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카밀라 카베요(Camila Cabello) ‘Familia'(2022)

평가: 3/5

공전의 히트 송 ‘Havana’와 한때 연인이었던 숀 멘데스와 함께한 ‘Señorita’는 쿠바 혈통의 카밀라 카베요를 라틴팝 공주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성공 가도 아래 발표한 정규 2집 < Romance >는 아쉬운 상업적 성과를 남겼지만, 최근 논란에 있는 래퍼 다베이비가 피처링한 ‘My oh my’가 싱글 차트 12위까지 역주행했다. 2021년은 멘데스와의 이별과 영화 < 신데렐라 >의 개봉이 겹쳐 활동이 미미했지만 3년 만의 정규작 < Famila >는 음악적 뿌리를 찾으려는 야심으로 가득 차 있다.

팬데믹의 괴로움은 안으로의 회귀라는 계기를 주었고 온전히 스페인어로만 된 세 곡이 방증이다. ‘Lola’는 쿠바 독재정권에 저항하는 민중들에게 경의를 표했으며 트럼펫 도입부가 돋보이는 ‘Celia’는 ‘살사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쿠바 출신 여가수 셀리아 크루즈에서 제목을 따왔다.

작년 7월에 선공개한 싱글 ‘Don’t go yet’은 랩을 첨가한 라틴 댄스곡이며 후반부에 쏟아지는 코러스가 생명력을 더한다. 에드 시런이 작곡과 보컬로 참여한 ‘Bam bam’은 시런의 리드미컬한 사운드에 쿠바 음악을 기반으로 한 살사와 21세기 라틴 음악의 주요 문법인 레게톤을 뒤섞는다.

비(非)라틴 트랙들은 무게감이 덜하다. 일렉트로니카 곡 ‘Quiet’은 평이하고 미니멀한 구성의 ‘Boys don’t cry’도 보컬만 선명해 라틴과 비라틴의 평형추 역할만 수행한다. 다만 윌 스미스의 딸로 유명한 배우 겸 가수 윌로우 스미스가 참여한 ‘Psychofreak’이 몽환적인 질감으로 감초 역할을 했다.

한층 성숙한 보컬은 다채로운 스타일을 아우른다. 빠른 템포의 곡들에선 라틴 팝 선배 가수 샤키라와 같은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농염한 음색으로 ‘즐거운 인생’이란 뜻의 ‘La buena vida’를 이끌어간다. 피프스 하모니 시절부터 < Camila >와 < Romance >에 이르기까지 영어로 된 곡을 주로 불러왔지만 이번 앨범에서 스페인어의 굴곡과 리듬감을 구현했다.

‘Havana’와 ‘Señorita’, ’My oh my’와 같은 라틴을 덧씌운 힙합 혹은 일렉트로니카로 정상을 맛본 카베요는 자신을 돌아볼 시간이 필요했고 그렇게 음악과 춤, 언어의 근원을 찾아가는 여정이 시작되었다. 마리아 베케라와 요투엘 같은 라틴 뮤지션들의 참여로 가족애를 강조했고 앨범 곳곳에 쿠바의 흔적을 남겼다. 국제적 성공을 거둔 스물다섯의 팝스타는 새 앨범 < Famila >를 통해 라틴 뮤직의 정통성을 모색했다.

– 수록곡 –
1. Familia
2. Celia
3. Psychofreak (Feat. WILLOW)
4. Bam bam (Feat. Ed Sheeran)
5. La buena vida
6. Quiet
7. Boys don’t cry
8. Hasta los dientes (Feat. Marica Becerra) 
9. No doubt 
10. Don’t go yet
11. Lola (Feat. Yotuel)
12. Everyone at his party

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카밀라 카베요(Camila Cabello) ‘Bam bam’ (Feat. 에드 시런) (2022)

평가: 2/5

뮤직비디오의 첫 장면부터 카밀라 카베요는 ‘Fuck’을 외치고 노래를 시작한다. 브라질의 살사를 바탕으로 한 경쾌하고 흥겨운 음악 안에서 그의 표정은 밝고 몸놀림은 가볍다. 이 모든 것들은 이별한 전 연인 숀 멘데스를 저격한다. 헤어져도 자신은 아무렇지 않고 완전히 극복했다는 것을 대놓고 드러내며 다시 일어나겠다는 의욕적인 가사 역시 같은 맥락이다.

