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After like’ (2022)

평가: 3/5

데뷔곡 ‘Eleven’과 ‘Love dive’의 연이은 히트로 아이브는 공고한 브랜드를 형성했다. 두 싱글의 매력은 레트로, 걸크러시와 같은 현재 K팝의 주요 흐름에서 탈피한 참신함과 세련미. 강세를 보이는 수많은 신인 걸그룹 가운데서도 돋보이는 기획이었다. ‘After like’의 첫인상 역시 파격적이다. 곡 초반 4/4박자의 하우스 리듬은 글로리아 게이너의 디스코 명곡 ‘I will survive’를 샘플링한 코러스로 이어지고 쉴 틈 없이 펼쳐놓는 보컬과 랩은 나인뮤지스, 인피니트 등이 떠오르는 2010년대 초반 K팝에서 가져왔다.

그들만의 방식을 개진하던 이전과 달리 K팝 안팎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1990년대의 정취는 비욘세의 ‘Break my soul’, 드레이크의 < Honestly, Nevermind > 등이 주도한 하우스 음악 재부흥을 따른다. 또한 과거와 현대의 융합은 클래식과 K팝을 엮은 레드벨벳 ‘Feel my rhythm’의 방법론이다. 물론 걸그룹이 잘 취하지 않는 야성적이고 고압적인 태도의 가사, 그에서 느껴지는 자기애와 선명한 멜로디 등 고유한 정체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기세를 이어가기에는 충분하지만 단숨에 쌓아올린 아성에 미치지 못하는 일격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Love dive’ (2022)

평가: 3.5/5

사랑, 하이틴, 주체성. 뻔한 키워드를 모아놓았으나 풀어가는 방식은 색다르다. 먼저 하이틴 콘셉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디스코, 팝 펑크, 록 등 뉴트로의 경쾌함은 찾을 수 없다. 오히려 불길하고 아슬아슬하다. 곡 전반에 레이디 가가의 ‘Monster’, ‘Bad romance’ 등이 떠오르는 어두운 분위기와 긴장감이 맴돌고, 웅장한 퍼커션과 리버브를 먹인 하모니는 ‘숨 참고 love dive’라는 가사에 맞춰 하강하는 느낌을 준다.

특기할만한 부분은 가사다. 주체성을 내세운 대부분의 걸그룹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다거나 사랑을 갈구하는 등 모순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Love dive’는 다르다. 아이브는 나에게 빠져들라는 수동적인 주문을 외우는 대신 나르키소스가 자기 모습을 보고 호수에 뛰어들었다는 신화를 따라 스스로에게 빠진다. 나르시시즘은 어떤 외부적인 요인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기애를 완성한다. 다른 이를 향한 사랑의 화살을 자신에게 돌린, 성공적인 큐피드의 재해석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Eleven’ (2021)

평가: 3/5

아이즈원의 막내였던 장원영과 안유진을 필두로 데뷔한 걸그룹 아이브의 ‘Eleven’은 모든 예측을 벗어난다. 아이즈원이 추구했던 우아함, 작년부터 올해까지 걸그룹 콘셉트를 휩쓸었던 하이틴 대신 이국적인 아름다움을 내세운다. 오리엔탈 사운드의 도입부와 반복되는 퍼커션 리듬, 마림바 선율은 절제미를 추구하며 멤버들의 독특한 목소리를 부각한 것이 증거다. 특히 후렴구 직전 급격히 속도를 줄이며 등장하는 ‘난 몰랐어 내 맘이 이리 다채로운지’라는 가사와 매혹적인 보컬은 의도적인 킬링 포인트다.

에스파, 스테이씨 등 신인 걸그룹의 약진 속에서 후발주자로 나선 아이브는 차별성을 선택했다. 개성 강한 컨셉트를 지속했을 때 낳는 지루함과 상대적으로 부족한 보컬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전체적으로 기대 이상의 데뷔 싱글이다. 음원차트 상위권을 향해 전진하는 ‘Eleven’은 아이브를 축구팀의 ‘베스트 일레븐’으로 만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