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레드벨벳(Red Velvet)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2022)

평가: 2.5/5

2019년 말 < ‘The ReVe Festival’ Finale >의 성공 이후 자체 이슈로 홍역을 치른 레드벨벳은 지난 해 < Queendom >으로 정면 돌파를 감행한다. 허나 재도약의 발판으로 꺼내든 카드는 팀의 존속 여부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는 데 그칠 뿐 왕관 탈환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독특한 콘셉트와 실험적인 사운드가 결핍된 평범한 왕국은 다채롭게 쌓아 올린 디스코그래피 속 미미한 존재감만을 남겼다.

전열을 가다듬어 다시 한번 페스티벌을 개최한 이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안고 과거의 영광을 꿈꾼다. 먼지 쌓인 전원 스위치를 올리자 관객을 반기는 건 EDM 트랩 비트 위로 흐르는 클래식 선율. ‘G 선상의 아리아’를 차용한 ‘Feel my rhythm’은 수백 년 전 명화들을 오마주한 뮤직비디오까지 선보이며 시공간을 넘나든다.

바흐의 원곡 구절을 그대로 가져와 타이틀 곡 전면에 내세운 시도는 상반된 시각을 낳는다. 우선 무난한 작법의 틀 안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 분투했음은 분명하다. 동시에 나머지 요소들을 전부 빨아들이는 블랙홀로도 작용한다. 곡을 관통하는 파격 샘플링 앞에 촘촘히 쌓아 올린 하모니는 잠시 이목을 끌다가도 다시금 주도권을 내주고 만다.

축제의 실상은 뜨거운 오뉴월의 정열보다 푸르른 봄의 피크닉에 가깝다. 색소폰 터치가 돋보이는 댄스 팝 넘버 ‘Rainbow halo’는 신록의 계절을, AOR(Adult-oriented rock)풍의 ‘Bamboleo’는 광활한 평원을 그려낸다. 다소 건조하게 다가오는 알앤비 넘버 ‘Beg for me’와 ‘Good, bad, ugly’ 역시 동일한 계절감을 벗어나지 않고 일관성을 갖춘다.

‘In my dreams’는 페스티벌의 대미를 수려하게 장식한다. 음역대의 높낮이를 부드럽게 매만진 목소리의 조화가 공간감을 형성하고 꿈결처럼 포근한 여운을 남긴다. 새롭게 제시한 낯선 세계의 대한 거리감은 고유한 보컬 시너지로 일부 상쇄된다.

레드벨벳은 야심 차게 승부수를 띄웠다. 3년 전 끝맺었던 놀이공원 테마를 다시 끌어오되 서양 고전의 풍경을 바탕 삼아 설계도를 그려 새 방법론과 지속가능성 사이 절충안을 내밀었다. 그럼에도 양날의 검이 되어 개성을 도려낸 접붙이기는 내실보다도 단지 스포트라이트를 독차지할 근사한 간판에 목적이 있는지 의문점을 남긴다. 카니발의 주인공이 되어야 할 멤버들의 자체 콘텐츠가 주최 측의 부푼 홍보 전략에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수록곡-
1. Feel my rhythm
2. Rainbow halo 
3. Beg for me
4. Bamboleo
5. Good, bad, ugly
6. In my dreams

Categories
Album POP Album

빅 티프(Big Thief) ‘Dragon New Warm Mountain I Believe In You’ (2022

평가: 3.5/5

달콤쌉싸름한 포크 록으로 평단을 매혹시킨 데뷔작 < Masterpiece >부터 어두운 성장기를 그려낸 더블 앨범 < U.F.O.F. >와 < Two Hands >(2019)까지. 빅 티프의 음악엔 늘 불안이 존재했다. 쉼 없이 달리느라 긴장을 늦출 수 없었지만 3년의 휴식기를 거친 신작은 한층 이완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떨림이 잦아든, 부드럽게 진동하는 목소리와 연주에 곧장 빠져든다.

이들의 놀라운 역량은 왕성한 생산력과 더불어 특정 사운드에 갇히지 않으려는 실험정신이다. 양질의 20곡을 담은 신보는 빽빽한 트랙 리스트만큼이나 그 스타일도 다양하다. 경쾌한 바이올린이 주도하는 컨트리풍의 ‘Spud infinity’와 플루트 솔로를 도입한 ‘No reason’. 이들과 대조적으로 음산한 분위기를 풍기는 ‘Blurred view’ 등 지루함을 방지하는 장치가 도처에 위치해 긴 러닝타임을 무색하게 만든다.

