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시마 킴(Sima Kim) ‘Plugged Eyes'(2021)

평가: 3.5/5

10년이라는 길다면 긴 시간 동안, 우직하게 걸어온 여정은 같은 곳을 향하고 있다. 첫 작품이기도 한 < Softness >(2011)의 멜로우함과 부유감은, 신작인 < Plugged Eyes >(2021)에서도 여전히 그 날숨과 들숨을 반복하고 있다. 변한 것이 있다면 음악이라는 이름으로 서려 있던 불분명함이 뚜렷한 이미지로 각성해 있다는 사실이 아닐까. 마치 무슨 의미인지 알기 힘들지만 강렬하게 다가오는 어느 한 폭의 그림처럼.

시마 킴(Sima Kim)은 영국, 호주 등 해외를 중심으로 앰비언트 뮤직만을 일관성 있게 쫓아온 아티스트이다. 낯선 이들을 위해 잠시 설명하자면, 앰비언트 뮤직은 한마디로 말해 ‘공간의 음악’이다. 우리가 흔히 음악을 들으며 느끼는 명확한 비트와 멜로디 등의 존재감은 미미하고, 그 공백을 무의미한 음색이 하염없이 떠도는 듯한 느낌. 조금은 막연할 수 있는 미니멀리즘이 지배하는 음악이라고 하면 이해가 빠를 듯싶다. 해당 카테고리의 대표 뮤지션이라면 역시 브라이언 이노(Brian Eno)를 들 수 있으며, 대표작인 < Ambient 1: Music For Airports >(1978)은 ‘앰비언트’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작품으로 해당 장르를 이해하는 데에 교과서처럼 언급되는 결과물이기도 하다.

오브(The Orb)나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과 같은 팀들이 대중적인 비트를 접목해 앰비언트 하우스라는 이름을 붙여 주류로 격상시켰지만, 그의 음악은 소위 ‘드론뮤직’이라고 불리는 미니멀리즘을 강조하며 트렌드의 반대편에서 정체성을 구축해왔다. 장르의 본질에 자연의 온화함을 덧댄 < Songs >(2012)가 있었고, 신시사이저를 통해 정적인 사운드 속 역동성을 새겨낸 < Whatever >(2014)도 있었다. 일본의 비트메이커 류에이 코토게와의 합작을 통해 전 세계의 힙스터들의 이목을 모은 < Exchange >(2015)는 어떤가. 아이돌을 제외한 한국의 음악가가 피치포크에 소개된 첫 사례이기도 했던 그의 음악 세계는, 큰 줄기는 유지한 채 과감한 시도를 거듭했던 일종의 실험실과도 같았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한 인간성 삭제로 음악 자체의 의미를 탐구한 < You Won’t Find My Punchlines Here >(2016)과 적극 개입한 전자음이 잔뜩 날을 세운 < It’s A Dream, Take Control >(2016), 43분여의 장대한 모호함을 통해 듣는 이들에게 음악이라는 존재에 의문을 던지는 ‘Ecology of sound’(2016)로 이어지는 펀치라인 트릴로지 이후 꼭 5년. 갑작스러운 활동 재개로 생존을 알린 그의 신보 < Plugged Eyes >(2021)는 잠시간의 익숙함 후에 파도와 같은 낯섦이 몰려오는 작품이다. 첫 감상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잔존하는 정서는 전과 유사하되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에 꽤나 큰 변화가 일어난 탓이다.

