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에스파(aespa) ‘My World’ (2023)

평가: 2.5/5

에스파에게 이번 EP는 특히나 중요하다. 내부에서는 전작 < Girls >의 부진과 소모적인 갓더비트(GOT the beat) 활동에 이수만 프로듀서가 강제했다는 ‘나무 심기’ 가사 논란까지 있었고, 외적으로도 SM 엔터테인먼트의 인수합병 등 불리한 상황의 연속이었다. 악당 블랙맘바와 싸우던 가상 세계 광야를 벗어나 현실 세계로 진입한 것은 접근장벽을 낮추고 대중적 입지를 되찾으려는 의지로 읽을 수 있다.

나이비스(nævis)의 피쳐링을 지우면 에스파의 곡이 아니라 해도 믿을 만한 ‘Welcome to my world (Feat. 나이비스)’와 달리 타이틀곡 ‘Spicy’는 절충적이다. 일상적 풍경 속 온갖 이상 현상이 벌어지는 뮤직비디오처럼 복잡한 세계관 가사를 내려놓았으나 자극적인 질감의 외피는 유지하고 있다. 사이버 전사의 정체성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다른 말로 하면 타협이다. 그룹의 색채와 대중성을 모두 잡으려고 한 탓에 결과적으로 ‘Spicy’는 독창성도 옅고 클리셰적인 맛도 부족하다. 두 번 등장하는 포스트 코러스(‘Don’t stop 겁내지 마’)를 제외하면 답답한 단조 멜로디는 마땅히 해소되지 못하고, 귀 아픈 전자음이나 곡을 가득 채운 랩도 유의미한 구심점으로 기능하는 대신 f(x)의 ‘Hot summer’나 있지(ITZY) 등의 기시감을 불러일으킨다.

쟁점은 특정 사운드가 아니라 태도에 있다. 진한 PC 뮤직 스타일 리듬의 ‘Salty & sweet’이 안일한 훅과 함께 침몰하는 반면, 선율과 음색이라는 기본 재료 위주로 꾸린 ‘Thirsty’와 ‘I’m unhappy’가 오히려 와닿는 대조적 상황이 이를 말해준다. 마찬가지로 레드벨벳의 잔상이 강하지만 감각적인 후렴과 소셜 미디어에 반감을 표하는 가사 등 곡 자체의 매력은 출중하다. 급진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면 아예 보편성의 측면으로 과감히 파고드는 것도 하나의 대책이 될 수 있다.

이미 하반기 또 다른 앨범을 예고했듯이 신보는 그룹에게 드리워진 부정적 이슈를 일차적으로 씻어내려는 전략적인 수다. 당연히 음악적으로도 속 시원한 해답보다는 다음 단계 및 장기적 행보를 둘러싼 고뇌의 과정에 가깝다. 복귀와 함께 이미지 확장이라는 자체 목표 완수에는 성공했으니 이번의 도움닫기를 이어질 도약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 My World >는 영토 점령의 선포보다는 경계를 넘어 관문을 여는 신호다.

-수록곡-
1. Welcome to my world (Feat. 나이비스)
2. Spicy
3. Salty & sweet
4. Thirsty
5. I’m unhappy
6. ‘Til we meet again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볼빨간사춘기 ‘사랑.zip’ (2023)

평가: 3/5

대중이 기대하는 볼빨간사춘기의 음악은 확실하다. 화사한 봄을 닮은 낭만적인 멜로디와 예쁘장한 어쿠스틱 기타 사운드, 또는 침울하게 내면의 아픔을 토로하는 발라드의 이미지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된다면 공감대를 형성하는 정서 밀착형 가사가 될 것이다. 공고한 캐릭터는 쉬운 길을 보장하지만, 욕심이 있는 아티스트라면 이를 오히려 쇄신을 위한 자극제로 삼기 마련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봄에 맞춘 발매 시기 등 < 사랑.zip >은 외견상 익숙한 볼빨간사춘기 이미지의 연속처럼 보인다. 그러나 음악을 뜯어보면 미묘한 차이점이 있다. ‘Chase love hard’의 독특한 발음은 데뷔 초 보컬을 연상시키면서도 보다 주도적으로 리듬을 밀고 당기며, ‘Love story’의 연장선상에 놓인 ‘Friend the end’에서는 바삭바삭한 일렉트릭 기타를 한층 전면에 내세웠다. 안전지대 내에서 도모한 나름의 변주다.