커버 아트 속 모닥불처럼 앨범엔 따뜻한 기운이 은은하게 감돈다. 멤버들은 마치 실제로 그 주위를 나란히 둘러싸고 앉아있는 듯 소박하게 노래한다. 긴밀한 유대감이 흐르는 캠프파이어의 현장은 1970년대 정취를 풍기는 포크 넘버 ‘Change’와 ‘The only place’로 전해진다. 온기를 장착한 이들은 솔직한 음악으로 상처를 감추지 않았고 서로의 감정을 연주하며 상흔을 어루만졌다.

결국 중심에는 프론트우먼 아드리안 렌커가 있다. 음반의 총감독인 그는 빛 한 줄 들지 않던 내면을 파헤친 전작들을 지나 야심 차게 창을 열었다. 트립 합, 사이키델릭, 월드 뮤직 등 가리지 않고 균형 있게 장르를 묶어내고 그 위에 기쁨과 죽음, 그리고 자연을 테마로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덧붙였다. 총 81분의 여정, 샘솟는 영감을 치열하게 적어 한 줄로 이어 붙인 그는 자신을 향한 대중의 기대치를 보기 좋게 뛰어넘었다.

신보는 어느 때보다 광범위한 영역 탐험을 목표한다. 들을 거리가 즐비하게 늘어선 앨범이 하나의 콘셉트를 특정하지 않았음에도 반짝이는 건 오히려 일관성을 해체한 파격 조치의 효과다. 빅 티프는 과거에 그랬듯 삶에서 벌어지는 일을 있는 그대로 직시했고, 가슴 깊이 아로새겼으며, 이번에도 마법 같은 음악으로 빚어냈다.

-수록곡-
1. Change 
2. Time escaping 
3. Spud infinity 

4. Certainty
5. Dragon new warm mountain I believe in you
6. Sparrow
7. Little things 
8. Heavy bend
9. Flower of blood
10. Blurred view
11. Red moon
12. Dried roses
13. No reason 
14. Wake me up to drive 

15. Promise is a pendulum
16. 12,000 lines
17. Simulation swarm
18. Love love love
19. The only place
20. Blue lightning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미란이 ‘Uptown Girl’ (2021)

평가: 3/5

맨 밑바닥의 소녀에서 부유층의 여자로. 작년 < 쇼미더머니 9 >에서 가난 서사를 앞세운 진솔한 자기 고백으로 많은 이들의 공감과 애정을 끌어냈던 미란이가 변했다. 옆집 친구처럼 어딘가 친근해 보이던 겉모습은 이제 화려한 메이크업과 빛나는 조명이 감싼다. 첫 정규 앨범 < Uptown Girl >의 방향도 이와 다르지 않다. 성공 후의 또 다른 이야기, 미란이 인생 2막의 스토리를 펼쳐낸다.

도전보다 여유가 앞선다. 포문을 여는 ‘Uptown girl’은 힙합보다 댄스에 가까운 팝으로, 주류 걸그룹의 곡을 듣는 듯 안정된 구조를 지향한다. 튕기는 베이스와 매끈한 기타 사운드 위로 덧입혀진 얼핏 헤이즈가 연상되는 보컬 연기는 랩과 노래의 공존 가능성을 입증하지만 곡 흡인력은 중박. 미란이의 개성이 십분 중화된 꼭 그가 아니어도 부를 수 있는 팝이기 때문이다. 타이틀곡 ‘티키타’도 비슷한 흠을 내비친다. 간결한 알앤비 비트와 중독성 있는 후렴구는 무난하지만, 미란이의 첫 막이 더 화끈하기를 기대한 이들에게는 심심하게 들릴 여지를 남긴다.

‘지겨워서 만든 노래’를 분기점으로 이어지는 후반부가 반전을 주도한다. 주무기인 랩 대신 노래가 다수를 차지해 자칫 늘어질 뻔한 구성임에도 짧은 수록곡 안에 표정 변화를 넉넉히 채워 넣어 풍성한 느낌을 준다. 프로듀서 보이콜드의 손길이 낳은 ‘지겨워서 만든 노래’는 이모(Emo) 힙합 성질의 싱잉 랩과 강렬한 일렉트릭 기타 연주가 시원한 질주감을 선사한다. 여기에 장르의 총아인 스키니 브라운의 팝 느낌 물씬한 멜로디도 깊은 만족감을 더한다.

