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I Am Woman

WAP, 카디 비의 즐거운 역할 바꾸기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가수 헬렌 레디는 1972년 여성의 자부심을 고취하는 곡 ‘I am woman’으로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과 그래미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를 거머쥐었다. 50 여년 전 여권 신장을 노래한 그의 메시지는 오늘날 음악에서 핵심이 된 ‘허스토리(Herstory)’를 상징한다. 대중음악계 여성의 발자취를 짚어나가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정이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뜨거운 노래는 래퍼 카디 비(Cardi B)와 메간 더 스탈리온(Megan Thee Stallion)이 8월 7일 발표한 ‘WAP’다. 발매 첫 주만인 8월 18일, 총 9300만 회 스트리밍을 기록하며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한 44번째 곡이 됐다. 종전 최고 기록인 아리아나 그란데 ‘7 rings’의 첫 주 총 8530만 회 스트리밍 기록을 가뿐히 제쳤다.

하지만 ‘WAP’는 다른 의미에서 훨씬 ‘뜨거운’ 곡이다. 우선 제목부터가 ‘축축이 젖은 아랫도리(Wet-Ass Pussy)’다. 1990년대 DJ 프랭크 스키(Frank Ski)의 노래 일부분을 따온 샘플은 러닝타임 내내 ‘여기 창녀들이 있어(Whores in the house)’를 읊조린다. 제목, 가사, 뮤직비디오까지 파격적인 선정성으로 단단히 무장한 이 노래는 가사 한 줄 해석하기도 곤란할 정도다. 쉽게 말해, 굉장히 야하다.

거리의 스트리퍼로 출발해 ‘Bodak Yellow’로 빌보드 정상에 오르며 성공가도를 달리는 카디 비, 올해 비욘세와 함께 ‘Savage’를 히트시킨 메간 더 스탈리온의 자신감이 곡 내내 구체적인 판타지와 성행위 묘사로 드러난다. 카디 비가 원기 왕성하고 힘 있는 목소리를 앞세워 선언하면 메간은 기관총처럼 쏘아 붙는 랩으로 에너지를 더한다. 간결한 구성 위 오로지 힘, 권력, 에너지로만 곡 전체를 꽉 채운다. 

때문에 ‘WAP’는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기 전부터 말이 많았다. 노래와 아무 상관없는 슈퍼스타 카일리 제너의 깜짝 출연도 논란이지만 가사를 둘러싼 갑론을박도 만만치 않다. 아무리 우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표현에 관대한 미국이라 해도 그 허용의 수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드는 노랫말과 뮤직비디오는 논란의 대상이다.

James Bradley | WAP | Know Your Meme

‘WAP’ 논란을 부채질한 것은 미국의 보수 측 인사들의 발언이다. 캘리포니아 주 하원의원 공화당 후보 제임스 브래들리(James Bradley)는 트위터를 통해 ‘카디 비와 메간은 하나님 없이 자란, 강한 아버지가 없이 자란 아이들의 전형’이라며 ‘WAP를 듣고 내 귀에 성수를 붓고 싶었다’는 혹평을 퍼부었다.

같은 주의 공화당 정치인으로 최근 공화당 하원 경선에서 탈락한 디애나 로레인(Dianna Lorane) 역시 “역겨운 ‘WAP’가 여성 인권을 100년 정도 후퇴시켰다.”라 불평하며, 카디 비와 유세를 함께한 민주당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와 2020년 민주당 대선 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지지자들을 ‘쓰레기’라 비난했다.

힙합을 ‘쓰레기 음악’이라 평한 바 있는 유명 우파 논객 벤 샤피로(Ben Shapiro)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게 바로 페미니스트들이 투쟁한 결과”라며 비꼬는 것으로 시작해 “결국 페미니즘은 여성의 권리나 인권에 관심 없는 ‘젖은 엉덩이’에 불과하다. 이런 의견을 비판하면 바로 ‘미소지니(mysogyny : 여성 혐오)’로 찍히기 십상”이라 조롱했다. 과연 이들의 발언처럼 ‘WAP’는 그저 천박하고 음탕하게 색만 밝히는 노래인 걸까? 

카디 비의 ‘19금 발언’은 그리 낯설지 않다. ‘WAP’ 이전에도 그는 꾸준히 SNS를 통해 ‘뜨악’할만한 발언, 혹은 사진을 공개하며 논란 혹은 큰 웃음(?)을 선사해왔다.

