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에스파(aespa) ‘My World’ (2023)

평가: 2.5/5

에스파에게 이번 EP는 특히나 중요하다. 내부에서는 전작 < Girls >의 부진과 소모적인 갓더비트(GOT the beat) 활동에 이수만 프로듀서가 강제했다는 ‘나무 심기’ 가사 논란까지 있었고, 외적으로도 SM 엔터테인먼트의 인수합병 등 불리한 상황의 연속이었다. 악당 블랙맘바와 싸우던 가상 세계 광야를 벗어나 현실 세계로 진입한 것은 접근장벽을 낮추고 대중적 입지를 되찾으려는 의지로 읽을 수 있다.

나이비스(nævis)의 피쳐링을 지우면 에스파의 곡이 아니라 해도 믿을 만한 ‘Welcome to my world (Feat. 나이비스)’와 달리 타이틀곡 ‘Spicy’는 절충적이다. 일상적 풍경 속 온갖 이상 현상이 벌어지는 뮤직비디오처럼 복잡한 세계관 가사를 내려놓았으나 자극적인 질감의 외피는 유지하고 있다. 사이버 전사의 정체성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다른 말로 하면 타협이다. 그룹의 색채와 대중성을 모두 잡으려고 한 탓에 결과적으로 ‘Spicy’는 독창성도 옅고 클리셰적인 맛도 부족하다. 두 번 등장하는 포스트 코러스(‘Don’t stop 겁내지 마’)를 제외하면 답답한 단조 멜로디는 마땅히 해소되지 못하고, 귀 아픈 전자음이나 곡을 가득 채운 랩도 유의미한 구심점으로 기능하는 대신 f(x)의 ‘Hot summer’나 있지(ITZY) 등의 기시감을 불러일으킨다.

쟁점은 특정 사운드가 아니라 태도에 있다. 진한 PC 뮤직 스타일 리듬의 ‘Salty & sweet’이 안일한 훅과 함께 침몰하는 반면, 선율과 음색이라는 기본 재료 위주로 꾸린 ‘Thirsty’와 ‘I’m unhappy’가 오히려 와닿는 대조적 상황이 이를 말해준다. 마찬가지로 레드벨벳의 잔상이 강하지만 감각적인 후렴과 소셜 미디어에 반감을 표하는 가사 등 곡 자체의 매력은 출중하다. 급진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면 아예 보편성의 측면으로 과감히 파고드는 것도 하나의 대책이 될 수 있다.

이미 하반기 또 다른 앨범을 예고했듯이 신보는 그룹에게 드리워진 부정적 이슈를 일차적으로 씻어내려는 전략적인 수다. 당연히 음악적으로도 속 시원한 해답보다는 다음 단계 및 장기적 행보를 둘러싼 고뇌의 과정에 가깝다. 복귀와 함께 이미지 확장이라는 자체 목표 완수에는 성공했으니 이번의 도움닫기를 이어질 도약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 My World >는 영토 점령의 선포보다는 경계를 넘어 관문을 여는 신호다.

-수록곡-
1. Welcome to my world (Feat. 나이비스)
2. Spicy
3. Salty & sweet
4. Thirsty
5. I’m unhappy
6. ‘Til we meet again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에스파(aespa) ‘Welcome to my world (Feat. 나이비스)’ (2023)

평가: 3.5/5

비로소 문제의식에 도달한 것일까, 아이브, 르세라핌, 뉴진스의 유례 없는 동반 상승으로 걸그룹 간 어깨싸움에서 밀려난 에스파(aespa)가 그들의 상징과도 같은 차가운 기계 무장을 벗어던진다. ‘Savage’, ‘도깨비불’, ‘Girls’에서의 과격함은 내려놓고 그 자리를 보편적인 낭만과 신비로 대체하는, 새로운 챕터의 시작이자 대중을 향한 저돌적인 접근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 아케인 (Arcane) >의 삽입곡 ‘Playground’가 연상되는 만화적 분위기에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을 더한 점층적 구성과 자연음의 증대는 현실로의 침투를 청각적으로 형상화하며 전후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연결한다. 전자음이 내어준 자리만큼 존재감을 끌어올린 멤버들의 보컬 역시 더욱 위력적인 모습이다. 사운드의 파괴력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특장점을 잃지 않으며 거둔 결과이기에 더욱 고무적이다. 잠시 내려놓은 기대를 다시 걸기에 부족함이 없는, 완성도와 상징성을 두루 갖춘 쾌조의 새 출발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에스파(aespa) ‘Life′s too short’ (English ver.) (2022

