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하이 ‘4 Only’ (2021)

평가: 2.5/5

YG 시절 ‘보석함’이라는 타이틀이 누구보다 잘 어울릴 정도로 앨범 발매 텀이 길었던 이하이는 AOMG로 소속사를 옮긴 후 비교적 활발한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바버렛츠 안신애와의 합작품 ‘홀로’와 ‘For you’를 연달아 공개했으며 크러쉬, 그레이와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하는 등 뮤지션으로서 이전보다 자유로워진 행보를 보였다. 일 년간의 예열을 마친 그는 5년 5개월 만에 새 정규앨범 < 4 Only >를 꺼내 들며 한층 넓어진 음악 스펙트럼과 함께 2막의 시작을 알린다.

다채로운 장르의 시도를 통해 다양한 감정의 표현이라는 앨범의 주제를 구현한다. 이하이를 강하게 특징짓던 펑키(Funky)한 알앤비 소울의 색채를 걷어내고 신스팝, 발라드, 재즈 멜로디에 목소리를 녹여 앨범에 풍성함을 더했다. 라틴 풍의 ‘그대의 의도’와 빠른 템포의 리드미컬한 기타 연주로 흥을 더한 ‘물타기’는 이하이의 허스키한 중저음 보이스가 가진 매력을 강조하며 비아이와 세 번째로 호흡을 맞춘 ‘구원자’는 쓸쓸한 비장미가 깃든 재즈 사운드와 시적인 가사로 서정적인 정서를 떨군다.

소속사 이적 후 발매하는 첫 정규작인 만큼 같은 소속사 내의 여러 힙합 뮤지션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예상했으나 6곡을 작곡한 이하이의 참여 비중이 제일 크다. 웅장한 건반 연주의 무게감과 와일드한 보컬로 진한 잔상을 남긴 ‘Darling’은 자작곡 중 단연 돋보이며 프로듀서 그레이와의 색깔을 적절하게 믹스한 ‘Bye’는 리드미컬한 템포와 그루비한 보컬의 조화가 돋보인 매력적인 신스팝이다.

음악적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듣는 재미를 더했으나 타격감을 주는 곡은 부족하다. 무엇보다 타이틀곡 ‘빨간 립스틱’은 위켄드, 두아 리파 등으로부터 이어져 온 디스코 풍 신스웨이브 사운드의 트렌드를 그대로 따르며 곡에서 화자의 존재감을 흐릿하게 만든다. 타샤니의 ‘경고’를 오마주 하며 윤미래를 피처링으로 대동한 것 또한 신선한 전략이라기보다는 뻔한 흐름의 일부에 가깝다. AOMG 이적과 함께 기대를 모았던 코드 쿤스트와의 협업곡 ‘어려워’와 ‘안전지대’마저 나른하고 몽환적인 사운드와 밋밋한 조화를 이룰 뿐이다.

< 4 Only >는 7년간 YG의 철저한 기획 하에 만들어진 가공의 정체성을 깨고 가수 본연의 주체성을 발현하기 위한 터닝 포인트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특유의 독특한 음색과 개성을 돋보이게 해준 ‘1,2,3,4’, ‘It’s over’, ‘Rose’ 등 초기 활동곡들과 같은 강한 소구력을 발휘하지는 못하지만 자신의 목소리를 크게 반영한 만큼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이 깃들었다. 아직은 미약한 발돋움이지만 이하이의 본격적인 색채 변화는 주목할 만한 행보다.

– 수록곡 –
1. 구원자 (Feat. B.I)
2. 그대의 의도
3. 물타기
4. Bye
5. 빨간 립스틱 (Feat. 윤미래)
6. 머리어깨무릎발 (Feat. 원슈타인)
7. 안전지대
8. 어려워
9. Darling
10. Only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코드 쿤스트(Code Kunst) ‘PEOPLE'(2020)

평가: 3.5/5

3년 만에 선보인 < PEOPLE >은 그가 선보인 앨범 중 가장 친절하면서 명확하다. < MUGGLES’ MANSION >이 뮤지션과 프로듀서 사이의 밸런스를 두고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흔적이 역력했다면, 이번 작품은 자로 잰 듯 치우침 없이 반듯하다. 힙합, 알앤비 씬의 현주소를 그대로 옮겨 놓은 참여진의 화제성과 캐릭터에 걸맞은 해석을 뒷받침하는 유려한 프로덕션은 균형감을 극대화하는 요소다.

서사를 관통하는 기타 리프는 게임 체인저를 자처한 씨잼과 사이먼 도미닉 듀오에 의해 한 템포 멀어진다. 선공개 곡 ‘JOKE!’는 트랙 리스트 중앙에서 이질적이면서 독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KnoCK’이 쏘아 올린 서정적 긴장감을 강력한 개성을 통해 순간적으로 잠재우고, 중반 즈음 등장하는 ‘Get Out’과 ‘Rollin’을 더욱 또렷하게 밝힌다. 트랙 간의 전후 구조를 단단히 잇는 역할 덕에, 자칫 흐릿한 인상으로 귀결될 수 있었던 후반을 다시금 도입부 무드로 자연스레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정적인 짜임새를 넘어 뮤지션의 개성까지 세심하게 신경 쓴 자리 배치다.

용의주도함 속에서 주제 의식을 강화하는 것은 프로듀서의 관조적 태도다.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두고 각자 자유로이 말할 수 있도록 한 발짝 뒤로 물러섰다. 인간 군상을 꽃의 외관과 상징성에 비유한 ‘꽃’, 허상뿐인 인간관계에 염증을 느낀 ‘F(ucked up)’ 등 사람이라는 대주제 안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감정을 소주제 삼아 이야기를 풀어냈다. 앨범의 끝은 사람을 계속해서 믿어보자고 다독이는 ‘PEOPLE’로 맺으며, 허무나 회의가 아닌 사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관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그동안 코드 쿤스트의 행적에는 수많은 만남이 있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재능을 한껏 펼쳐 대중과의 접점을 형성했고 소속사를 옮기며 새로운 동료들과 작업 환경을 얻었다. 만남 속에서 함께한 사람들은 그가 추구하는 예술의 임계점을 허물고 자연스레 영감과 소통의 원천이 되었다. 어느 정도 작가주의에서 해방된 상태에서 써내린 < PEOPLE >은 신선함은 적을지언정 그의 현재와 미래 작업 방향성을 되짚는 따뜻한 해례다.

– 수록곡 –
1. KnoCK (Feat. 백예린)
2. 꽃 (flower) (Feat. 박재범, 우원재, 기리보이) 
3. Xii
4. O (Feat. 이하이)
5. Woode
6. F(ucked up) (Feat. 개코, GRAY) 
7. Set me Free (Feat. Loopy, Jvcki Wai)
8. JOKE! (Feat. C JAMM, 사이먼 도미닉) 
9. Get Out (Feat. Kid Milli, EK, HAON (하온))
10. Rollin (Feat. pH-1)
11. Let u in (Feat. DeVita, Colde)
12. Dirt in my HEAD (Feat. 카더가든)
13. Bronco (Feat. 뱃사공, BLNK, jayho, 재달 of LEGIT GOONS)
14. 춤 (Feat. 넉살) 
15. PEOPLE (Feat. Paloalto, The Quiett) 
16. (Bonus track) 01 No more 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