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피닉스(Phoenix) ‘Alpha Zulu’ (2022)

평가: 3.5/5

프랑스 국가대표 록밴드 피닉스는 아름다움을 연주한다. 1980년대 팝 록 사운드에 일렉트로니카를 엮은 데뷔작 < United >로 데뷔와 동시에 두각을 나타내고 < Wolfgang Amadeus Phoenix >에서는 수려한 멜로디 라인을 앞세워 빈티지 질감과 세련미를 아울렀다. 신스팝과 디스코를 부드럽게 저울질한 < Ti Amo >까지 지난 20여 년간 정립한 우아한 프렌치 스타일은 비좁은 록 시장에서도 찬란한 존재감을 발산했다.

형형색색의 디스코그래피를 구축한 밴드에게 2019년은 중요한 분기점이다. 사반세기 커리어 주요 순간마다 방향키를 나눠 잡고 음반을 공동 지휘한 핵심 프로듀서 필립 자르가 세상을 떠나고 머지않아 코로나19로 인한 초유의 봉쇄령이 내려진다. 동료 뮤지션 이상의 친구를 잃은 네 멤버는 상실감을 안고 루브르 박물관 내 팔레 뒤 루브르 스튜디오로 장소를 옮겨 조력자의 부재를 채워나간다.

자체 프로듀싱을 거친 5년 만의 신보는 순수한 태도를 간직한다. 유머러스한 ‘Alpha zulu’의 고동치는 리듬은 전작 < Ti Amo >의 그루브를, 뱀파이어 위켄드의 에즈라 코에닉이 힘을 보탠 ‘Tonight’의 캐치한 베이스라인은 < Wolfgang Amadeus Phoenix >를 각각 소환한다. 빈티지 감성의 신스록 넘버 ‘The only one’은 초기 작풍을 이식했다. 자글거리는 기타 리프와 파스텔 톤 신시사이저가 주조한 선율이 친숙하면서도 신선한 양가의 감정을 부른다. 구성원들의 연륜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포근하게 과거를 망라한 앨범은 뉴웨이브 사운드와 소프트 록의 매끈한 프로덕션 아래 배열의 미학을 품는다. ‘After midnight’로 템포를 끌어 올린 직후 차분하게 호흡을 고르고(‘Winter solstice’), 반짝이는 신시사이저(‘Artefact’)를 앞세워 분위기를 환기한다. 후반부엔 힙합 요소를 가미한 스타카토 비트의 ‘All eyes on me’가 다시 한번 드라이브를 걸어 곡조를 전환하는 등 변칙적인 구성이 익숙한 악풍에서 새어 나오는 기시감을 상쇄한다.

2000년대 록 음악계에 새로운 물결을 일으켰던 파리지앵들은 고유의 작법으로 전면전을 펼쳤다. 음반엔 베테랑들의 능수능란한 프로듀싱 감각과 숙련도가 고스란히 묻어난다. 고인이 된 파트너의 빈자리를 자생력을 끌어올려 메웠고 그간 그룹을 지탱해온 유려한 사운드 메이킹을 충실히 구현했다. 스타일의 다변화라는 창작자의 숙명을 거슬러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한 < Alpha Zulu >는 여전히 흡인력이 깃들어 있는 프렌치 록 대표주자의 매끈한 앨범이다.

– 수록곡 –

  1. Alpha zulu
  2. Tonight (Feat. Ezra Koenig)
  3. The only one
  4. After midnight
  5. Winter solstice
  6. Season 2
  7. Artefact
  8. All eyes on me
  9. My elixir
  10. Identical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하이키 ‘H1-KEY 1st Mini Album [Rose Blossom]’ (2023)

평가: 3.5/5

뭔가, 어딘가 다르다. 타이틀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를 듣자마자 든 생각이다. 이내 5개의 신곡과 2개의 보너스트랙이 담긴 신보를 재생, 역시나 처음의 감상이 틀리지 않았음을 느꼈다. 2022년 싱글 ‘Athletic girl’로 건강한 아름다움을 노래하던 이들이 1년 만에 내놓은 EP는 기존에 주목한 ‘건강함’의 범위를 더욱 넓히려 든다. 궤는 흔히 말하는 4세대 아이돌 즉, 아이브의 ‘Love dive’, (여자)아이들의 ‘Tomboy’와 같은 ‘주체성’이나 접근이 다르다. 더 쉽고, 더 넓고, 더 두껍다.