시도가 성공의 동의어는 아니다. 챈트 형식의 존재감이 큰 나머지 ‘Chase love hard’의 황민현은 게스트로서 온전히 녹아들지 못하고 겉돌며, ‘Friend the end’는 소극적인 멜로디 진행으로 움츠러든 아이유의 ‘Blueming’을 듣는 듯하다. 저음이 강해진 목소리 변화에 맞춘 결과물이겠지만 그만큼 옅어진 생동감을 메꿔줄 장치가 ‘friend’와 ‘the end’를 이용한 언어유희로는 부족한 감이 있다.

흥미로움은 수록곡에서 발견된다. 로마에 사랑을 표하는 ‘Rome’은 ‘여행’처럼 해맑은 인사 대신 건조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오묘함을 유지하는 선율과 짤막한 기타 브릿지가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으며 반복 청취를 유도한다. 비슷한 결에서 전형적인 발라드 ‘사랑이 이별이 돼 가는 모습이’보다 ‘좋은 꿈 꿔 0224.mp3’의 여운이 더 크다. 아쉬울 정도로 짧은 러닝타임에 조심스레 해석의 여지를 남김에 따라 음반의 키워드인 ‘사랑’이라는 단어를 곱씹게 만든다.

물론 이러한 곡을 볼빨간사춘기의 새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는 어디까지나 흥행 공식을 놓을 수 없는 대중가수의 영역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 사랑.zip >은 변화와 유지 사이에서 원만한 합의를 이룬 작품이라 볼 수 있다. 다만 내심 드러내듯 ‘워커홀릭’이나 ‘나비효과’ 등에서 보여줬던 변신 의지를 계속 담아두고 있다면 배짱을 더 갖춰도 괜찮아 보인다. 사춘기가 지났다고 해서 음악을, 미래를 굳어버리게 둔다면 아까우니까.

-수록곡-
1. Chase love hard (Feat. 황민현)
2. Friend the end
3. Rome
4. 사랑이 이별이 돼 가는 모습이
5.좋은 꿈 꿔 0224.mp3

Categories
KPOP Album

르세라핌(LE SSERAFIM) ‘Unforgiven’ (2023)

평가: 2/5

어느 때보다 여성 아이돌의 인기가 뜨거운 지금 르세라핌은 ‘이야기 속 주인공 되기’ 전략으로 차별을 둔다. 에스파가 얼마 전 발매한 신보 < My World >로 가상에서 현실세계로의 이동을 선언했고, 아이브와 (여자)아이들이 ‘주체성’이란 바운더리 내에서 세계관보단 메시지 전파에 열을 올리며 ‘우리 곁의 아이돌’이 된다면 이들은 다르다. 르세라핌이 몰두하는 건 ‘Fearless’ 두려운 것이 없고, ‘Antifragile’ 충격받을수록 더 강해지며, 용서 따위는 바라지 않는 ‘Unforgiven’ 즉, 용서받지 못한 자로서의 ‘나 만들기’이다. 이때 이들의 메시지가 선명해지려면 르세라핌의 세계가 살아있어야 한다. 곤경, 고난, 서사가 맞닿았을 때야 노래의 외피가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2022년 데뷔 후 발매한 2장의 EP 수록곡 일부와 7개의 신곡을 묶은 첫 번째 정규음반 < Unforgiven >엔 세계관 정립을 위한 노력이 곳곳에 자리한다. 그 제목부터도 선언적인 ‘The world is my oyster’부터 ‘The hydra’, ‘Burn the bridge’가 대표적이다. 한국어, 일본어, 영어를 혼용해 ‘나는 꺾이지 않아’, ‘나는 점점 더 강해져’, ‘나랑 저 너머로 같이 가자’ 외치는 내레이션은 앨범에 독특한 질감을 형성하며 곡에 서사를 덧댄다. 실제로 앞서 언급한 노래들은 각각 ‘Fearless’, ‘Antifragile’, ‘Unforgiven’의 바로 앞에 배치되며 이어지는 음악의 메시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또 그에 맞는 이미지를 직선적으로 그려낸다.

친절한 안내를 통해 다다른 르세라핌의 ‘현실’은 여기가 아니라 ‘저 너머’에 가깝다. 그룹 세계관을 웹툰으로 그린 < 크림슨 하트>가 수록곡 ‘Blue flame’을 BGM으로 “푸른 반딧불이를 따라 마법의 황야”로 떠나는 여정을 담듯, 이들은 계속해서 ‘저 너머’ 어딘가로 ‘모험’을 떠난다. 신보의 후반부 배치된 신곡들로 미뤄볼 때 금번 이들의 행보는 용서받지 못할지라도 금기를 깨고 앞으로 나아가는 쪽으로 향한다. 타이틀 ‘Unforgiven’의 손을 맞잡고 앞으로 걸어 나가는 퍼포먼스가 이를 증명, 음악관에 힘을 싣고자 한다.