이전 작품과 비교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차이점은, 소리들이 그려내는 스케이프가 이전의 모호함과 달리 뚜렷한 이미지를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반적으로 명확해진 사운드와 맥락을 갖춘 선율의 전개는 마치 어느 시각적 심상을 청각으로 풀어낸 듯한 인상을 가져온다. 인트로의 메인 테마를 중심에 놓고 여러 겹의 사운드레이어가 입체적인 공간감을 부여하는 ‘Temple’은 이를 나타내 상징적 트랙. 미처 조율이 되지 않은 애처로운 피아노 연주가 여러 효과음들에게 공격받는 듯한, 인간성 거세의 삭막함이 느껴지는 ‘Vanished fantasy’까지. 앞선 두 곡만 듣더라도 예전의 그와는 다른 에고가 전개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러한 시각적 심상의 청각화는 그가 공백 기간 동안 전념했던 아트스쿨에서의 경험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디자인과 시각예술을 공부하며 생겨난 또 다른 표현방식이 음악적 자아와 결합해 태어난 또 다른 아이덴티티. ‘음악’을 듣는 것에서 나아가 보이는 것으로도 완성될 수 있음을 시도해보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비교적 잔잔한 물결의 한 가운데에 금방이라도 파고가 일어날 것만 같은 폭풍전야의 세계가 눈앞에 그려지는 ‘Corridor’, ‘Vanished fantasy’의 결을 이어가되 역동적인 비트가 더해져 그 골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앨범 타이틀과 동명의 곡 ‘Plugged eyes’까지. 홈메이드 신시사이저로 구축한 가상의 세계는, 실제 역사를 배경으로 하되 가상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중남미 문학의 마술적 리얼리즘과도 맥이 닿아있는 듯한 환상성, 비일상성이 깊숙한 곳에서 까만 얼굴을 은근히 드러내고 있다.

소개 글에는 인류가 사라지고 자연과 인간의 유물인 기술만이 존재하는 세상을 관찰한 결과 태어난 작품이라고 적혀 있다. 이처럼 기계화가 가속되어 가는 사회를 향한 시선은 여전히 냉소적이다. 다만 청각과 청각의 일대일 매칭을 이루었던 지난 작품들과 달리, 시각과 촉각 등 공감각적인 영역으로 나아가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보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이전보다 선명해진, 손을 뻗으면 잡힐 것만 같은 그런 소리 세계를 통해 그는 여러 질문을 던지고 있지만, 그저 수동적인 청취만으로는 그 맥락을 잡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더군다나 대중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 아티스트의 친절함이 미덕인 시대다. 앰비언트라는 생경하고 불친절한 걸어온 그에게, 기계화, 시스템화 되어가는 음악 신에 있는 우리는 과연 어떤 대답을 건넬 수 있을지. 이 작품이 가지는 의미는 수록곡들을 대하는 각자의 태도에 달렸다. 그가 역설적으로 회복을 종용하고 있는 듯한, 스스로 생각하고 사유하는 ‘인간적인’ 애티튜드 말이다.

-수록곡-
1. Temple
2. Vanished fantasy
3. Corridor
4. Plugged eyes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달의 소녀 ‘[&]’ (2021)

평가: 3/5

복잡하고 장대한 세계관에서 출발한 이달의 소녀는 발랄한 소녀들의 모습을 담은 데뷔곡 ‘Hi high’, 몽환적인 분위기의 ‘Butterfly’, 반항적인 걸크러시 콘셉트의 ‘So what’ 등 장르적 변화를 통해 스펙트럼을 확장해 왔다. 아직 음악 정체성 면에서는 뚜렷한 색깔로 정의 내릴 수 없지만 이들이 줄곧 노래해 온 소녀들의 주체성만큼은 세계관의 흐름과 함께 올곧게 이어진다. < [&] >이라는 앨범 제목은 소녀들이 서로 하나가 되어 그룹만의 색깔로 세계를 물들이겠다는 당찬 포부를 반영하며 영역을 한 발짝 넓혀 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당당한 메시지는 강렬하고 에너지 넘치는 음악으로 나타난다. 신비로운 이미지에 파격적인 변화를 주었던 ‘So what’의 기조를 계승한 타이틀곡 ‘PTT’는 지금껏 들려준 적 없는 공격적인 멜로디가 요동친다. 드럼과 타블라를 비롯한 타악기 연주의 폭발력과 에스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플루트 소리까지. 발리우드의 음악적 요소에 덥스텝, 힙합 리듬까지 혼재한 음악은 풍성한 들을 거리로 몰입을 더한다. 다만 세계관과 일치하는 곡의 분위기와는 별개로 장르적 특색은 (여자)아이들, 에버글로우, 블랙핑크 등의 노래를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개성을 흐릿하게 한다.

