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에스파(aespa) ‘Savage’ (2021)

평가: 3.5/5

차세대 SMP의 이상향

SM 엔터테인먼트의 역사는 실재하는 우주의 변천사와 평행을 달린다. 수많은 스타들이 탄생하고 소멸했지만 그들의 파편은 지금까지도 가요계를 수놓고 있다. 허공에 흩뿌려진 유산은 팽창의 자양분이 되어 2020년 마침내 일원화된 신세계 SMCU(SM Culture Universe)를 창조했다. 그 과정에서 선배들의 에너지를 흡수하며 태어난 거대 세계관의 주인공이 바로 걸그룹 에스파다.

팀 이름부터 방향성은 명확했다. 인간 멤버들이 자신의 데이터에 기반한 아바타 ‘아이(æ)’를 만나 경험하게 될 메타버스 스토리. 미래 기술과 음악의 접목이란 사실만으로 등장 전부터 이목이 쏠렸다. 낯익은 이미지로 점철된 데뷔곡 ‘Black mamba’가 그 기대에 미치진 못했으나 올해 손목을 꺾는 디귿 춤과 쫀득한 발음을 곁들인 ‘Next level’이 인기를 끌며 에스파는 단숨에 대세로 우뚝 섰다. 산업 간의 융합으로 호기심을 자아내긴 했지만 가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힌 건 결국 음악이었다.

유행의 본질을 파악하고 돌아온 이들의 음조는 더욱 맹렬해졌다. 강렬한 비트와 찢어 늘인 신시사이저 그리고 극적인 고음 애드리브까지, ‘Savage’의 기틀은 보아와 동방신기가 프로듀서 유영진과 함께 주도했던 2000년대 중반 SMP다. 물론 그 시절에만 충실한 것은 아니다. 후렴구는 엔시티 127의 대표곡 ‘Cherry bomb’처럼 짧은 호흡으로 받아치며 중독성을 배가하고, 브릿지는 엑소의 알앤비 발라드 ‘What is love’를 들여와 보컬 기량을 발산한다. 더불어 둔탁한 타격의 틈엔 영국 일렉트로닉 레이블 PC 뮤직의 시그니처 샘플들을 분절시켜 입체감을 높인다. 기획사의 노하우를 집약하고 하이퍼 팝까지 이식한 K팝 트랙은 혁신적 관점으로 시대를 매끈하게 앞서간다.

뒤이은 ‘I’ll make you cry’까지 야성적인 자세로 일관한 데 비해 후반부는 톤을 낮추며 캐주얼한 면모를 드러낸다. 몽롱한 멜로디의 ‘자각몽’은 이달의 소녀나 레드벨벳의 드림 팝이 스치고, 자존감이 충만한 ‘Yeppi yeppi’는 있지의 ‘달라달라’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긴다. 비교적 친숙한 질감이 자칫 독보적인 매력에 대한 반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다채로운 전자음과 목소리의 블렌딩은 음악적 친밀감을 제고하며 타이틀곡의 접근법이 낯선 이들마저 새로운 차원으로 빨아들인다.

음악 외의 콘텐츠도 흡인력을 강화한다. 어린이 만화에 나올 법한 ‘ænergy’의 대사나 ‘Savage’ 뮤직비디오 속 2D 애니메이션은 키치한 즐길 거리다. 막연한 연출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훗날을 위한 면밀한 설계로 짐작된다. 현실의 ‘나’와 가상의 또 다른 자아 ‘아이’는 익명에 가려진 시스템의 양면이고 둘 사이를 갈라 놓으려는 빌런 ‘블랙 맘바’는 딥페이크를 비롯한 기술 범죄의 초상이다. 허구의 이야기 속 투쟁은 디지털 사회의 실태고 이를 조영하는 비주류 매체는 유머 섞인 지적질을 날린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는 서브컬처의 상승으로 근래 보기 드문 아이돌식 풍자를 완성했다.

팬데믹을 기점으로 메타버스는 점점 일상에 스며들었다. 그러나 그 실체는 여전히 흐릿하다. 엉성한 3D 모델링과 각종 표절 논란만 봐도 생소한 개념은 그저 키워드 마케팅에 불과해 보인다. 그럼에도 네 명의 소녀와 네 개의 홀로그램이 그려갈 문화 행보는 근시안적 태도의 불손함을 상쇄한다. 탄탄한 가창력과 과거의 질료로 구축한 세련된 사운드 그리고 다각적인 고발과 비판의 메시지. < Savage >는 미디어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며 가장 이상적인 SMP를 주조했다. 시대가 공증할 수 있는 ‘Iconic’한 존재, 선구자의 발걸음에 신세기의 성패가 달렸다.

