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내 인생의 10곡 특집 Feature

라디오 PD들의 ‘내 인생의 음악 10곡’ – #12 한재희 PD

내년 개설 20주년을 앞두고 이즘은 특집 기획의 일환으로 라디오 방송 프로듀서 20인의 ‘내 인생의 음악 10곡’ 편을 연재 중입니다. 라디오는 음악과 동의어라는 편집진의 판단에 따라 기획한 시리즈로 모처럼 방송 프로듀서들이 전해주는 신선한 미학적 시선에 독자 분들이 좋은 반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 방송사의 라디오국에서 음악 프로를 관장하며 15년 이상의 이력을 가진 20인 PD의 ‘인생 곡 톱10’입니다. 열두 번째 순서는 MBC 라디오 한재희 프로듀서입니다.

여기 있는 노래들은 가장 좋아하는 노래 10곡은 아니다. 좋아했던 곡들을 스무곡 남짓 추려내고 난 다음부터는 더 이상 순위를 매기는 게 불가능해졌다. 기억을 더듬어 보다가 내가 생각한 단어는 ‘인연’이었다. 음악과 내가 만난 인연. 그때의 나와 그때의 음악이 만나서 내 안에 뭔가 벌어진 이야기. 이런 얘기를 하다보면 어설픈 감상문을 쓰지 않아도 되고 라디오 사연같은 느낌도 날 것 같았다. 음악사이트 피치포크(pitchfolk)에 ‘The music that made her/him’이라는 제목의 시리즈가 있다. 뮤지션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인생음악에 대해 이야기하는 아티클이다. 음악이 누군가를 ‘만들’ 수 있을까? 음악하는 사람도 아니고 이렇다 할 음악방송 PD도 아니지만, 이렇게 돌이켜보니 그런 것도 같다.

프린스(Prince) ‘Little red corvette’
프린스는 나의 첫번째 스타이다. 열두 살 때 AFKN의 쇼 프로그램 < 솔리드 골드 >에서 그를 처음 보았다. TV채널을 2번에 맞추면 미군 방송이 희미하게 수신되던 시절이었다. 바닥에 연기가 퍼지면서 등장했다는 것, 희번덕거리는 눈빛이 강했다는 인상이 지금도 남아 있다. 가장 뚜렷이 기억나는 건 객석의 비명소리이다. 그의 몸짓이 바뀔 때마다 숨넘어가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Little red corvette’이라는 곡명은 알아보지 못하고 프린스라는 이름만 기억해 두었다. 하지만 아무리 채널을 돌려도 라디오에서는 그의 노래를 들을 수가 없었다. 이듬해 < Purple Rain >이 나왔고 그는 미국에서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나는 그의 평생 팬이 되었다. 노래마다 괴성을 지르고 외설적인 이미지에 금지곡도 많은 흑인가수의 팬은 자랑질도 쉽지 않았다. 평소 가장 보고 싶은 공연이 프린스였지만 한국에는 한 번도 오지 못했다. 그리고 이제 그는 세상에 없다.

들국화 ‘그것만이 내 세상’
‘들국화’라는 이름을 알게 된 건 음악이 아니라 활자가 먼저였다. < 음악세계 > 잡지에 평론가 이백천씨가 쓴 리뷰가 멋있었다. “이 정도면 굳이 외국 음악을 들을 이유가 없다”는 문장을 읽고 동네 음악사로 갔다. 태어나서 처음 산 가요 테이프가 들국화 1집이었다. 전인권의 목소리가 에어로스미스 같았고 기타 솔로도 길고 화음도 멋있고, 여하튼 뭔가 다르다고 느꼈다. 매일 테이프를 듣고 라디오 채널을 돌려가며 혹시 들국화 안 나올까 마음 졸이기도 했다. 내가 본 첫번째 콘서트도 들국화였다. 잠실실내체육관이었는데 하얀 셔츠와 청바지를 입은 깡마른 전인권 아저씨가 목을 길게 빼고 노래를 하면 온 공연장이 쩌렁쩌렁 울렸다. 젊은 전인권의 라이브를 눈 앞에서 볼 수 있었던 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그것만이 내 세상’을 들으면서, 열네 살 나이에도 ‘나의 노래’라는 느낌을 받았다. 나 대신 노래해주고 나 대신 소리질러주는 것 같았다. 주변 친구들 중에도 들국화 팬은 제법 있었다. 이렇게 처연한 노래를, 그 시대의 소년들은 왜 좋아했을까.