사운드의 임팩트에 비해 그룹의 정체성을 선명히 드러내지 못한 타이틀곡과 달리 수록곡에서는 이달의 소녀만의 매력이 톡톡 튄다. 그루비한 재즈 풍의 곡 ‘Wow’는 리드미컬한 멜로디에 멤버들의 화려한 가창이 돋보이며 신선한 코드 변주와 효과음으로 재미를 더한 ‘Be honest’는 예사롭지 않은 형태의 여름 노래다. 로파이 한 사운드의 ‘U r’는 청아한 음색으로 이달의 소녀 특유의 몽환적이고 아련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그룹의 정체성을 일깨운다.

호평을 받았던 < [X X] > 앨범의 ‘Butterfly’ 이후 성장을 보였던 이달의 소녀는 상반된 분위기의 ‘So what’과 ‘Why not?’을 거치며 점차 본연의 스타일이 옅어졌다. ‘PTT’ 역시 그룹 고유의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그룹의 색깔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가깝다. 오히려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콘셉트와 장르의 변화 속에서도 팀만의 세계관을 온전히 지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만들며 광활한 세계관에 대한 설득력을 더해간다.

– 수록곡 –
1. &
2. PTT (Paint the town)
3. Wow
4. Be honest
5. Dance on my own
6. A different night
7. U r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혼돈의 장: Freeze’ (2021)

평가: 3/5

청춘만큼 흔한 소재는 없지만, 이러한 격동의 시기를 투모로우바이투게더만큼 체계적으로 풀어내는 팀은 없을 것이다. 두 번째 정규 앨범 < 혼돈의 장: Freeze >은 나, 너 그리고 세상을 인식하는 실제 성장기의 절차를 반영하면서도 특유의 판타지 요소를 심어 넣는다. 사랑이라는 일반적인 주제를 점차 밖으로 나아가는 소년들이 냉담한 사회 앞에서 얼음처럼 굳어버린다는 콘셉트로 거대하게 부풀려 그룹 고유의 정체성을 초점화한다.

더 넓어진 시야를 담아 사랑을 마주한 이들은 스스로를 안티 로맨티스트라 부르며 (‘Anti-romantic’) 두려움을 드러내다가 너만큼은 사랑한다는 확신 (‘0X1=Lovesong’)을 보이기도 한다. ‘0X1=Lovesong’은 로킹한 사운드와 피처링, 2가지를 새로이 시도하면서 팀과 잘 어우러졌다는 점에서 온전한 타이틀 감이다. 웅장한 코러스를 바탕으로 패기 넘치는 드럼과 내달리는 록 스타일, 적당히 밸런스를 잡아주는 서리의 보컬까지 깔끔한 만듦새다.

그룹 초창기의 통통 튀는 색감과 < 꿈의 장: Eternity >의 우울함을 적절히 섞은 장르에서 집약과 폭발을 적절히 오가는 장기를 보인다. ‘Uptown funk’의 도입부가 떠오르는 그루비한 기타 라인의 ‘No rules’는 작사에 멤버가 대거 참여해 장난스러운 에너지를 탈 없이 전파한다. 이와 더불어 타이틀보다 전면적으로 록을 표방한 ‘디어 스푸트니크’를 통해 그룹의 강점이 명징하고 열정이 넘실거리는 사운드에서 증폭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다시 말하자면, 꽉 찬 사운드가 아닌 트랙을 선보일 때는 전달이 애매해지는 양면을 지닌다는 것이다. 사운드의 진폭이 좁은 오토튠 ‘밸런스 게임’과 미니멀한 신시사이저 위주의 ‘소악행’은 쉬어 가는 것도 아니고 그룹의 생기를 명확하게 비춰내지도 않는다. 또한 혼란 앞에서 얼어버린다는 앨범의 주제와 가장 적합한 ‘Frost’는 ‘동물원을 빠져나온 퓨마’의 잔상 탓에 마무리의 매듭이 단단하지 않다. 밋밋한 멜로디를 확 잡아챌 만한 가창이 아직은 도드라지지 않은 탓이다.