– 수록곡 –
1. ænergy
2. Savage
3. I’ll make you cry
4. Yeppi yeppi
5. Iconic

6. 자각몽 (Lucid dream)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디오 ‘공감’ (2021)

평가: 3/5

부드러운 음색과 뛰어난 리듬감으로 엑소에서 보컬의 중요한 한 축을 도맡았던 디오가 첸, 백현 등 다른 멤버들의 뒤를 이어 그룹의 솔로 활동 대열에 합류했다. 개인 활동을 통해서는 배우로서의 존재감을 강하게 비추었지만 군 입대 직전에 발매한 어쿠스틱 알앤비 장르의 ‘괜찮아도 괜찮아’가 음원차트에서 성공을 거두며 일찍이 솔로 가수로서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첫 솔로 앨범 < 공감 >은 작사와 콘셉트 기획을 비롯한 앨범의 전반적인 제작 과정에 참여한 그가 뮤지션으로서의 정체성을 새롭게 다져 나가는 산뜻한 출발점이다.

디오의 보컬이 가진 감미로운 중저음의 음색과 안정적인 테크닉을 극대화하기보다는 편안한 목소리로 따뜻한 음악들을 담는다. 경쾌한 포크 기타 선율이 이끄는 타이틀곡 ‘Rose’는 디오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곡은 아니지만 제이슨 므라즈를 떠올리게 하는 담백한 보컬로 상쾌한 분위기가 깃든 풋풋한 프러포즈 송을 완성시킨다. 연인과의 로맨틱한 저녁 산책을 시적인 가사로 노래한 ‘My love’는 서정적인 건반 연주와 포근한 가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앨범을 관통하는 부드럽고 편안한 사운드 내에서도 보컬리스트로서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한다. 원슈타인의 싱잉 랩이 더해진 트렌디한 알앤비 곡 ‘I’m gonna love you’는 디오 특유의 소울풀한 음색과 그루브가 돋보이며 라틴의 향기를 더한 어쿠스틱 발라드 ‘다시, 사랑이야’는 단단한 중저음의 음색, 브리지 구간의 화려한 기교, 그리고 은은한 허밍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보컬의 특성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화려했던 아이돌로서의 자아를 벗어나 디오의 내면적인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았다. ‘Rose’의 수줍은 사랑 고백 이야기나 먹먹한 감성으로 아버지께 바치는 ‘나의 아버지’ 같은 곡들은 숫기 없고 내성적이지만 섬세한 감성을 지닌 디오의 모습과 닮아 있다. ‘광야’로 향한 SM엔터테인먼트의 기획력에 영향을 받은 앨범이 아닌 가수 본연의 색깔을 능동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앨범은 ‘공감’의 힘을 발현한다.

– 수록곡 –
1. Rose
2. I’m gonna love you(Feat. 원슈타인)
3. My love
4. 다시, 사랑이야(It’s love)
5. 나의 아버지(Dad)
6. I’m fine
7. Rose(English ver.)
8. Si fueras mia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백현 ‘Bambi'(2021)

평가: 3/5

뚜렷한 색깔을 바탕으로 성장해 온 백현의 음악 세계관은 안정적인 영역 개척으로 이어진다. 여러 장르에 발을 담그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보컬 톤에 최적화 된 깊이의 알앤비 탐구에 가깝다. < Bambi >가 < City Lights >와 < Delight >의 연장선에 있는 알앤비 앨범이지만 사운드의 재질과 보컬 스타일, 감성과 분위기 면에서 분명한 차이를 가져가는 이유다. 스스로를 가두지 않고 다양한 사운드를 파생해내는 방향으로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그려나가고 있는 것이다.

보컬의 비중을 높인 것이 안정감의 비결이다. 30대의 섹시함을 노골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어필하는 ‘Bambi’는 사운드에 튀는 구석  없이도 화려한 기교와 자유자재로 변하는 보컬 톤으로 성숙한 양태를 입체적으로 그린다. 은근하게 매혹을 떨구는 스트링 선율과 백현의 가창만으로도 감각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에 부족함이 없다. 유려한 멜로디와 감각적인 그루브로 그린 ‘UN village’, 힙한 매력의 ‘Candy’와는 확연히 차별화 된 매력 포인트다.

‘Bambi’로 발휘된 가창의 견인력은 ‘All I got’에서 절정에 이른다. 아리아나 그란데를 연상케 하는 초고음과 휘슬 보이스의 연속은 시쳇말로 목소리의 ‘혼을 갈아 넣었다’고 느껴질 정도로 강한 폭발력이다. 상대적으로 연주의 존재감이 크지 않지만 최고의 악기인 목소리가 메인 소스로 작용하며 사운드의 풍성함을 잃지 않는다. ‘Cry for love’ 역시 다소 절제된 비트를 활용하는 대신 섬세하고 호소력 짙은 가창에 중심을 두며 목소리와 가사에 깃든 애절한 감정에 몰입을 유도한다.