메탈리카(Metallica) ‘Fade to black’
메탈리카와의 인연에는 온갖 불법(?)적인 것들이 연루되어 있다. 일단 집에 전축이 있는 친구를 꼬셔 방배동 음반가게에 데려가 1,2집 불법복제판(빽판)을 산 다음 테이프에 녹음해 달라고 했다. (돈은 그 친구가 냈다.) 이선희를 좋아하던 친구는 ‘무서워서 못 듣겠다’고 투덜댔다. 다음에는 반포 어딘가로 가서 ‘Cliff’em all’ 비디오를 불법 복사해 돌려보았다. (메탈리카의 초기 라이브 영상을 모아 놓은 비디오인데 객석에서 홈카메라로 불법 촬영한 클립들이 가득하다.) 주말이면 친구들과 대학로 MTV라는 어두컴컴한 곳에 가서 헤비메탈 비디오를 두 세 시간씩 봤다. 흑맥주를 먹거나 담배를 피우는 녀석들 사이에서 난 콜라만 홀짝거렸다.

‘Fade to black’은 이 모든 불량 행위가 시작되기 전 심야 라디오에서 처음 접한 곡이다. 그래미상에 호출되기 전까지 메탈리카는 미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나 컬트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헤비메탈의 과잉이 지겨워 졌지만 젊은 날의 메탈리카는 지금 봐도 쌈박하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feat. 이언 앤더슨) ‘Elegy’
10대 시절 거의 모든 음악은 라디오에서 만났다. 열여덟 열아홉 우울한 시절엔 새벽 1시만 기다리며 하루를 버티다시피 했다. 전영혁 아저씨, 가끔은 정혜정 아나운서의 프로그램까지 듣고 나면 순하게 잠을 잘 수 있었다. Elegy는 < 25시의 데이트 > (나중에 < 전영혁의 음악세계 >로 타이틀이 바뀌었다) 엔딩 타이틀곡이었다. 전영혁 DJ는 이 곡을 깔고 “칼국수처럼 풀어지는 어둠…”하면서 기형도의 시를 읽어주곤 했다. 정혜정 아나운서가 BGM으로 사용했던 리 오스카의 ‘My road’나 팻 메스니 ‘If I could’ 같은 곡들도, 생각하면 마음이 울렁거리는 음악들이다.

이 때 들었던 라디오의 의미는 내겐 정말로 각별하다. 방송이 청취자의 마음에 얼마나 깊이 들어왔는가, 이런 건 수치로 집계되지 않는다. 지금도 청취율 제로의 심야방송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누군가는 당신의 목소리를 그리워하게 될 거라고, 꼭 말해주고 싶다.

비틀스 ‘Happiness is a warm gun’
일요일이면 국기원 옆 시립도서관에 가방을 던져 놓고 무작정 돌아다니곤 했다. 강남역 근처 레코드점에서 핑크 플로이드의 < The Wall >과 비틀스의 < White Album >이 나란히 걸려있는 걸 발견했다. 하얀 색, 수입원반에 더블음반. 참 예뻤고 참 비쌌다. 성냥팔이 소녀처럼 바라만 보다가 발길을 돌렸다. 

대학생이 되고 나서 비틀스 라이선스 LP를 모으기 시작했는데, 정식 라이선스를 가진 계몽사는 음반 표지에 줄무늬를 덧칠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른 건 몰라도 화이트 앨범만은 그 조악한 무늬를 참을 수 없어 CD로 구했다.

화이트 앨범은 아마 내가 살아오면서 가장 많이 들은 음반 중 하나일 것이다. 비틀스의 여러 가지 모습들이 다채롭게 담겨 있어서 30곡을 다 들어도 전혀 지루하지가 않았다. 좋아하는 곡이 많지만 첫 인상이 워낙 강했던 ‘Happiness is a warm gun’을 리스트에 올렸다. 라디오에서 처음 듣고는 잠시 멍해졌던 기억이 있다. 농담 같기도 하고 진지한 것도 같고, 수수께끼 같은 곡이다.