하지만 그게 단순한 음담패설만은 아니었다. 힙합 그룹 미고스(Migos) 멤버이자 남편 오프셋(Offset)이 준비한 서프라이즈 파티에 ‘오늘 X 좀 빨리고 싶나 본데?’라 능청스레 감탄하면서도, 신곡 발표 후 여성들에게 그들의 ‘WAP’를 유지하는 방법을 코믹하고 진지하게 설파할 때도 항상 대화 속 성적 주도권은 언제나 카디 비 본인, 즉 여성에게 있었다.

스트리퍼 출신임을 거리낌 없이 강조하는 카디 비는 언제나 과감하게 자신의 욕망과 성적 매력을 표현한다. 빌보드 싱글 차트 첫 1위의 영예를 안긴 ‘Bodak yellow’부터 ‘I like it’까지 그의 서사는 밑바닥부터 시작해 더 많은 돈을 벌고, 직접 남자를 고르며 명품에 둘러싸여 있는 삶을 끊임없이 강조한다. 진실하고 거리낌 없는 감정 표현이야말로 카디 비를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래퍼로 만든 핵심 요소다. 

All the hot girl looks to copy in Cardi B and Megan Thee ...

’WAP’ 역시 숨김이 없다. 대개 야한 이야기를 하는 여성은 음탕하게 받아들여진다. 남성이 여성을 부와 성공의 상징으로 삼고 성관계를 노래하면 ‘대범하고 멋진’ 것이 되지만, 그렇게 끊임없이 성적 대상화되는 여성의 욕망은 부정되기 일쑤다. 숱한 힙합 노래들이 성공의 상징으로 여성을 그리는 것은 당연히 여겨지는 반면, 두 여성의 성적 판타지를 노래하는 ‘WAP’가 남성을 수단화하지 않음에도 몰매를 맞는 데서 불균형이 도드라진다. 

게다가 이들은 여성이 아니라 ‘흑인 여성’이다. 17세기 노예 신분으로 미 대륙에 끌려 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흑인 여성들은 오랫동안 ‘이세벨 스테레오타입(Jezebel Stereotype)’이라 불리는 고정관념에 시달려왔다.

이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 치세 하의 도덕적인 ‘집안의 천사’ 여성상과 정반대의 개념으로, 흑인 여들은 성적 능력이 특히 발달한 음탕한 존재라는 차별의식을 기저에 깔고 있다. 긴 시간 동안 블랙-피메일(Black-Female) 들은 숱하게 성적으로 대상화되며 거의 짐승에 가까운 취급을 받았으나 욕망의 주도권은 결코 허용되지 않았다. 

Recognizing Racist Stereotypes in U.S. Media | by Suzane Jardim ...

‘WAP’를 둘러싼 선정성 논란에서도 이세벨 스테레오타입을 찾아볼 수 있다. 이 노래만큼은 아니지만 역사적으로 여성 아티스트들의 ‘19금 노래’들은 셀 수 없이 많았다. 그럼에도 ‘WAP’만큼 화제와 논란이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마일리 사이러스가 2013년 MTV 비디오 어워즈에서 로빈 시크에게 엉덩이를 들이밀며 혀를 내밀 때도, 아리아나 그란데가 격렬한 하룻밤을 보내고 게다리 걸음을 걷는다는 ‘Side to side’를 부를 때도, 두아 리파가 ‘밤새 몸을 섞자’는 ‘Physical’을 노래할 때도 여론의 동요는 전혀 없었다. ‘WAP’를 불편히 여기는 시선에는 고정관념이 투영되어 있고, 이는 성차별은 물론 인종차별의 문제와도 연관이 된다. 

동시에 이들 대중은 ‘WAP’의 욕망에 목소리를 높이면서도 다른 여성 아티스트들의 발화에는 무관심하다. 카디 비는 이를 꼬집어 “숱한 여성 래퍼들이 사회를 비판하고 묵직한 메시지를 던질 때는 관심도 없더니, ‘WAP’에는 모두가 떠들썩하다”는 의견을 SNS에 피력하기도 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만 해도 랩소디(Rapsody), 노네임(Noname), 자밀라 우즈(Jamila Woods)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사회 및 정치적으로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러나 대대적으로 주목받은 이는 슈퍼스타 비욘세 외 찾아보기 어렵다.