이처럼 음반은 내레이션, 콘셉트 확장을 위한 웹툰, 댄스 퍼포먼스 등 그룹 세계관 형성을 위해 총력을 다하지만 되려 작업의 단합력이 부족하다. ‘Unforgiven’을 두고, 르세라핌을 “용서하지 않은 자가 누구냐”라 질문은 이들이 만들어 나가는 서사의 기반이 탄탄치 않음을 보여준다. 이야기의 빈틈을 메울 만큼 음악이 강하지도 않다. 영화 < 석양의 무법자 >의 메인 선율을 가져오고, 유명 기타리스트 나일 로저스가 참여한 것이 무색하게도 곡에 이 소스들의 잔향은 옅다. 애써 귀 기울이지 않으면 흔적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

다시 말해, “우리들 만의 길을 가겠다”는 르세라핌의 도전이 기존 작업물의 모음집 격인 이번 음반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서사로 여타 아이돌과 구별되는 지점을 만들려 했으나 갑자기 등장하는 흥겨운 브라스 세션 기반의 ‘No-return’이 말하는 모험에 동참하고 싶은 의지가 지금으로써는 잘 생기지 않는다. 뜬금없는 위치에 배치된 팬송 ‘피어나’, 이지 리스닝 계열의 ‘Flash forward’, 라틴 장르를 가져온 끝 곡 ‘Fire in the belly’로 이어지는 구성 역시 헐겁다. 금기를 부수겠다며 강렬한 모습을 보이다 급 힘을 풀어버리니 이들의 외침도 흩어져 버린다.

음악과 서사가 합쳐져 시너지를 낼 때, 르세라핌의 모험은 생명력을 얻는다. 그것이 이들이 데뷔 이래 지금껏 몰두하는 단 한 가지 가장 큰 지향이다. 목적지가 어딘지 불확실한 지금, 이 연대에 손을 얹기가 어렵다. 장황하다. 캐릭터 혹은 주인공 만들기에 급급해 중심이 흔들린 음반. 정리가 필요하다.

– 수록곡 –
1. The world is my oyster
2. Fearless
3. Blue flame
4. The hydra
5. Antifragile
6. Impurities
7. Burn the bridge
8. Unforgiven (Feat. Nile Rodgers)
9. No-return (Into the unknown)
10.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
11. 피어나 (Between you, me and the lamppost)
12. Flash forward
13. Fire in the belly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애쉬 아일랜드(ASH ISLAND) ‘Rose'(2023)

평가: 2.5/5

처절한 고독을 울부짖었던 ‘Paranoid’부터 잔망스러운 리듬으로 풋풋한 청춘을 그려낸 ‘멜로디’까지, 한 꺼풀씩 어린 시절의 아픔과 고독의 그림자를 벗겨온 애쉬 아일랜드는 순차적인 자기 치유를 이뤄냈다. 이에 발맞추어 편집증이나 악몽을 외치던 음울한 힙합은 옅은 무채색의 틀만 남겼고, 사랑과 이별을 읊는 팝으로 영역을 넓혔다. 힘이 강한 멜로디와 일반적인 주제로 꾸며진 < Rose > 역시 이러한 접근성을 더 높여 다가간다.

단짝 프로듀서 토일 대신 지휘봉을 잡은 보이 콜드는 특유의 친화력과 수용성으로 아티스트의 확장을 꾀한다. 팝과 힙합을 넘나드는 중심부는 일견 비슷해 보여도, 선이 굵은 기타 스트로크나 짙은 서정성의 난립은 분명 낯설다. 애쉬 아일랜드는 거친 야성은 감추고 목소리의 강약을 조절하며 이에 대응했다. 밴드 사운드를 비롯해 기존 기조는 유지하되 약간의 세련미를 더한 우회로, 여리여리한 목소리를 강조한 ‘Rose in the heart’와 ‘시간은 왜 앞으로만 가’가 신보의 이러한 변화를 대표적으로 상징한다.