밴드 데이식스의 영케이가 가사를 쓴 타이틀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가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꾸준히 사랑받는 전 국민 히트송 거북이의 ‘빙고’가 생각날 만큼 멜로디가 쉽고 노랫말이 따뜻하다. 전자가 ‘쉽게만 살아가면 재미없어 빙고’ 했다면 이 곡은 스스로를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로 지칭하며 ‘삭막한 이 도시가 아름답게 물들 때까지’ 힘내자고 노래한다. 가사 속 ‘I’ll be alright’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는 위로와 다짐이 곡과 음반의 핵심을 관통했다.

이들의 주체성은 사랑과 성별 다시 말해 고착된 여성적인 이미지를 깨부수는 것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삶에 굴복하지 않고 이겨내리라는 접근에서 주체적이다. 이는 첫 곡 ‘Ring the alarm’에서도 나타난다. 일면 블랙핑크의 ‘뚜두뚜두’가 떠오르는 노래는 힙합 질감을 기초로 해 미니멀한 전자음과 휘파람을 효과음으로 얹어 ‘시간 됐어 일어나요 Ring the alarm’을 너머 ‘Everything’s gonna be alright / 다 잘 될 거니까’는 외침을 농도 깊게 전한다.

아이돌의 맑고 청량한 정형화된 모습을 내비치는 팬쏭 ‘You are my key(for m1-key)’를 제외한 ‘Crown jewel’, ‘Dream trip’ 역시 메시지는 같다. 특히 ‘Crown jewel’은 태국 아티스트 Tachaya의 힘을 빌려 태국 악기인 라나트, 자케와 우리나라 전통 악기 꽹과리를 한데 뒤섞어 선율을 만들어 냈는데 그 조합이 매끄럽다 못해 감칠맛 난다. 블랙핑크 ‘Pink venom’, 어거스트디 ‘대취타’, 송민호 ‘아낙네’ 등 한국의 소리를 노래에 넣은 이전 곡들과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AI가 그룹의 멤버가 되거나 멤버가 초월적인 힘을 가진 캐릭터로 소개되곤 하는 작금의 복잡한 K팝 월드에 단순하지만 힘센 그룹이 나왔다. 오빠, 삼촌에게 말을 걸거나 혹은 언니, 누나의 모습으로 손 내밀지 않고 ‘나’로서 다가오는 하이키식 위로가 범대중적인 호소력을 터트린다. 계산됐든 계산되지 않았든 부담 없고 불편하지 않은 ‘대중 가수’의 시작이다.

-수록곡-
1. Ring the alarm
2.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Rose Blossom) 
3. Crown jewel (Feat. Tachaya) 

4. You are my key(for m1-key)
5. Dream Trip
6.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 (Rose Blossom) (Inst.)
7. Athletic girl (2023 Remaster)

Categories
Album KPOP Album

검정치마 ‘Teen Troubles'(2022)

평가: 3/5

2008년, 어느 날 갑자기 인디씬에 등장한 검정치마는 데뷔작 < 201 >의 수록곡 ’강아지’에서 ‘시간은 29에서 정지할 거야 라고 친구들이 그랬어 / 오 나도 알고 있지만 내가 19살 때도 난 20살이 되고 싶진 않았어’라고 노래한다. 그리고 2022년, 스스로 ‘사랑 3부작’이라 이름 붙인 < TEAM BABY >(2017), < THIRSTY >(2019)를 지나 당도한 마지막 연작 < Teen Troubles >에서 그는 다시 과거를 소재로 택한다. 작품은 1999년 인간 조휴일이 17살이던 때로 돌아간다. 첫 곡 ‘Flying bobs’의 내레이션 ‘난 그저 열일곱을 살던 중이었어요 / 귀가 찢어질 듯 매미가 울던 1999년의 여름 밤’이 음반이 소환한 그때 그 시절이다.