‘Mad at disney’로 이름을 알린 샐럼 일리스, 런던 중심으로 활동하는 애쉬니코를 포함한 스타 작곡진의 참여. 그리고 방탄소년단의 ‘Dynamite’, ‘Butter’의 기조를 이어가는 디스코 팝의 ‘Magic’으로 외수 공략을 본격화한다. 세계로의 발 뻗음을 놓치지 않으면서 여러 방면에서의 실험을 꾀했고 잘 꾸려진 조화를 낳았다. 대중적 감각보다 TXT 자체의 스토리텔링에 더 주안점을 둔, 그들만의 길을 잘 소개하는 앨범.

-수록곡-
1. Anti-romantic
2. 0X1=Lovesong (I know I love you) (Feat. Seori) 
3. Magic
4. 소악행
5. 밸런스 게임
6. No rules 
7. 디어 스푸트니크 
8. Frost

Categories
Album POP Album

더 블랙 키스(The Black Keys) ‘Delta Kream'(2021)

평가: 3.5/5

블랙 키스는 2000년대 초반 일어난 개러지 록 리바이벌 물결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었다. 인디 밴드 시절부터 블루스를 기반으로 한 원료 그대로의 개러지 사운드가 여타 개러지 밴드와의 차별점으로 작용해 두각을 나타냈고 < Brothers >, < El Camino >의 흥행으로 상업적 성취까지 이뤄내며 지금까지 미국 개러지 록 밴드의 구심점을 담당한다.

전작 < Let’s Rock > 투어를 마친 뒤 20년 동안 빼곡히 채운 블랙 키스 이력서에 < Delta Kream >은 중요한 분기점이다. 시작은 멤버 댄 아우어바흐와 패트릭 카니가 유년시절부터 심취하고 습득해온 날이 선 블루스 본능을 여과 없이 분출하면서부터. 앨범은 영감의 근원을 상기시키기 위해 실행한 커버 프로젝트로 이 듀오의 음악적 뿌리로 여겨지는 ‘힐 컨트리 블루스’의 전통을 계승한다.

이 앨범은 2006년에 공개한 < Chulahoma >로 이미 그 존경심을 드러낸 주니어 킴브러를 포함해 알 엘 번사이드,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 등 아메리칸 블루스 전설들의 발자취를 따른다. 실제 알 엘 번사이드의 사이드맨으로 활동했던 기타리스트 케니 브라운과 주니어 킴브러의 베이시스트 에릭 디튼이 세션에 합류하면서 드문 코드 변경과 꾸준한 기타 리듬이 형성한 그루브가 특징인 힐 컨트리 블루스의 기조를 생생하게 유지한다.

알 엔 번사이드 원곡에 비해 전체적으로 느슨하지만 팽팽하게 주고받는 악기 간의 호흡이 더해진 ‘Poor boy a long way from home’을 필두로 한층 덜어낸 베테랑들의 연주가 유연하게 흐른다. 데뷔작 < The Big Coming Up >에서 거칠게 연출한 주니어 킴브로의 ‘Do the rump’를 부드러운 톤으로 재해석해 블랙 키스의 조율 능력이 상당함을 공표한다. 한편 가성 보컬과 케니 브라운의 능란한 슬라이드 기타가 인상적인 ‘Going down south’의 현대적 번역은 시간을 역행하며 알 엘 번사이드가 활동하던 그 시절 미국 남부의 허름한 선술집으로 공간을 옮겨 놓기도 한다.

