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그레이(GRAY) ‘I don’t love you (Feat. 쿠기)’ (2021)

평가: 2.5/5

힙합 히트곡 중 그의 손길이 닿지 않은 트랙을 찾기가 어렵다지만 정작 본인의 이름을 내건 정규앨범은 이번이 처음이다. 데뷔 후 9년 만에 들고 온 결과물의 선공개 곡인 ‘I don’t love you’는 앨범 리스트가 공개된 시점에서 흔히 말하는 ‘밑밥’용으로 적절한 듯하나 싱글 단위 자체로는 흡인력이 부족하다. 멜랑꼴리한 기타 리프에 힘을 뺀 싱잉 랩을 취하다 보니 밋밋하고, 그러기에 바이브레이션 가득한 끝 음 처리가 불안 요소로 두드러진다. 의도치 않게 타이틀곡으로 시선이 거둬진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쌔끈보이즈(SGBOYZ) ‘궁금해 (Prod. GRAY)’ (2021)

평가: 2.5/5

딩고 프리스타일이 또 한 번 예능적 요소를 가미한 일회성 프로젝트를 내걸었다. 은어를 내세운 이름과 90년대 컨템포러리 알앤비 그룹의 기믹을 모티프 삼은 의도적인 B급 코드의 4인조 힙합 그룹 ‘쌔끈보이즈’가 그렇다. 이는 ‘아마두’와 ‘트로트랩’의 선례에 이어 어느덧 ‘반전 이미지’ 전략이 힙합 신의 주요 셀링 포인트로 정착했음을 말해준다. 래퍼의 이미지 간극을 깊게 조명하여 무해함과 유머러스함을 강조하는 방식은 어느덧 대중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공식으로 자리 잡았다.

그레이의 감각적인 비트 메이킹과 박재범의 그루비한 초반 도입은 우수한 합을 보이며 기획 의도의 태생적인 가벼움을 상당수 능가한다. 해학적이다시피 늘어트린 보컬조차 오히려 부담을 줄여 재미와 질적 성취를 일궈낸 셈. 다만 던밀스를 비롯해 차례로 등장하는 로꼬와 넉살 파트는 의아함이 앞선다. 그간 장점으로 평가받은 선명한 딕션은 작풍과 엇갈리는 탓에 내내 감상을 방해하는 요소로 둔갑하기 시작한다. 검증된 랩 실력이나 이들의 매체 적응력과는 별개로 구성원 자체의 특색과 조합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다. 결국 모임에 의의를 둘 뿐인 휘발적인 곡은 외적 콘텐츠의 성장을 위한 수단에 그친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구스범스(GooseBumps) ‘Somewhere (Feat. GRAY, Hoody, ELO & DeVita)’

평가: 2.5/5

사이먼 도미닉, 로꼬, 지코 등 다양한 뮤지션의 프로듀서였던 그가 AOMG로 영입된 뒤 선보인 첫 싱글이다. 같은 소속사인 그레이(GRAY), 후디(Hoody), 엘로(ELO) & 드비타(DeVita)가 지원사격에 나서며 화려한 시작을 알린다. AOMG로의 입단은 구스범스의 새로운 면모를 기대하게 한다. 이전에는 ‘멍청이’, ‘HACK’, ‘Want it’ 같이 힙합 비트에 강렬한 사운드가 주를 이룬 반면, ‘Somewhere’는 발랄한 사운드에 대중적인 리듬을 차용했다. 프로듀서가 아닌 아티스트로서 대중 앞에 한 발 가까워졌다는 신호. 산뜻한 출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