그가 정리한 사랑의 종착은 보통의 보편적 사랑 < TEAM BABY >, 부정의 오도한 사랑 < THIRSTY >을 거쳐 젊은 날의 나에게로 향한다. 다시 표현하면 조휴일의 사랑 이야기는 ‘젊음’ 그리고 ‘나’로 매듭지어진다. 특히 < THIRSTY >에 강하게 묻어 있던 가상의, 상상을 덧댄 노랫말에서 보다 순도 높게 ‘나’를 바라본 이번 작품은 그렇기 때문에 더 ‘검정치마스럽다’. < 201 > 때도, 정규 2집 < Don`t You Worry Baby (I`m Only Swimming) > 때도 그의 음악은 명백히 화자인 나를 드러냈다. 그래서일까. 신보에는 ‘젊음’과 ‘사랑’과 ‘그 시절의 향수’를 능숙하고 투박하게 저울질하는 검정치마의 강점이 잘 담겨있다.

이를 증명하는 건 ‘Flying bobs’에서 ‘매미들’로 이어지는 앞부분의 수록곡이다. 업 템포로 폭발하는 검정치마 표 록의 진수를 보여주는 ‘불세례’는 ‘오늘은 너의 세상이 부서지는 날이야 /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춤과 노래는 갑자기 멈춰버렸고’ 외치며 식어가는 청춘을 그린다. 색소폰 선율로 감정을 끓게 하는 ‘어린양’, 신시사이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데뷔 초를 떠올리게 하는 ‘Sunday girl’까지. 아니, 계단에서 40oz (알코올을) 하나씩 때려 박는다는 ‘Friends in bed’, 주문처럼 ‘밝고 짧게 타올라라’는 외침으로 치기 어린 젊음을 정확하게 대변하는 ‘매미들’까지 음반의 시작부는 생기 넘치는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

무뚝뚝하고 시크한 조휴일스러움이 조금씩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드는 것은 그가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룰 때부터이다. ‘우리가 알던 여자애는 돈만 쥐여주면 태워주는 차가 됐고 / 나는 언제부터인가 개가 되려나 봐 손을 댈 수 없게 자꾸 뜨거워’(‘강아지’), ‘나는 음악 하는 여자는 징그러 / 시집이나 보면서 뒹굴어 / 아가씨’(‘음악하는 여자’), ‘더러워질 대로 더러운 영혼 / 내 여자는 어딘가에서 울고 / 넌 내가 좋아하는 천박한 계집아이’(‘빨간 나를’) 등 전체 커리어 퍼져있던 솔직함(혹은 발칙함)으로 포장된 여성 비하적인 비유, 표현 등이 신보의 발목을 잡는다.

그것은 그가 ‘John fry’에서 ‘통통한 손이 내 바지로 들어와 / 근데 니 생각이 났어 / 참 이상한 날이야’라며 야릇하게 사랑을 노래하거나, ‘Garden state dreamers’에서 ‘열일곱 내 생일을 막 지나서 나쁜 걸 좋아하게 됐을 때 / 그녀는 슬로우 머신처럼 날 다스렸고’하며 일면 과감하고 섹슈얼하게 속 얘기를 꺼내는 것과 명백히 분리, 단절된 문제이다. 조휴일이 소환하는 ‘사랑’은 늘 같은 표현과 비유, 통속적인 클리셰의 반복에서 피어난다. 사랑은 늘 ‘뜨겁게’ 몸과 마음을 달구고(‘Power blue’), ‘예술가’는 늘 여성의 마음을 빼앗는다(‘99%’). (그리고 그것을 은근하게 비하한다). 달아오른 화자를 ‘개’, ‘강아지’에 빗대는 비유 역시 마찬가지.