그 동안 블랙 키스가 강조한 고전적 블루스의 정체성을 깊숙하게 파고들어 산뜻한 질감으로 구현한 < Delta Kream >으로 이들은 힐 컨트리 블루스의 유산을 충실하게 기록한다. 팀의 고유성을 견고히 다듬으며 블루스로의 회귀를 선택한 10번째 정규작 < Delta Kream >은 데뷔이래 지속해서 추구해온 지향점이자 그들만이 시도할 수 있는 과감한 찬사다.

-수록곡-

  1. Crawling kingsnake
  2. Louise
  3. Poor boy a long way from home
  4. Stay all night
  5. Going down south
  6. Coal black mattie
  7. Do the romp
  8. Sad Days, lonely nights
  9. Walk with me
  10. Mellow peaches
  11. Come on and go with me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정승환 ‘다섯 마디'(2021)

평가: 3/5

‘발라드 세손(世孫)’ 정승환이 초심으로 돌아왔다. 데뷔 앨범 < 목소리 >를 시작으로 줄곧 한 장르만을 고수해 왔지만 대표곡 ‘이 바보야’, ‘너였다면’ 같은 정통의 스타일만을 고집하지는 않았다. 2019년에 발매된 앨범 < 안녕, 나의 우주 >는 동화적인 분위기의 말랑말랑한 곡들 위주였고 최근에 공개했던 ‘언제라도 어디에서라도’, ‘십이월 이십오일의 고백’은 각각 여름과 겨울을 겨냥한 곡이었다. 새로운 시도를 이어오던 정승환은 < 다섯 마디 >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시그니처 음악으로 돌아와 그가 가진 목소리의 강점을 발휘한다.

정승환 특유의 말하듯 자연스러운 가창에 집중하며 음악적으로 큰 특색 없이 담백한 구성의 앨범을 완성했다. 타이틀곡 ‘친구, 그 오랜 시간’은 풋풋한 짝사랑의 고백을 표현한 가사와 꾸밈없는 보컬이 만나 스트링 선율과 건반 연주만으로 서사의 드라마틱한 감정선을 세공한다. 곡에 영감을 준 드라마 < 응답하라 1988 >의 러브 스토리와 소심한 고백을 표현하는데 탁월한 유희열의 작사, 그리고 한층 성숙해진 정승환의 애절한 음성까지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사랑 노래다.

이중에서 아이유가 선물한 ‘러브레터’는 수록곡 중 단연 눈에 띈다. 아이유가 < 유희열의 스케치북 >에서 제목도 없이 불렀던 미공개 자작곡은 곽진언의 기타 연주와 정승환의 따뜻한 음색으로 전하는 어쿠스틱 곡으로 재탄생했다. 분명 화제가 되는 조합이지만 정승환의 보컬이 가진 강점보다 아이유의 감성이 부각된다는 점에서 기대감은 식는다. 한국형 발라드의 정석을 들려준 ‘그런 사람’과 자작곡 ‘그대가 있다면’에서의 색깔이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다.

한국 발라드는 감정을 쥐어짜고 슬픔을 강요하는 클리셰로 인기를 끌었지만 서정적인 연가의 백미는 잔잔한 감동과 함께 진한 여운을 주는 데 있다. 정승환의 노래에는 뚜렷한 기승전결도, 전율을 일으키는 고음과 화려한 테크닉도 없지만 가슴을 울리는 먹먹함이 있다. 초심으로 돌아간 그의 음악이 당장의 강한 인상을 주지는 않지만 섬세하게 쌓아 올린 역량만으로도 자신의 영역을 확고하게 증명한다.

– 수록곡 –
1. 봄을 지나며
2. 친구, 그 오랜시간
3. 그런 사람
4. 그대가 있다면
5. 러브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