대중음악의 역사 속 블랙 커뮤니티에게 섹스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졌다. 로큰롤과 재즈부터가 섹스를 뜻하는 속어로부터 출발했다. 일찍이 ‘소울의 대부’ 제임스 브라운이 그 자신을 ‘섹스 머신(Sex machine)’이라 칭한 이래로 수많은 펑크(Funk) 디스코 밴드들이, 프린스(Prince)와 1980년대 댄스 가수들이, 힙합과 알앤비 스타들이 소리 높여 ‘19금’ 노래를 불렀다. 이들에게 섹스는 외설의 대상이 아니라 억압되고 자유롭지 않은 현실에서 그들이 살아있음을 외치는 활력과 생기의 상징이었다. 

‘WAP’ 역시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과 아티스트들의 맥락 위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미니카 혈통의 카디 비와 아프로 아메리칸 메간 더 스탈리온은 미국 사회에서 낮은 지위에 속한 인물들이다. 이들이 자랑스레 꺼내는 성적인 욕망과 판타지는 외설이 아니라 그들에게 부여된 발화 권력과 힘을 상징한다.

<콤플렉스(Complex)>의 평가를 가져오자면 ‘WAP’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독립, 지배’를 노래하는 곡이며 ‘여성 임파워링의 상징’과 같은 곡이다. 미국 NBC 저널리스트 수잔 라미레즈가 ‘즐거운 역할 변경’이라 평한 것에도 눈길이 간다. 카디 비와 메간 더 스탈리온의 과격한 일탈은 천박하지 않다. 오히려 이를 음탕하게 바라보는 이들의 시선에서 그 저의의 음란함이 포착된다.

Categories
Feature I Am Woman

위안부 문제, 그리고 그들을 위해 노래한 여성 음악가들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가수 헬렌 레디는 1972년 여성의 자부심을 고취하는 곡 ‘I am woman’으로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과 그래미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를 거머쥐었다. 50 여년 전 여권 신장을 노래한 그의 메시지는 오늘날 음악에서 핵심이 된 ‘허스토리(Herstory)’를 상징한다. 대중음악계 여성의 발자취를 짚어나가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정이다.

살아가면서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사가 있다. 바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가 성적으로 탄압받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다. 슬프게도 이 이야기는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아직 우리 곁에 남아 있다. 심지어 1월 23일, 할머니 한 분이 세상을 떠나시면서 현재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열아홉 분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다.

시간은 치명적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의식은 점차 흐려지고 감각은 무뎌진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잔혹한 진실이 잊히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계속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음악계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이미 태동하고 있었다. 2012년,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의 기타와 보컬을 맡고 있는 송은지의 제안으로 태어난 프로젝트 ‘이야기해주세요’가 그 중심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들을 위한 헌정 음악을 제작한다는 이 발상은 실로 놀라운 결과를 낳았는데, 정민아, 오지은, 무키무키만만수, 트램폴린 등 당시 홍대 인디 신을 주름잡던 많은 여성 음악가들이 위안부 문제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자발적으로 한 데 모인 것이다.

이후 2013년도 발매한 후속작 < 이야기해주세요 : 두 번째 이야기 >를 거쳐, ‘사랑과 평화의 편지’라는 부제와 함께 작년 발매된 < 이야기해주세요 : 세 번째 이야기 >까지. 7년간 이어져 온 이들의 행보는 약 50명의 아티스트가 자취를 거치며 세 장의 컴필레이션 앨범을 남겼다. 작품은 친절하게, 혹은 무섭게 다가온다.

친절한 방식으로 대중들의 쉬운 접근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과감한 방식으로 충격을 선사하기도 하는 것이다. 관통하는 주제에 맞춰 아티스트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점도 눈여겨볼만하다. 그들은 자신의 스타일을 우수하게 살려 진심을 전달하기도, 좋은 곡을 후세에 남김으로써 길이길이 기억되는 방향을 택하기도 한다.

‘들판의 풀처럼 작고 작게 / 노래 부르며 살고 싶었지 / 작고 작게’ – 정민아 ‘작고 작게’ 中

싱어송라이터와 가야금 연주자를 동시에 겸하는 정민아의 ‘작고 작게’는 치유와 공감을 보편적으로 유도하는 그 좋은 예시다. 가야금 특유의 절제된 가벼움과 동양적인 선율이 청자의 마음을 거부감 없이 두드린다.

