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그룹에서 가히 독보적인 음색을 맡고 있는 두 남녀가 만났음에도 시너지가 나오지 않는다. 이별 후 쓰라린 아픔을 곡에서 찾기 어렵고 물기 가득한 가을풍의 멜로디는 카밀라 카베요의 ‘Crying in the club’과 알렉 벤자민의 ‘Let me down slowly’가 스친다.
즉, 이 곡에서는 키와 태연이 보이지 않는다. 한층 가라앉은 사운드에 묻혀 보컬이 뚜렷하게 다가오지 않고 프리코러스의 반복되는 ‘Ooh ooh’는 흐름을 끊기만 한다. 변곡점이 될 법한 피쳐링 역시 키와 같은 톤을 유지하기에 밋밋함만 남을 뿐이다. 전형적인 이별 노래의 답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