닉 드레이크(Nick Drake) ‘Time has told me’
군대 전역 후 취직을 하기까지 몇 년간은 고3때보다도 막막한 시기였다. 음악 한 곡, 영화 한 편, 아니면 책 한 쪽이라도, 무언가를 붙잡고 있지 않으면 불안했다. 마음이 고달플 때면 신촌이나 홍대 근처를 돌아 다녔다. 레코드숍에 들어가 한참을 구경하다 딱 한 장만 고르고는 서점에서 책 한 권 사 들고 버스 맨 뒷자리에 앉아 음반 속지를 꺼내 읽자면 세상 부러울 것 없이 행복했다.

닉 드레이크는 신촌 향음악사에서 구입했던 기억이 난다. 그의 이미지는 내겐 초록색이다. 연녹색 플라스틱 CD케이스, 1집 자켓의 초록색 배경, 푸른 잔디가 덮여있는 묘지 사진 같은 것들. 이십대에는 1집을 좋아했고 나이가 들수록 3집에 마음이 간다. 

닉 드레이크의 목소리는 기분이 가라앉아 있을 때 들으면 더 좋다. 듣고 있다 보면 시선이 점점 마음 속으로 향한다. 이 곡을 고른 건 노랫말 때문이다. 좋아하는 구절이 많아서 한 동안 SNS 프로필에 올려 놓기도 했다. 스물한 살에 쓴 가사라는데, 나는 나이가 들수록 곱씹어 보게 된다.

‘time has told me, not to ask for more, for someday our ocean will find its shore’

장필순 ‘첫사랑’
5집 음반 이전까지는 장필순이라는 뮤지션에 대해 큰 관심이 없었다. 라디오에서 자주 들리던 ‘어느 새’도, 오장박의 노래도 그땐 심드렁했다. 이 음반도 홍보용 비매품으로 돌린 수많은 CD들 사이에 섞여 들어왔다. 모던 록에 관심이 많을 때라 처음엔 ‘스파이더 맨’ 같은 곡이 귀에 들어왔지만, 계속 반복해서 들은 노래는 1번 곡 ‘첫 사랑’이었다. 

무반주로 ‘아직 어두운 이른 아침…’ 노래가 시작되면, 마치 옆에서 누가 가만히 이야기를 건네 오는 것 같았다. 한 소절 한 소절 소리가 눈송이처럼 포개지면 마음은 점점 따뜻하게 풀려 나갔다. 옆에 누군가 앉아서 조용히 내 푸념이라도 들어준 기분이었다. 조동익과 장필순이 만드는 아련한 소리의 질감을 이때부터 정말 좋아하게 되었다.

20년 전 이 노래를 반복해서 듣던 때는 좋아하는 사람과 잘 안 되어서 마음이 많이 힘들 때였다. 지금은 5집에서 ‘풍선’을 더 즐겨 듣는다. ‘풍선’이 마음에 들어 온 데에는 또 지금 내 나름의 사정이 아마 작용했을 것이다.

언니네 이발관 ‘순수함이라곤 없는 정’
이소라 씨와 밤 프로그램을 할 때 코너지기로 이석원 씨를 섭외했다. 나는 2시간 메인 프로그램을 처음 맡은 초짜 PD였고 석원씨도 방송3사 고정출연이 처음이었다. 코너지기에게 선곡과 이야기 테마를 모두 맡겨버리는 컨셉이었는데, 미리 짜맞추는 구성이 음악 프로그램에 안 맞는다고 생각한 초짜 PD 나름의 패기였다. 

작가였던 이병률 시인의 아이디어로 ‘이발관 옆 음반가게’라는 코너명이 나왔고 2집의 ‘어떤 날’을 코드 음악으로 정했다. 이런 컨셉이 가능했던 이유는 뮤지션으로서 언니네이발관을 좋아했고 리스너로서 이석원 씨를 믿었기 때문이었다. 6개월 간 방송은 잘 됐지만 정작 나는 그와 별다른 친분을 맺지 못했고 언니네 이발관의 음악을 좋아한다는 표현도 잘 못했던 것 같다. 제일 좋아했던 노래가 2집의 이 곡인데, 당시 3집 활동 중이라 방송에서 자주 틀지도 못했다.