음반의 구성력, 선율의 흡입력 등으로 무장했지만 표현력이 제동을 건다. 더 정확하게 그 표현은 그가 이성 간의 사랑을 다룰 때 청자를 멈칫거리게 한다. 즐길 수밖에 없는 사운드, 내 청춘의 한 가운데를 떠올릴 수밖에 없는 과감하고 직접적인 개인 서사 앞에서 끝끝내 검정치마 음악의 한계점이 계속해서 드러난다. 후반부 ‘Ling ling’, ‘Our summer’가 17살 조휴일의 개인적인 회고에서 시작한 이 음반을 보다 범대중적인 ‘청춘에 대한 회고록’으로 끌어올릴 만큼 두꺼운 힘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몰입, 감상을 방해하는 요소 역시 분명하다. 같은 방식으로 그려지는 어떤 사랑의 묘사가 점점 더 검정치마의 음악을 얇고 묽게 짓누른다.

– 수록곡 –
1. Flying Bobs
2. Baptized In Fire (불세례)
3. 어린양 (My Little Lambs)
4. Sunday Girl
5. Friends In Bed
6. Cicadas (매미들)
7. Garden State Dreamers
8. Follow You (따라갈래)
9. Jersey Girl
10. Love You The Same
11. Powder Blue
12. Electra
13. Min (미는남자)
14. Jeff & Alana
15. Ling Ling
16. John Fry
17. 99%
18. Our Own Summer

Categories
Album POP Album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Kings of Convenience) ‘Peace Or Love’ (2021)

평가: 3.5/5

기대한 만큼 아늑하다. 노르웨이 출신 포크 듀오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의 12년 만의 정규 앨범 < Peace Or Love >가 어느 때보다 깨끗한 바람이 필요한 시기를 차분하게 휘감는다. 북유럽 풍경 같은 순수한 어쿠스틱 사운드가 작품의 고요한 매력을 떠받친다.

커피 광고에 삽입되어 반향을 일으켰던 전작 ‘Cayman islands’처럼 편안한 트랙들이 귀에 들어온다. 한 가지 감정에 매몰되지 않은 정갈한 앙상블의 ‘Rumours’와 따뜻한 톤의 일관적인 진행이 돋보이는 ‘Song about it’이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 특유의 포근한 화법을 기다린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킨다. 이러한 개성을 유지하며 어른거리는 감성의 부유를 간단하게 포착해낸 ‘Ask for help’의 음악적 성과가 근사하다. 사이먼 앤 가펑클과 닿아 있는 말끔함이다.

보컬의 섬세함은 감정이 멈출 곳을 정확히 알아 더욱 힘을 받는다. 리듬과 대비하는 화성의 진행이 마치 한 목소리인 것처럼 서로에게 농밀하다. 캐나다 출신 여성 보컬 파이스트가 함께한 ‘Love is a lonely thing’는 2004년 작 < Riot On An Empty Street >에서도 보여준 세 보컬의 그윽한 협주를 기억하게 만든다.

비올라 리프가 흐뭇한 ‘Rocky trail’과 리듬을 변주한 편곡의 ‘Catholic country’정도를 제외하곤 취향에 따라 밋밋하다고 느낄 수도 있는 분위기가 지속되지만 휴식의 시간으로 삼기에 충분한 안락함이 미지근함을 덮어 전반적으로 잔잔한 매력을 품는다. 록의 리프가 떠오르는 ‘Washing machine’은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의 멤버 얼렌드 오여가 속한 팝 밴드 더 화이티스트 보이 얼라이브(The Whitest Boy Alive)의 음악 연장선에 맞닿아 있다. 두 팀의 색채는 다르지만 멜로디 전개 등의 음악적 아이디어나 삶을 통찰하는 메시지가 교집합을 이룬다.

