 등 걸출한 팝스타들이 연속으로 등장하며 블랙 뮤직은 최전성기를 맞았다. 불과 150여년 전만 해도 ‘민스트럴시'(우스꽝스러운 흑인 분장을 한 백인들의 엔터테인먼트 쇼)가 선풍적 인기를 모았던 것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감개무량이며 천지개벽이다.

많은 부분에서 인종의 평등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미국을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는 흑백 갈등이다. 트레이본 마틴 살인 사건 등 2012년 이후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미국 내 잔존하는 흑인에 대한 편견과 멸시를 수면 위로 끌어 올렸고, 흑인 사회는 ‘흑인도 살 권리가 있다'(‘Black lives matter’)며 외치기 시작했다. 음악인들 역시 가만히 있지 않았다. 50여년 전 샘 쿡이 그랬듯, 오늘 날을 살아가는 뮤지션들은 음악으로 흑인들을 독려하는 동시에 끈질기게 남아있는 인종간 반목을 없애기 위한 노래를 내놓았다.

2013년 말 개봉한 영화 < 노예 12년 >은 비인간적 인종 차별이 얼마나 비극적인 역사를 만들었는지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 그 일깨움이 채 가시기도 전인 2014년 8월, 퍼거슨 시에서 비무장 흑인 소년이 백인 경찰 총에 숨지는 사태가 일어나자 흑인 사회의 집단 움직임은 뚜렷해졌다. 연말까지 평화 집회와 폭력이 수반된 소요가 계속되며 좀처럼 진정되지 않던 분위기에 커먼(Common)과 존 레전드의 ‘Glory’는 새로운 앤썸(anthem)이 됐다. 1960년대 흑인 민권 운동을 조명한 영화 < 셀마 >의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된 노래는 성가를 연상케하는 진행과 현실을 녹여낸 가사로 뜨거운 반응을 모았다.

비슷한 시기에 디안젤로가 14년 만에 ‘검은 구세주’라는 뜻의 < Black Messiah >를 발표하자 분위기는 절정에 달했다. 거창한 음반 제목과 달리 수록곡 다수가 보편적 사랑 노래로 채워졌지만, ‘우린 그저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원했다’고 읊조리는 ‘The charade’와 인트로부터 1분 30초간을 1960, 70년대의 급진, 과격주의 흑인 운동조직 ‘흑표당’의 유명 연설들로 채운 ‘1000 deaths’가 흑인 사회를 결집시켰다. 팝의 요소를 차용해 수용 범위를 넓힌 피비알앤비(PBR&B) 등이 주류로 부상한 것과 관계없이 정통의 흑인 음악에 충실하는 완강한 스탠스를 보인 것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 이듬해인 2015년 3월 발매된 켄드릭 라마의 < To Pimp A Butterfly >는 이 모든 것의 정점이었다. 블루스와 재즈, 펑크(funk)와 알앤비 등 흑인 음악을 총 망라해 자양분 삼고, 거대한 스토리텔링 안에 흑인으로서의 자부심과 고통을 녹여낸 걸작에 흑인 사회는 뜨겁게 응답했다. 그는 돈과 섹스, 마약에 몰두하는 여타 랩퍼와는 확연히 달랐다. ‘피부색으로 적이 될 수 없다’고 일갈하는 ‘Complexion(A Zulu Love)’, 뼈 아픈 노예의 역사와 상술한 트레이본 마틴 살인 사건을 각각 언급한 ‘Wesley’s theory’‘The blacker than berry’ 등 앨범의 모든 곡이 가려운 곳을 긁어냈다. ‘마틴 루터 킹의 환생’이라는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 To Pimp A Butterfly >의 충격파가 한창이던 2015년 4월, 백인 경관에 의해 흑인 청년이 목숨을 잃는 사건이 일주일 사이에 2회 연속으로 벌어지자 흑인 사회는 분노에 휩싸였다. 사건이 벌어진 곳 중 하나인 볼티모어에서는 대규모 폭력 시위가 벌어졌고, 비욘세와 아이스 큐브(Ice Cube) 등 많은 흑인 아티스트가 경찰을 규탄하고 시위대를 지지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인종과 무관하게 지치고 상처입은 볼티모어를 음악으로 위로한 것은 록 레전드 프린스였다. 평소 저작권에 엄격해 유튜브에 동영상 게시도 꺼리던 그는 ‘모두 총을 치워버리고 서로 사랑하자’는 인류애적 메시지를 담은 흥겨운 펑크(funk)곡 ‘Baltimore’를 무료로 공개하며 평화와 화합을 노래했다.

“정의가 없는 곳에는 평화도 존재 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또 다시 피 흘리는 날을 겪어야 하나요?
우는 것도, 사람들이 죽는 것에도 지쳤습니다.
모두 총을 치워버립시다.”
– ‘Baltimore’, 프린스(Prince)

지난 2월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50회 슈퍼볼 하프타임 쇼는 콜드플레이의 몫이었으나, 정작 언론과 SNS를 달군 것은 단 3분간 무대에 오른 비욘세였다. 주체적 여성상을 강조하던 기존 기조에 흑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더한 신곡 ‘Formation’을 슈퍼볼 하루 전에 기습 발매하며 관심을 독차지한 그는, 음원 공개 이튿날 하프타임 쇼에서 선보인 신곡 무대로 단숨에 논란의 중심이 됐다.

검은 제복과 베레모 차림을 한 댄서들의 의상과, 주먹을 쥔 채 하늘로 팔을 뻗는 등의 안무가 1960년대 ‘흑표당’을 떠오르게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루돌프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을 비롯, 비욘세를 향한 보수세력의 맹공이 이어졌고 급기야 SNS에서는 반(反)비욘세 시위를 도모하는 움직임까지 생겨났다. 노래는 특정 음원 서비스 업체(TIDAL)에서만 판매되었고 뮤직비디오 역시 링크가 없으면 감상이 불가능했지만 사회적 파급력은 상당했다.

자유와 평등의 국가 미국은 정작 백인을 제외한 다른 인종에게 온전한 자유, 평등을 허용하지 않았다. 버스의 좌석 구분은 없어졌지만 고질적인 편견에서 비롯된 멸시와 기저에 깔린 백인 우월주의는 아직 남아있다. 빠르게 바뀐 세상에 비하면 지독하게 오래 지속된 갈등이다.

70년 전 빌리 홀리데이의 노래로 위안을 얻었을 세대의 손자, 손녀들이 이제는 켄드릭 라마와 비욘세의 격려를 받는다. ‘Black lives matter’ 슬로건이 한창 펄럭이는 지금, 미국은 가던 길과 새로운 길, 그 기로에 서있다.

(20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