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아이브(IVE) ‘I’ve Mine’ (2023)

평가: 2.5/5

“다른 문을 열어/따라갈 필요는 없어”라 외쳤던 ‘I am’의 가사가 무색하게 많은 것이 겹쳐 보인다. 베이스라인을 강조한 ‘Off the record’는 피프티 피프티의 ‘Cupid’와 태연의 ‘Weekend’가 레퍼런스로 삼은 도자 캣의 분홍색 디스코 감성을 닮았고, ‘Baddie’의 사운드 질감과 랩 위주의 구성에서 에스파의 ‘Savage’와 NCT의 잔향을 지우기란 쉽지 않다. 전통적인 색채로 ‘정통성’을 손에 쥐었던 아이브가 눈치를 많이 보고 있다.

그동안 확고한 캐릭터로 단단한 입지를 구축한 그룹이기에 익숙한 무기를 내려놓은 이번 전략은 다소 의아하다. 사실 직전 정규 앨범 < I’ve IVE >에서도 여러 장르적인 시도를 펼치긴 했으나 핵심으로 배치하지는 않았기에 < I’ve Mine >의 태도 전환은 조금은 갑작스러운 면이 있다. 짐작하자면 맹렬한 고음과 선명한 멜로디 라인 중심의 이미지로 굳어지는 것에 대한 경계, 그리고 이에 맞춰 여타 경쟁자들을 벤치마킹하여 해외 시장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인다.

익숙한 영역을 떠나 새 물결에 맞춰 흘러가기 위해서는 긴장을 풀어야 한다. 한데 음악을 듣고 있으면 몸이 아직 경직되어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Either way’가 대표적으로, 속도와 밀도를 모두 낮춘 만큼 곡을 이끌어야 할 멤버들이 음색과 발성에 힘을 빼지 못하고 있으니 직설적인 가사에 화자가 온전히 스며들지 못한다. 데뷔곡 ‘Eleven’이 떠오르는 에스닉한 리듬에 연극적인 요소를 삽입한 ‘Holy moly’도 뻣뻣함이 두드러지니 어수선한 ‘무대 음악’ 인상만이 강하다.

애써 포인트를 주려는 ‘OTT’보다 앙증맞은 분위기에만 집중하는 ‘Payback’이 더 매혹적인 이유도 같은 이치다. 아예 ‘될 대로 돼라’ 식의 뻔뻔한 태도가 답일 수도 있다. 멜로디컬한 부분을 최소화하고 시종일관 건조하게 밀고 나가는 ‘Baddie’의 랩을 듣고 있으면 기시감과는 별개로 소화력에 대한 의문은 크게 들지 않는다. 가장 재밌는 케이스는 ‘Off the record’ 쪽이다. 강세를 준 발음과 강조되는 비음 등 장애물 위에 뮤지컬 < 캣츠 >의 넘버 ‘Memory’나 카디건스(The Cardigans)의 짤막한 ‘Lovefool’ 샘플링을 시니컬하게 툭툭 던지고 있으니 시선이 적당히 분산된다.

쨍한 빛깔의 RGB로 확고한 영역을 구축했으니, 다음 차례는 벤 다이어그램의 빈 곳을 채우는 일일 수밖에 없다. 흔들림이 없다면 거짓말이겠으나 타의에 의해 등 떠밀리기 전 자발적으로 오답을 지우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이다. 지금 당장은 아플지 몰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어차피 필요했던 백신 예방접종이다. 그리고 적어도 주사기는 그들 스스로 쥐고 있다.

-수록곡-
1. Off the record
2. Baddie
3. Either way
4. Holy moly
5. OTT
6. Payback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Either way’ (2023)

IVE Charts on X: ".@IVEstarship 'Either Way' has now sold 100,000 digital  copies in China! 🇨🇳 #IVE #아이브 https://t.co/hJSLSoUx7d" / X

평가: 2.5/5

남들의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상반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아이브의 선공개 싱글은 2022년을 이들에게 빠질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Love dive’에서의 ‘나르시시즘’과 맞닿아 있다. 전자가 ‘인정’이라면 후자는 ‘사랑’. 내용상으로는 1년 만에 나온 프리퀄 격 신보인 셈이다.