간단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반복하는 작품의 모습에서 최소주의가 스치나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의 음악엔 미니멀리즘을 표방하는 여느 뮤지션들과 구분할 수 있는 지점이 있다. 이들의 감성은 줄여야 한다는 당위성 때문에 억지로 비워낸 노력의 결과가 아닌 차분하게 가라앉은 자연스러움이다. 언제나 그랬듯 적어서 좋은 게 아니라 좋아서 보니 적다.

– 수록곡 –
1. Rumours
2. Rocky trail (추천)
3. Comb my hair
4. Angel
5. Love is a lonely thing (Feat. Feist)
6. Fever (추천)
7. Killers
8. Ask for help
9. Catholic country (Feat. Feist)
10. Song about it
11. Washing machine

Categories
Album POP Album

게일(Gayle) ‘A Study Of The Human Experience Volume One’ (2022)

평가: 2/5

2004년에 태어난 게일은 자기를 힘들게 한 사람들을 향해 노래로 욕을 한다. 두려움을 모르는 이 10대는 자신을 둘러싼 분노와 답답함, 불확실한 미래를 정화하지 않고 고스란히 분출해 다른 사람에게 대리만족을 제공하며 견고하게 재단된 사회 구조에 들어가기 직전에 모든 것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정제하지 않은 광폭한 언어로 일갈한다.

전 남자친구의 모든 것을 증오하는 ‘abcdefu’부터 새로운 인연에 대한 의심을 떨치지 못하는 ‘Luv starved’, 쉬운 사랑에 대한 후회를 언급하는 ‘Sleeping with my friends’, 거짓말로 섹스만 원하는 상대를 저격한 ‘Ur just horny’, 꼬여버린 인간관계에 대한 ‘E-Z’까지 ’19금’의 내용을 17살의 소녀가 폭로한다. 사전검열 시대였다면 금지곡으로 묶였을 노래들이다.

거침없는 자신감과 다부진 자존감이 팝 펑크와 팝록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음악과 만나 시너지 효과를 내며 되바라진 뮤지션의 당돌함을 정당화한다. 프로그래밍으로 찍은 드럼과 디스토션 걸린 일렉트릭 기타 사이에서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인한 그는 빌리 아일리시,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색체에 자신의 음악 DNA를 투영해 현재의 음악 트렌드에 민감한 싱어송라이터라는 점 또한 부각한다. 틱톡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해서 빌보드 싱글차트 3위까지 오른 ‘abcdefu’, 뮤트 백킹의 리듬 기타가 파워를 장착한 ‘Ur just horny’, 코러스가 아름다운 ‘Kiddle pool’은 밋밋한 나머지 수록곡들과 수준차를 드러낸다. 롱런을 위해 극복해야 할 지점이다.

역사적으로 음악은 보통 20년에서 25년을 주기로 재조명 받는다. 1950년대의 초기 로큰롤이 1980년을 전후한 시기에 다시 주목 받았고 1970년대의 디스코는 1990년대 후반에, 1980년대의 신스팝은 2000년대 후반, 1960년대 후반의 개러지 록은 1990년대 후반에 부활했다. 2022년 지금은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인기를 얻었던 팝 펑크가 부상하고 있다. 게일은 그 틈새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획득했지만 음반 제작사는 2집의 상업적 성공을 위해 독기 빠진 순한 앨범을 원할 것이다. 이것으로 게일의 음악색은 옅어지고 자신의 언어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결국 시간이 지나도 < A Study Of The Human Experience Volume One >은 게일의 대표 앨범이 될 것이다.

-수록곡-
1. Luv starved
2. Abcdefu (추천)
3. Sleeping with my friends
4. Ur just horny
5. E-Z
6. Kiddle pool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