어쿠스틱 신스팝을 지향하는 루싸이드 토끼의 ‘돌을 없애는 방법’이나, 오디션 프로그램 < 슈퍼스타K >에 출연한 적 있는 포크 가수 이정아의 ‘Three hundred thousand flowers’ 또한 그렇다. 부드러운 기타 사운드와 소박하고도 서정적인 가사가 남기는 깊은 인상으로 그저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싶었을 할머니들의 소망을 노래로써 실현한다.

‘내 머릿속에 든 뭐든 그걸 기억하는 것 / 더는 새기고 싶지 않아서 잊어가는 것 / 잊는다고 다 없던 날이 된다면 / 제일 앞서 전부 다 잊고 / 아무 일 없는 듯 살아갈 거야’- 슬릭 ‘살아가고 싶어’ 中

반면 데이즈얼라이브 소속의 래퍼 슬릭은 특유의 가감 없는 진솔함으로 사회가 지녀야 할 경각심을 예리하게 직시한다. 그의 래핑은 차분하고 덤덤하지만,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적나라하게 내뱉는다. 가사에 적힌 대로 우리는 앞으로 ‘내 머릿속에 든 뭐든 그걸’ 기억해야 한다는 것. 이에 소월의 보컬이 합쳐지니 놀라운 흡입력을 뿜어낸다. 이는 여러 분야에 포진된 각 아티스트가 자신의 방식대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이대로 숨이 멎을 듯이 힘들다 해도 / 잊지 마 내가 여기에 있다는 걸’ – 김완선 ‘Here I am’ 中

무엇보다 대중들의 이목을 끌며 앨범의 이름을 알린 일등공신은 가요계 유명 스타들의 합류다. 이상은의 ‘성녀’와 일제강점기를 다룬 영화 < 눈길 >의 OST로 삽입되기도 한 이효리의 ‘날 잊지 말아요’, 그리고 김완선의 ‘Here i am’이 그렇다. 이들은 명료하고 감동적인 가사와 완성도 높은 곡, 그리고 높은 네임밸류로 일반인의 관심을 유도하며 이들의 목소리가 더욱 널리 퍼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우리도 ‘당신의 목소리를 잊지 않고 기억’함으로써 할머니들의 부담을 덜어 내는데 도움을 주고 싶다는 힘찬 연대의 선언인 셈이다.

특히 ‘성녀’의 ‘그저 버티는 건 정말 사는 걸까 / 그녈 안아줬음 좋겠어 부서지지 않도록’ 이라는 대목이 뇌리에 남는다. 눈앞에 놓인 현실을 당장 바꿀 수는 없지만, 그저 조용히 곁에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헤아려주고 안아주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수 있다.

‘일본놈들이 오면 나는 일본에서 한 일을 고대로 다 말해 / 역사를 역사같이 말해야지 / 저네가 한 일을 저네가 모르면 누가 알아’ – 신현필 & 이봉근 ‘흩어지는 기억’ 中

앞서 언급한 곡들이 조금은 부드럽고 따뜻하게 다가왔다면, 몇몇의 곡들은 다소 우울하고 어두운 분위기로 각성을 요구하기도 한다. 얇은 어조로 가사를 읊조리며 위태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는 오지은의 ‘누가 너를 저 높은 곳에 올라가도록 만들었을까’와 처절한 내레이션으로 몰입을 자아내는 신현필과 이봉근이 참여한 ‘흩어지는 기억’이 그렇다. 이들은 적나라한 가사로 반성과 경각심을 일깨우고 사회에 변화를 촉구한다. 저 너머 가려진 참혹한 진실을 가리키는 것이다.

제작비 문제로 위기를 겪은 ‘이야기해주세요’ 프로젝트는 텀블벅 후원과 전작의 수익금으로 6년 만에 다시 빛을 보는 데 성공했다. 이를 위해 황보령, 악단광칠, 9와 숫자들, 레인보우 99, 호란 등 미처 다 언급하지 못한 아티스트와 남성 음악가들이 동행에 합류하며 힘을 보탰다. 물론 수많은 대중들 또한 기부와 지지를 통해 도움의 손길 또한 빼놓을 수 없는 값진 버팀목이다.

사람이 있기에 사랑이 있고, 저마다의 작은 사랑들이 모여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이루듯, ‘이야기해주세요’는 혼자가 아닌 모두의 의지가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던 프로젝트다. 음악가가 할 수 있는 가장 멋진 소통은 음악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용기 있는 그들의 발걸음에 진심으로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