평가: 3/5

혁신을 거듭해 온 메타버스 전사들이 또 다른 무기를 꺼내 들었다. 복귀를 예고하며 공개한 ‘도깨비불’이 전자음과 시크한 래핑을 앞세운 ‘에스파 클래식’이었다면, 올해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발매 전 미리 선보인 첫 영어 싱글 ‘Life’s too short’는 유려한 팝 선율로 완급을 조절한다. 단출한 기타 리프 위 성가대 같은 코러스와 맑은 고음을 덧입히고 다국적 그룹답게 능숙한 외국어를 속삭이며 러닝타임을 감미롭게 에워싼다.

섬세하게 변용한 음조와 달리 직설적인 화법은 그대로다. 치밀한 세계관에서 잠시 벗어난 본체들은 핸드폰 화면 뒤에 숨은 악플러들의 조롱에 개의치 않고 짧은 인생을 즐기겠다는 포부를 명확히 밝힌다. 하이틴 드라마 속 맹랑한 주인공처럼 제발 남에게 신경 끄고 본인의 삶을 살아달라는 일침은 덤. 에스파만의 달콤한 경고, 그 안에 감춰둔 비수는 예리하게 날을 세웠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에스파(aespa) ‘Savage’ (2021)

평가: 3.5/5

차세대 SMP의 이상향

SM 엔터테인먼트의 역사는 실재하는 우주의 변천사와 평행을 달린다. 수많은 스타들이 탄생하고 소멸했지만 그들의 파편은 지금까지도 가요계를 수놓고 있다. 허공에 흩뿌려진 유산은 팽창의 자양분이 되어 2020년 마침내 일원화된 신세계 SMCU(SM Culture Universe)를 창조했다. 그 과정에서 선배들의 에너지를 흡수하며 태어난 거대 세계관의 주인공이 바로 걸그룹 에스파다.

팀 이름부터 방향성은 명확했다. 인간 멤버들이 자신의 데이터에 기반한 아바타 ‘아이(æ)’를 만나 경험하게 될 메타버스 스토리. 미래 기술과 음악의 접목이란 사실만으로 등장 전부터 이목이 쏠렸다. 낯익은 이미지로 점철된 데뷔곡 ‘Black mamba’가 그 기대에 미치진 못했으나 올해 손목을 꺾는 디귿 춤과 쫀득한 발음을 곁들인 ‘Next level’이 인기를 끌며 에스파는 단숨에 대세로 우뚝 섰다. 산업 간의 융합으로 호기심을 자아내긴 했지만 가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힌 건 결국 음악이었다.

유행의 본질을 파악하고 돌아온 이들의 음조는 더욱 맹렬해졌다. 강렬한 비트와 찢어 늘인 신시사이저 그리고 극적인 고음 애드리브까지, ‘Savage’의 기틀은 보아와 동방신기가 프로듀서 유영진과 함께 주도했던 2000년대 중반 SMP다. 물론 그 시절에만 충실한 것은 아니다. 후렴구는 엔시티 127의 대표곡 ‘Cherry bomb’처럼 짧은 호흡으로 받아치며 중독성을 배가하고, 브릿지는 엑소의 알앤비 발라드 ‘What is love’를 들여와 보컬 기량을 발산한다. 더불어 둔탁한 타격의 틈엔 영국 일렉트로닉 레이블 PC 뮤직의 시그니처 샘플들을 분절시켜 입체감을 높인다. 기획사의 노하우를 집약하고 하이퍼 팝까지 이식한 K팝 트랙은 혁신적 관점으로 시대를 매끈하게 앞서간다.