철저히 ‘미란이스러움’을 지키는 가사도 발군이다. 초반부가 무난한 곡들로 안정감을 다진다면 후반부는 사람들에게 각인된 자신의 이미지를 살린 선명한 메시지를 새겨놓는다. ‘Lambo!’는 대표적이다. 트랩 비트 위 중독성 강한 훅으로 ‘돈맛을 알아버린’ 현재를 한껏 만끽하는 노래는 강한 카타르시스가 된다. 변한 삶에 대해 미처 전하지 못한 푸념을 ‘추신’에 비유해 녹여낸 ‘P.S.’, 랩스타가 된 지금도 여전히 남아있는 나름의 걱정거리를 지난 1년간의 발자취와 연결 지어 털어놓는 ‘난 진짜 멋지게’는 심리적 갈등이 특유의 인간적인 캐릭터와 맞물려 입체적으로 펼쳐지는 구간이다.

전술이 상당 부분 안정에 그치지만 정직하기에 울림은 강하다. 대중성을 충분히 의식하며 모난 데 없이 잘 들리는 노래들을 챙겼고, 변함없는 자기표현 능력으로 정체성 확립도 놓치지 않았다. 여전히 자꾸 귀 기울이고 싶은 매력이 있는 미란이의 성장 스토리다.

– 수록곡 –
1. Uptown girl
2. 티키타 (Feat. 릴보이)
3. 지겨워서 만든 노래 (Feat. Skinny Brown)
4. Lambo! (Feat. UNEDUCATED KID)
5. P.S. (Feat. JAY B)
6. 난 진짜 멋지게 
7. Daisy Remix (Feat. Paul Blanco, ASH ISLAND)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보수동쿨러 ‘Yeah, I Don’t Want It'(2019)

평가: 3.5/5

보수동쿨러에게는 특별한 게 있다. 이들은 마음을 사로잡는, 그것도 흡입력 있게 단박에 사로잡는 음악을 한다. 누구에게나 꼭 하나 그런 곡이 있기 마련이겠지만 이 밴드의 노래는 뭐랄까 듣는 사람을 푹 빠져들게 만든다. 징글쟁글한 일렉트릭 기타가 대부분의 멜로디와 전체 추진력을 담당하는 구조 안에서 수록곡은 저마다 색다른 매력을 뽐낸다. 에너제틱하며 동시에 사색적인. 그 이중적인 분위기가 음반을 감싼다.

2017년 부산을 기반으로 결성한 밴드는 2019년 첫 EP인 이 앨범을 내놨다. 제목인 ‘나는 그것을 원하지 않아’라는 단호한 거절의 표현은 작품의 중심 태도와 같다. 조금은 삐뚤게 그러나 확실하게 이들은 마음대로 되지 않는 세상에 저항한다. 대상은 때로는 연인에게로 때로는 나에게로 또 때로는 삶으로 향한다. 이때 핵심은 선명한 부정 곁에 함께하는 여유와 낭만. 한 글자씩 입으로 곱씹게 되는 시적인 가사와 멜랑꼴리하고 몽글거리는 기타 톤은 밴드만의 색채를 빠르게 퍼뜨린다.

타이틀 ‘0308’ 은 그룹의 강단을 담았다. 펑키한 리듬 위에 ‘삶은 누구에게나 실험이고 중독의 연속이다’는 가사를 내레이션으로 내뱉는데 2016년 이랑의 ‘신의 놀이’가 주었던 통쾌함과 시원함이 전해진다. 하고 싶은 말들을 툭툭 내뱉다 자신들의 말에 동조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듯 무심하게 던지는 ‘아닌가’란 질문 또한 놓칠 수 없는 매력 포인트. 연이어 ‘도어’는 눈에 그려지는 아름다운 노랫말로 마음을 녹인다. ‘눈 맞춘 적 없던 시간들이 발끝에 멈춰’있을 때 문 앞에서 무언가를 기다려본 사람, 간절함을 손에 쥐어본 이에게 곡은 최고의 위로가 된다.

유독 거친 기타 톤이 흐르는 ‘목화’의 시린 감성과 음반 내 가장 어두운 감정을 분출하는 ‘이 여름이 끝나고’의 맛과 멋을 살린 건 전 보컬 정주리의 소화력 덕택이었다. 그가 떠나고 새 보컬 김민지가 바통을 이어받은 지금 내달 돌아올 신보가 궁금하다. 머리 위로 과감하게 엑스를 그리는 용기와 넘치는 낭만, 유쾌함을 가진 그룹. 잔잔하게 밀려오는 파도처럼 뚝심 있게 밀어붙인 그들의 개성이 부산 밴드의 지평을 더욱 넓혔다.