그리하여 그가 도달한 이상향은 팝도, 록도, 힙합도 아니다. 물론 장기인 캐치한 후렴구를 삽입하기에는 적합한 환경으로, 감성적인 선율과 쉬운 글감으로 귀결된 이 종착지에 어느 정도 수긍은 간다. ‘작별인사’와 ‘Wonder’에서 그는 록 밴드의 프론트 맨으로 귀에 쉬이 남을 만한 멜로디를 쏟아내고, ‘Drop top’과 ‘Trapped’에서는 표류하는 이모(Emo)와 트랩의 흔적을 찾으며 충실히 노래한다. 과감한 결단이었다. 래퍼로 업을 시작한 그가 랩은 최대한 요약한 채 보컬만으로 승부를 본 것이다.

이 지점에서 단순히 정체성의 문제만이 아닌 근본적인 논점이 발화한다. 본질은 곡 하나하나가 단일로는 적당한 만족감을 주지만, 꿰어진 상태로는 소구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U know it’ 등 몇몇 수록곡에서는 촘촘한 음계가 눈에 띄나 벌스로 갈수록 그 힘은 떨어지고, 청취 시간을 흥미롭게 채워 넣기에는 대부분의 트랙 분위기가 비슷하다. 칠린 호미의 타이트한 랩이나 루이의 공격적인 피쳐링이 유일한 탈출구라는 사실은 앨범의 단조로운 흐름을 더 극명하게 드러낸다.

그럼에도 ‘작별인사’의 기세는 오래도록 뜨거울 테니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너른 장르 수용에 기반한 일반화는 그가 지닌 차별점을 뭉툭하게 다듬었고, 동시에 범용성까지 넓혀 왔으니 말이다. 어찌 보면 일찍이 팝 지향성을 선포했던 < Island >부터 예견된 결과물이다. 그러나 일관된 방향과는 별개로 설득력 있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 Rose >라는 낭만적인 도전장을 팝에 전하는 데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애쉬 아일랜드 장르 자체의 정당성에는 의문을 남겼다.

– 수록곡 –

  1. 작별인사
  2. Wonder
  3. Rose in the heart
  4. Trapped (Feat. 칠린 호미)
  5. U know it (Feat. 루이)
  6. Drop top (Feat. 더 콰이엇)
  7. 거짓말이라도
  8. Bad words (Feat. 비오)
  9. 시간은 왜 앞으로만 가
Categories
Album POP Album

제시 웨어(Jessie Ware) ‘That! Feels Good!’

평가: 3.5/5

꾸준하다. 2012년 데뷔작 < Devotion >을 발매한 삼십팔 세 싱어송라이터는 5장의 정규작을 모두 UK 앨범 차트 10위안에 올렸고, 섬세한 편곡으로 작품성을 공인받았다. 오는 7월 발매 예정인 블러의 아홉 번째 음반 < The Ballad Of Darren >의 프로듀서 제임스 포드와 합작한 신작 < That! Feels Good! >는 ‘Spotlight’가 수록된 포스트 디스코 수작 < What’s Your Pleasure? >(2020)의 가도를 잇는다.

마빈 게이와 필라델피아 소울이 연상되는 ‘Hello love’의 부드러운 현악 세션과 아프로비트 그룹 코코로코가 참여한 ‘Begin again’과 ‘Beautiful people’의 라틴 리듬이 다채롭다. 곡 안에서의 유연한 하이브리드는 포드와 웨어의 소통으로 가능했고, < What’s Your Pleasure?  >의 힙한 느낌 대신 여유로움을 강조했다.

중심 트랙도 굳건하다. 타이틀 곡 ‘That! feels good!’은 스티비 원더 풍 건반 리프와 브라스가 흥겹다. 크레디트에 명시되지 않았으나 카일리 미노그와 영국 전자음악 듀오 몰로코의 로신 머피가  겹겹이 쌓은 육성이 연대를 이뤘다 해방감을 연출한 ‘Free yourself’와 댄스 본능의 클럽 뱅어 ‘Freak me now’는 전작의 밀도를 계승했다.

‘앨범형 아티스트’란 말이 어울릴까. 싱글 차트와 비교해 높은 앨범 성적이 완성도를 설명한다. 디스코 퀸의 이미지가 생경한 알앤비 < Devotion >(2012), 팝에 전자음악을 혼합한 소포모어 작 < Tough Love >(2014)과 모두 질적 수준을 유지했다. 전환과 현상 유지의 기로엔 주체성과 음악적 기틀이 있었고 < That! Feels Good! >에도 이 공식은 적용되었다.

-수록곡-
1.That! feels good!
2.Free yourself
3.Pearls
4.Hello love
5.Begin again
6.Beautiful people
7.Freak me now
8.Shake that bottle
9.Lightning
10.These l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