단단하고 완전해진 백현의 보컬 역량을 마음껏 펼쳐놓고 성장과 변화의 흐름도 함께 담았다. 생각 이상의 ‘30’s Sexy’를 보여준 < Bambi >는 30대를 맞이한 백현 앞에 놓인 새로운 국면을 산뜻하게 시작하는 변화의 첫 발이자 전환점이다. 앨범의 무게중심을 보컬에 둔 전략도 성공적이다. 자신의 스타일을 온전하게 정립한 백현은 준수한 데뷔를 넘어 안정적인 알앤비 보컬리스트로 자리를 굳혀 나가고 있다.

– 수록곡 –
1. Love scene
2. Bambi
3. All I got
4. 놀이공원 (Amusement park)
5. Privacy
6. Cry for love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카이 (KAI) ‘KAI’ (2020)

평가: 2.5/5

엑소 퍼포먼스의 중심 카이가 8년 만에 그룹의 브랜드에서 벗어나 솔로 아티스트로서 새로운 막을 연다. 데뷔 후 지금까지 음악적 역량에 대해 주목받을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첫 솔로 앨범의 형상이 선명하게 그려지지는 않지만, 타이틀에 걸어놓은 자신의 이름 석 자에서 스스로에 대한 명확한 자신감이 충분히 드러난다.

첫 솔로앨범 < KAI >는 살짝 힘을 뺀, 알앤비 그루브를 강조한 곡들로 채워져 있다. 카이의 강점인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녹일 수 있는 힙합이나 SMP가 아닌 보컬에 큰 비중을 둔 장르를 택한 것은 다소 의외의 선택이다. 그의 화려하지 않은 가창과 미성의 음색, 그리고 알앤비의 결합은 쉽게 연상되지 않는 조합이라는 점에서 일종의 모험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아직까지 여섯 개의 솔로곡을 단독으로 이끌어가는 그의 음성은 꽤나 낯설다. ‘Ride or die’와 ‘Hello stranger’가 구사하는 부드러운 알앤비 사운드는 넓은 음역대와 난도 높은 멜로디에 부합하는 다양한 창법을 요구한다. 카이의 가창이 이를 매끄럽게 전개해주어야 하지만, 곡에 대한 주도권을 온전하게 쥐고 있다기 보다는 다소 경직되어 어색함을 유발한다.

그럼에도 타이틀곡으로 ‘음’을 선택한 것은 매우 영리한 판단이다. 미니멀한 사운드 위에 느린 템포, 그리고 감미롭고 끈적한 분위기를 더함으로써 담백한 카이의 음색과 제법 잘 어울리는 알앤비를 만든다. 유연한 알앤비 곡을 소화하기에 다소 임팩트가 부족한 가창의 약점을 메우고, 분위기에 포인트를 주는 방향으로 카이의 이미지가 지닌 강점을 강조하여 상호 보완을 이뤄낸다. 한마디로, 효과적으로 아티스트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성공적인 프로듀싱이 일궈낸 결과물이다.

알앤비 사운드에서는 동료 백현의 잔향이, 그리고 중성적인 섹시함을 강조한 타이틀곡에서는 샤이니 태민의 모습이 오버랩 된다. 확실히 다른 아티스트들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이미지를 완벽하게 정립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분명 백현의 보컬과는 달리 꾸밈 없는 가창의 담백함과 여린 감성이 있고, 스타일 면에서는 태민보다 야성적이고 러프하다는 점이 충분한 변별력을 보여준다. 솔로 아티스트로서 아직 완벽히 다듬어지지는 않았지만,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 수록곡 –
1. 음 (Mmmh) 
2. Nothing on me 
3. 기억상실 (Amnesia)
4. Reason
5. Ride or die
6. Hello stranger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카이(KAI) ‘음 (Mmmh)’ (2020)

평가: 3/5

그룹 엑소의 일원에서, 8년 만에 내 이름을 건 솔로 작을 냈다. 그간의 기다림을 양껏 펼치기엔 다소 적은 수록곡의 EP를 들고 왔지만 예열로는 충분. 사랑을 중심으로 써 내려간 다양한 스토리가 매끄러운 완급조절을 만나 준수하게 다듬어졌다.

타이틀 ‘음’의 가장 큰 승리는 안정적이라는 데에서 온다. 밀고 당기는 간결한 사운드 아래 이렇다 할 효과음도 없다. 곡 자체가 어렵지 않고 쉬운, 그럼에도 귀에 잘 감기는 선율을 갖고 있고 이게 무엇보다 카이의 중저음 보컬과 잘 섞인다. 뮤직비디오의 하늘색 상의, 빨간 바지 등 흔히 여성복으로 여겨지는 옷들과 절제를 중심으로 흘러가는 퍼포먼스에서 언뜻 같은 소속사의 태민이 스치기도 한다. 연상됨은 연상됨일 뿐. 곡은 홀로서기를 시작한 그의 탄탄한 스타트라인이다. 소화력과 표현력의 조화, 그리하여 안정적인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