뒤이은 ‘I’ll make you cry’까지 야성적인 자세로 일관한 데 비해 후반부는 톤을 낮추며 캐주얼한 면모를 드러낸다. 몽롱한 멜로디의 ‘자각몽’은 이달의 소녀나 레드벨벳의 드림 팝이 스치고, 자존감이 충만한 ‘Yeppi yeppi’는 있지의 ‘달라달라’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긴다. 비교적 친숙한 질감이 자칫 독보적인 매력에 대한 반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다채로운 전자음과 목소리의 블렌딩은 음악적 친밀감을 제고하며 타이틀곡의 접근법이 낯선 이들마저 새로운 차원으로 빨아들인다.

음악 외의 콘텐츠도 흡인력을 강화한다. 어린이 만화에 나올 법한 ‘ænergy’의 대사나 ‘Savage’ 뮤직비디오 속 2D 애니메이션은 키치한 즐길 거리다. 막연한 연출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훗날을 위한 면밀한 설계로 짐작된다. 현실의 ‘나’와 가상의 또 다른 자아 ‘아이’는 익명에 가려진 시스템의 양면이고 둘 사이를 갈라 놓으려는 빌런 ‘블랙 맘바’는 딥페이크를 비롯한 기술 범죄의 초상이다. 허구의 이야기 속 투쟁은 디지털 사회의 실태고 이를 조영하는 비주류 매체는 유머 섞인 지적질을 날린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는 서브컬처의 상승으로 근래 보기 드문 아이돌식 풍자를 완성했다.

팬데믹을 기점으로 메타버스는 점점 일상에 스며들었다. 그러나 그 실체는 여전히 흐릿하다. 엉성한 3D 모델링과 각종 표절 논란만 봐도 생소한 개념은 그저 키워드 마케팅에 불과해 보인다. 그럼에도 네 명의 소녀와 네 개의 홀로그램이 그려갈 문화 행보는 근시안적 태도의 불손함을 상쇄한다. 탄탄한 가창력과 과거의 질료로 구축한 세련된 사운드 그리고 다각적인 고발과 비판의 메시지. < Savage >는 미디어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며 가장 이상적인 SMP를 주조했다. 시대가 공증할 수 있는 ‘Iconic’한 존재, 선구자의 발걸음에 신세기의 성패가 달렸다.

– 수록곡 –
1. ænergy
2. Savage
3. I’ll make you cry
4. Yeppi yeppi
5. Iconic

6. 자각몽 (Lucid dream)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에스파(æspa) ‘Next level’ (2021)

평가: 3/5

작년 11월에 발표한 ‘Black mamba’의 뮤직비디오가 케이팝 데뷔곡 사상 최단기간 1억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한 에스파는 단숨에 주목할 만한 그룹으로 떠올랐다. 현악기가 주도하는 부드러운 질감의 ‘Forever’로 숨 고르기를 한 그들은 세 번째 싱글 ‘Next level’로 현실과 가상의 소통이라는 서사를 이어간다. 에스파는 세계관의 정교성으로 팬덤을 결집하고 ‘아바타가 일상과 경제 활동을 영위하는 가상공간’을 일컫는 메타버스 개념으로 Z세대들의 호응을 끌어내고자 한다.

영화 < 분노의 질주 : 홉스 & 쇼 >에 수록된 호주 출신 뮤지션 애스턴의 ‘Next level’은 에스파의 버전에 밑바탕을 제공했고 여기에 유영진 특유의 반전을 주는 브릿지가 더해진다. 원곡의 힙합 사운드는 카리나와 지젤의 절도 있는 랩에 들러붙고 윈터의 고음역은 브릿지 파트에 활기를 불어넣어 변화가 많은 곡 구성을 매끄럽게 엮어간다. 에스파와 아바타의 교류를 막는 ‘블랙 맘바’를 찾아 가상세계 ‘광야’로 떠나는 여정은 세계관의 난해한 요소들로 채워져 있으나 여정을 향한 의지만큼은 확고하며 그 의지는 SM 컬쳐 유니버스의 세계관 구현의 열망과도 닿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