2019년, ‘South of the border’에 이은 카밀라 카베요와 에드 시런의 두 번째 작업물은 에드 시런이 남미음악에도 재능이 있는 전천후 뮤지션임을 증명했으나 주요 멜로디의 작위적인 선율과 그것을 강조하기 위한 빌드업 과정은 부자연스럽다. 카밀라 카베요의 트레이드마크인 흥얼거리듯 무심하게 내뱉는 가창조차 자신의 심정을 교묘하게 가린다. 카밀라 카베요가 자신의 생일 다음날 발표해서 숀 멘데스에게 한 방 먹인 ‘Bam bam’은 유쾌한 ‘복수(復讐)’의 노래다.

Categories
Album POP Album

카밀라 카베요(Camila Cabello) ‘Romance'(2019)

평가: 2.5/5

라틴 팝 스타를 향한 카밀라 카베요의 원대한 항해가 위기에 처했다. 최근 십 대 시절 SNS에 남긴 인종차별 발언이 화제가 되고 다베이비(DaBaby)와 부른 ‘My oh my’가 표절 시비에 휘말리며 논란의 도마 위로 올라선 것이다. 이는 성공적인 솔로 데뷔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온 그의 이미지와 커리어에 동시다발적으로 받은 큰 타격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앞서 말한 몇 가지 논란을 감안하더라도 < Romance >는 충분히 눈여겨볼 만한 작품이다. ‘Havana’의 메가 히트를 중앙에 두고 다소 평이한 곡으로 주변을 메운 전작 < Camila >에서 훨씬 다채롭게 힘을 실은 변화가 서두에 드러난다. 첫 트랙인 ‘Shameless’는 강렬한 예시로, 간결한 기타 스트링으로 가벼운 긴장을 유도한 뒤 고음으로 점차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이른바 예열의 단계를 완벽히 수행한다.

이어지는 곡들은 몰입에 가속을 붙인다. 아이들이 노는 소리를 도입부에 삽입한 ‘Living proof’로 진부함을 벗어나거나, 라이오넬 리치(Lionel Richie)의 ‘All night long (All night)’을 레게톤으로 둔갑한 ‘Liar’로 본인의 라틴 캐릭터를 그려내기도 한다. 게다가 앨범 이름을 대변하기라도 하는 듯, 더욱 강화된 사랑 표현과 확신에 찬 당돌한 노랫말은 그가 매튜 허시(Matthew Hussey)와의 이별과 숀 멘데스(Shawn Mendes)와의 만남을 토대로 써 내려간 생생한 ‘로맨스’의 기록을 엿보게 하는 흥미로운 도구다.

다만 ‘Dream of you’의 불안한 고음 처리를 시작으로 작품은 집중력을 잃고 흔들리기 시작한다. 평범한 어쿠스틱 ‘This love’을 지나 무난의 극치를 달리는 ‘First man’까지. 후반부로 갈수록 그의 특기인 카멜레온 같은 음색과 농밀한 라틴의 향취가 전무한, 한 마디로 카밀라 카베요의 정체성과는 무관한 곡들이 쏟아져 나온다. 딱히 존재 이유를 느끼기 힘든 짐 같은 트랙들이다.

< Romance >는 영민한 시작으로 이목을 사로잡으며 기대감을 한껏 올려놓았으나 뒤로 갈수록 다시 평범한 결과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인다. 성숙을 요구한 < Camila > 이후로도 여전히 방향을 찾지 못한 채 방황하는 마무리가 바로 화근이다. 자신에게 성공을 가져다준 ‘Havana’와 ‘Señorita’가 대중이 원하는 라틴 사운드를 충족시켰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인이 가진 쿠바의 피를 좀 더 활용하려는 작전이 필요하다. 선택과 집중, 그리고 논란을 딛고 반성하는 태도. 항해를 재개하기 위해서 갖춰야 할 건 오만과 욕심을 덜어낸 선체다.

– 수록곡 –
1. Shameless 
2. Living proof 
3. Should’ve said it
4. My Oh My (Feat. DaBaby)
5. Señorita (Feat. Shawn Mendes)
6. Liar
7. Bad kind of butterflies
8. Easy
9. Feel it twice
10. Dream of you
11. Cry for me
12. This love
13. Used to this
14. First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