이와 별개로 음악 스타일은 댄서블한 팀의 기존 이미지와 완전히 다른 길을 걷는다. 작년 걸그룹 대표의 자리를 두고 자웅을 겨루던 라이벌 (여자)아이들의 2023년 미국 활동 출사곡 ‘I do’처럼 여유로운 템포가 특징이다. K팝의 유행을 선도하는 두 그룹이 비슷한 결의 음악을 들고 돌아온 하반기에 누가 승자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Either way’여도 상관없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아이브(IVE) ‘I’ve IVE’ (2023)

평가: 3/5

하나같이 차별성을 내세우는 4세대 아이돌 전쟁터에서 마찬가지로 ‘우린 달라’를 외치는 아이브는 역설적으로 가장 정통파 걸그룹에 가깝다. 뮤직비디오와 무대 위 화려한 비주얼, 확실한 센터 포지션 때문이기도 하나 음악적으로도 그렇다. 타이틀곡 ‘I am’이 완벽한 예시다. ‘초통령’ 지위에 오르게 된 요소인 확실히 꽂히는 멜로디를 유지한 채 편안한 청취를 선호하는 트렌드에 역행해 짜릿한 고음을 내지른다. 드라마틱한 전개에 소녀시대나 카라가 생각나는 것도 어색한 일은 아니다.

즉 아이브의 지향점은 복고이기는 하나 되감기의 주기가 조금 짧다. 그들의 복원 대상은 1980년대 디스코/신스팝이나 Y2K 감성이 아닌, < 문명특급 > ‘숨듣명/컴눈명’ 시리즈나 < 다큐 황은정 >을 보고 깔깔댈 이들을 위한 2010년대 초중반의 추억이다. ‘Cherish’, ‘Not your girl’처럼 달콤하거나 때로는 발랄한 분위기의 곡이 그 이미지를 보강한다. 동경의 대상이면서도 친근한 존재가 되어야 했던 그 시절 아이돌의 복잡한 특성 위 균형 잡힌 줄타기를 벌이고 있다.

한계 또한 이런 ‘2세대’스러움에 있다. 군데군데 들어간 랩은 의무적 파트 분배에 가까워 몰입을 방해한다. ‘궁금해 (Next page)’의 부드러움이 깨지고 갓더비트의 곡처럼 들리는 ‘섬찟 (Hypnosis)’이 더욱 붕 뜨는 이유다. ‘Kitsch’의 경우 일부러 엉성하게 디렉팅한 듯 들리는 레이의 랩이 일차원적 가사와 묶여 형식 면에서 ‘키치함’을 드러내나, 이조차도 힘이 들어가 있어 정작 또 다른 핵심 키워드 ‘자유로움’의 표현은 어색하다. 자연스러움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피상적으로 읽은 느낌이 크다.

과감함 결단력이 약점을 적절히 메꾼다. 멤버들의 음색을 고려하여 낮은 톤인 장원영과 레이의 분량을 ‘Kitsch’에 몰아넣고, 고음에 적합한 리즈를 반대로 ‘I am’에 적극 투입한 것이 대표적이다. 대신 무대 동선으로 존재감을 부여해 음악과 퍼포먼스의 분리를 이뤄냈다. ‘Lips’나 ‘Heroine’, ‘Mine’처럼 편안히 다가가는 구간이 돋보이는 것도 같은 이치다. 단순히 사운드 구성을 넘어 랩을 싱잉 스타일로 선회하거나 아예 들어낸 덕분에 귀에 더욱 밀착한다.

동시대 흐름에 맞춰 에스닉한 색채를 취했던 ‘Eleven’, 남다른 파격을 보여준 ‘Love dive’ 이후 그룹의 방향이 조금씩 뒤로 향하는 현상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양보다 질을 우선하는 미니멀리즘 추세에 반해 말끔하진 않더라도 11곡의 분량으로 감행한 정면 돌파는 분명 반갑다. 여러 의미에서 걸그룹 타이틀이 가지는 고전적 이데아를 계승하는 셈이다. 모두가 탈 아이돌을 선포하는 시대, 아이브가 쟁취한 독자적인 캐릭터다.