– 수록곡 –
1.You were here, but disappeared
2. 0308
3. 도어
4. 목화(intro)
5. 목화
6. 이 여름이 끝나고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랑 ‘늑대가 나타났다'(2021)

평가: 4/5

뜨겁고도 차가운 맑은 것들의 힘

이 음반은 많은 것을 묻게 한다. 무엇 때문에 앨범의 지휘자 이랑은 이런 이야기들을 담게 되었는가. 2012년 첫 정규 < 욘욘슨 >,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포크 노래 부문 수상을 안긴 소포모어 < 신의 놀이 >(2016)에 이어 5년 만에 발매된 세 번째 풀 랭스는 전례 없이 강하고, 세고 어둡다. 늘 그가 손에 쥐고 사용하던 작법들, 어쿠스틱 기타와 첼로를 중심으로 곡을 쌓고 서로 다른 가사를 한 곡에 동시에 넣는 등의 구성은 비슷하지만 그 안에 적힌 메시지의 촉은 어느 때보다 날카롭다. ‘나’를 뚫고 지나 ‘사회’에 닿으려는 듯 갖은 비유를 넣어 목소리를 낸다.

이는 작품과 동명의 타이틀 ‘늑대가 나타났다’부터 선명히 드러난다. ‘이른 아침 가난한 여인이 굶어 죽은 자식의 시체를 안고 / 가난한 사람들의 동네를 울며 지나간다’는 내레이션으로 문을 연 노래는 합창단의 웅장한 코러스와 만나며 어떤 뜨거움을 전한다. ‘내 친구들은 모두 가난합니다 / 이 가난에 대해 생각해보세요’. 여기에는 명백히 개인을 넘어 세상을 향한 소리침이 담겨있다. 쿵쿵 울리는 드럼과 거기에 맞춘 여러 사람의 호흡은 힘을 주어 ‘우린 쓸모없는 사람들이 아니요’라며 분노를 토한다.

좁게 자신 주변의 것들을 다뤘던 데뷔작을 지나 < 신의 놀이 >가 적나라하게 가족과 죽음 등을 소재로 다뤘다면 이번 작품은 그 자체로 사회를 본다. 그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앨범에는 솔직한 분노와 공감할 수밖에 없는 울분이 가득하다. ‘환란의 세대’는 지금껏 발표한 곡 중 가장 굵고 거친 이랑의 보컬이 담겨있다. ‘목도 안 메도 되고, 불에 안 타도 되고, 손목도 안 그어도 되고’란 가사가 연이어 펼쳐지는 와중 몇몇 사람의 얼굴들이 떠오른다. 그러니까 애써 고개 돌린 누군가의 삶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특히나 이 곡은 코러스 버전으로도 실렸는데 노래의 끝, 두텁게 중첩된 기괴한 합창단의 울림이 마치 인생의 고통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또 하나 돋보이는 변화는 독백의 적극 활용. ‘의식적으로 잠을 자야겠다’, ‘어떤 이름을 가졌던 사람의 하루를 상상해본다’ 등에 사용된 감정 없이 내뱉는 독백들은 음반에 가득 채워진 ‘말하고자 하는 욕망’ 혹은 ‘전하고자 하는 욕망’들과 다름없다. 그만큼 앨범은 메시지를 전하려 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는 적확하게 우리에게 온다. 영화감독으로, 에세이 작가로, 또 음악인으로 존재하며 그가 풀어낸 ‘내 얘기’들은 산재한다. 누구든 그를 볼 수 있다. 아니 누구든 그를 ‘온전히’ 볼 수 있다. 이랑의 서사는 언제나 티끌 없이 맑고, 거짓 없이 온전하게 공개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번 앨범의, 나아가 ‘이랑’이란 아티스트의 핵심이다. 끊임없이 토해내는 그의 이야기들은 솔직함을 타고 더할 나위 없이 온전하게 다가온다. 삶에 밀착해 회고하는 친구, 가족, 죽음, 가난, 사랑, 일 따위의 것들이 이랑을 통해 순수하게 투영된다. 끝없이 그의 음악이 환호받는 것은 이 정제되지 않은 고백에서 시작될 것이다. 하나하나 곡이 쓰인 배경을 묻고, 듣고 싶게 한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그래서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음반. 착실하게 두 땅에 발을 붙여 올곧게 ‘나’를 외쳤고 되돌아 울려 퍼지는 메아리는 그렇게 ‘우리의 것’이 된다.

  • – 수록곡 –
    1. 늑대가 나타났다 
    2. 대화
    3. 잘 듣고 있어요
    4. 환란의 세대
    5. 빵을 먹었어
    6. 의식적으로 잠을 자야겠다 
    7. 그 아무런 길
    8. 박강아름
    9. 어떤 이름을 가졌던 사람의 하루를 상상해본다 
    10. 환란의 세대(Choir 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