몇 해 전 마지막 음반을 들을 때는 마음이 좀 무거웠다. 노래를 만들어내는 고통이 음악 속에서 전달되는 것 같은 특이한 경험이었다. 이석원 씨는 글도 선곡도 좋고 라디오에 어울리는 사람인데 방송과 인연을 맺을 방법은 더 없을까 가끔 생각한다.

마그네틱 필즈(Magnetic Fields) ‘Papa was a rodeo’
2005년에 새벽 프로그램을 할 때 알게 된 노래이다. 같이 일했던 생선이라는 친구 덕에 미국 인디음악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프로그램이 없어진 후 생선은 갑자기 미국으로 떠나 66번국도(Route 66)를 횡단하더니 베스트셀러 여행작가가 되었다. < 69 Love Songs 라는, 69가지 사랑 노래를 담은 단편소설집 같은 음반에 수록된 곡이다. 길 위에서 눈을 뜨고 길 위에서 밤을 맞는 쓸쓸한 사람들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빠는 로데오 선수였고 엄마는 로큰롤밴드 멤버였어. 난 걸어다니기 전부터 기타를 쳤고 로프를 묶었대. 디젤차가 닿는 곳이면 어디든 우리 집이었고 사랑이란 건 트럭 노동자들의 손길에서 배웠지. 이제 아침이 밝으면 이곳을 떠나서 내년까지 돌아오지 않을거야. 그러니 나에게 키스하려는 그 입술은 그냥 맥주병에 꽂아 두는 게 낫겠어.’

라디오 PD에게 주어지는 선곡의 자유는 밖에서 짐작하는 것 보다 훨씬 인색하다. 새벽 3시. 청취율은 제로였지만 자유로웠고 마음이 젊었다. 이 노래는 시간을 그때로 돌려주는 신호 같은 곡이다. 그 시간들이 없었다면 지금까지 어떻게 버틸 수 있었을까 가끔 생각한다. 그러고 보면 나는 운이 좋은 PD이다.

베리얼(Burial) ‘Come down to us’
음원앱의 알고리즘이 아니었으면 이 음악은 만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알고리즘이 어떻게 내 취향을 잡아낸 건지 신기했다. 길이도 길고 상당히 특이해서 쉽게 누구에게 권할 만한 곡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곡을 마지막으로 고른 이유는 오로지 개인적인 경험 때문이다.

1년 전 여름 처음 이 음악을 들었다. 지직거리는 잡음으로 시작해서, 서늘한 바람소리, 불꽃타는 소리, 빗소리, 멀리 천둥소리, 알 수 없는 공간음, 노래라고 할 만한 무엇, 속삭임 같은 것들이 띄엄띄엄 전자음 위에 흘러 다녔다. excuse me, I’m lost… who are you… come down to us… 이따금씩 이런 말들이 들렸고, 나는 이곳이 아닌 다른 어떤 세계에 들어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음악이 다 끝났을 때는 마음이 평온해져 있었다. 나보다 훨씬 아프고 힘겨운 사람들이 내 손을 따뜻하게 잡아 준 것 같은, 그런 느낌이었다. (실제 이 음악에는 소수자들을 격려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상일 뿐이다. 들어보면 불편하거나 꺼림칙하다고 느끼는 분들도 아마 많을 것이다. 이 음악을 처음 들은 장소와 날짜와 시간대를 나는 기억한다. 괴로운 일이 생겨서 많이 힘들 때였기 때문이다. 만약 그때 내 마음이 밝고 가벼웠다면, 흐린 날 저녁이 아니라 햇빛 쏟아지는 대낮이었다면, 나 역시 이 음악에 관심이 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음악이라는 게 그런 것 같다. 똑같은 음악이라도 듣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음악이 되고, 같은 사람에게도 언제 어떤 마음으로 듣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내가 여기 올린 음악들을 만난 것에 감사하듯, 누군가는 또 자신만의 음악들로 위안받고 행복했을 것이다. 그러니 좋은 음악 나쁜 음악 따지는 건 아무 의미가 없다.

* 한재희 PD
1997년 12월 MBC 라디오국 입사
< 음악도시 >, < 푸른 밤 >, < 굿모닝FM >, < 배철수의 음악캠프 >, < 여성시대 >등 연출.
현재 < 김종배의 시선집중 > 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