-수록곡-
1. Blue blood
2. I am
3. Kitsch
4. Lips
5. Heroine
6. Mine
7. 섬찟 (Hypnosis)
8. Not your girl
9. 궁금해 (Next page)
10. Cherish
11. Shine with me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Kitsch’ (2023)

평가: 3/5

4월 10일 발매될 정규 음반 < I’ve IVE >의 선공개 싱글이다. 데뷔 이후 히트곡 ‘Eleven’, ‘Love dive’, ‘After like’의 당찬 가사와 ‘뽕삘’ 넘치는 사운드로 그룹 이미지를 각인했다면 신곡은 여기서 ‘뽕’을 뺐다. 밋밋하게 느껴질 만큼 단조로운 구성에 힙합을 근간으로 하여 강점이던 멜로디에 힘을 푼다. 1970년대 말 글로리아 게이너의 명곡 ‘I will survive’를 샘플링해 독특한 한국형 디스코 뽕짝을 선보였던 ‘After like’가 특유의 ‘키치’한 매력으로 아이브 캐릭터를 공고히 했다면 정작 키치를 제목으로 쓴 이 곡엔 키치가 없다.

노래에서 키치는 남들과는 다른 이들의 면모를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텍스트 이미지로 차용될 뿐이다. ‘그 누구도 예상 못할 nineteen’s kitsch / 우리만의 자유로운 nineteen’s kitsch’ 등 가사 속 키치는 서사 없는 단어로 공허하게 메아리친다. 도리어 가사 즉, 메시지에 초점 맞춰 볼 때 이 곡은 이들 커리어의 기존 노선을 정확히 따르고 반복하는 편이다. ‘내 장점이 뭔지 알아 바로 솔직한 거야’ 류의 직선적인 자기 어필과 ‘숨 참고 러브 다이브’ 결의 쫄깃한 가사가 여기에 있다.

‘네가 보낸 DM을 읽고 나서 답이 없는 게 내 답이야’ / ‘올려 대는 나의 feed엔 like it / 홀린 듯이 눌러 모두 다 like it’ 사이 오늘날 십 대, 이십 대 여성 아이돌의 당돌한 주체성이 읽히고 젊은 층의 SNS 놀이 문화가 읽힌다. 종전까지의 음악과 결은 다르나 그 메시지만큼 이전과 같고 또 지향하는 바가 정확하다. 첫 정규 음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변신한 듯 변신하지 않은 도전적인 선공개 싱글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이브(IVE) ‘After like’ (2022)

평가: 3/5

데뷔곡 ‘Eleven’과 ‘Love dive’의 연이은 히트로 아이브는 공고한 브랜드를 형성했다. 두 싱글의 매력은 레트로, 걸크러시와 같은 현재 K팝의 주요 흐름에서 탈피한 참신함과 세련미. 강세를 보이는 수많은 신인 걸그룹 가운데서도 돋보이는 기획이었다. ‘After like’의 첫인상 역시 파격적이다. 곡 초반 4/4박자의 하우스 리듬은 글로리아 게이너의 디스코 명곡 ‘I will survive’를 샘플링한 코러스로 이어지고 쉴 틈 없이 펼쳐놓는 보컬과 랩은 나인뮤지스, 인피니트 등이 떠오르는 2010년대 초반 K팝에서 가져왔다.

그들만의 방식을 개진하던 이전과 달리 K팝 안팎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1990년대의 정취는 비욘세의 ‘Break my soul’, 드레이크의 < Honestly, Nevermind > 등이 주도한 하우스 음악 재부흥을 따른다. 또한 과거와 현대의 융합은 클래식과 K팝을 엮은 레드벨벳 ‘Feel my rhythm’의 방법론이다. 물론 걸그룹이 잘 취하지 않는 야성적이고 고압적인 태도의 가사, 그에서 느껴지는 자기애와 선명한 멜로디 등 고유한 정체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기세를 이어가기에는 충분하지만 단숨에 쌓아올린 아성에 미치지 못하는 일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