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유키카 ‘우주의 법칙’ (2022)

평가: 3.5/5

기억을 되짚는 순간은 언제나 아련하고 공허하다. 지난 11월 말 함께 성장해 온 소속사와의 계약 종료를 알린 유키카는 지금의 복합적인 감정을 거스를 수 없는 ‘우주의 법칙’에 빗대 풀어낸다. 몸과 마음이 떨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그 속의 꿈만큼은 서로를 끌어당기는 지구와 달처럼 항상 붙들겠다 다짐하며 올 한 해 그리고 그간의 여정을 따스히 갈무리한다.

메시지를 전하는 재료는 역시 특장기인 시티팝이다. 느린 템포로 쟁글거리는 기타는 키보드, 베이스와 함께 떠다니며 맑은 목소리가 울려 퍼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드럼과 트럼펫은 재즈 특유의 리듬감을 더하며 그 주변을 영롱하게 수놓는다. 올곧은 스타일로 쏘아 올린 폭죽놀이는 잠시 막을 내리지만 그가 자릴 비운 밤하늘엔 포근하고 기분 좋은 추억만이 가득하다.

Categories
특집 Feature

뉴트로 특집 VOL.2 : 12곡으로 살펴본 뉴트로

복고가 뭐길래. 이리도 오랜 시간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특히 ‘젊은 세대’에게도 사랑받는 것인가. 한 번쯤은 떠올렸을 궁금증이다. 이에 이즘이 ‘뉴트로 특집’을 준비했다. 뉴트로의 정의와 연혁을 다룬 박수진 필자의 글에 이어, 두 번째 특집으로 IZM 필자들이 모여 뉴트로 흐름에 박차를 가한 12개의 곡을 모았다. 복고 열풍을 한 눈에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이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되기를 바란다.

브루노 마스 ‘Treasure’
어스 윈드 & 파이어가 부른 ‘Let’s groove’의 뮤직비디오, 두터운 리듬을 강조한 프린스의 초기 음악 스타일, 마이클 잭슨의 안무. 이 세 가지는 브루노 마스의 ‘Treasure’를 가장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문구다. 1970, 80년대에 음악을 많이 들은 사람한테 이 펑크(Funk)넘버는 과거를 답습한 결과물이지만 2010년대의 젊은 세대에게 이 곡은 최첨단 유행이자 세련된 보석이다. 이후 브루노 마스는 ’24k magic’, ‘Finesse’, 마크 론슨과 함께 한 ‘Uptown funk’로 복고 열풍을 주도했고 2021년에는 더 거슬러 올라가 1970년대 초반의 소울 발라드를 끌어들인 ‘Leave the door open’으로 음악적 영역을 넓혔다. ‘Treasure’는 뉴트로가 아니라 레트로다. (소승근)

샤이니 ‘1 of 1’
뮤직비디오의 흰색 배경과 원색의 파워숄더 수트가 MTV 시대를 재현한다. 그 위에 둔탁한 808 드럼 비트가 떨어지는 순간 1990년대 초반으로 범위를 좁힌다. 직접적인 오마주는 아니지만 뉴 잭 스윙을 대표하는 보이밴드 뉴 에디션, 블랙 스트리트의 흔적도 곳곳에 흩뿌려져 있다. 파편화된 과거를 전유하는 모습은 뉴트로 그 자체다. 그러나 ‘1 of 1’은 시대적 현상이 일어나기 전인 2016년에 발매된 곡으로 소속사의 향수를 반영한다. 1990년대 듀스, 현진영 등 우리나라까지 흘러온 뉴 잭 스윙에 SM은 에스이에스의 ‘(Cause) I’m your girl’로 응답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권위자 테디 라일리와 작업하며 그의 음악과 시대에 대한 경의를 표하고 있다. 북유럽의 최신 EDM 사운드를 이식하던 샤이니가 과거로 회귀한 건 뜬금없는 일이 아니었다. 기획사의 노스텔지어와 그룹의 아방가르드가 만나 조금 이른 뉴트로를 낳았을 뿐. (정수민)

백예린 ‘Square (2017)’
SNS에서 입소문을 타고 부상한 미발매곡이 뉴트로 트렌드를 점령했다. 일본 버블경제 시기 등장한 쿠보타 토시노부의 ‘La la la love song’ 커버에 더해 비공식적으로 페스티벌에서만 선보였던 ‘Square (2017)’ 라이브 영상은 ‘초록 원피스 신드롬’을 일으키며 백예린의 이미지를 굳혀 왔다. 1980년대 모던 록 사운드 위 새겨진 청아한 음색은 유튜브 알고리즘을 가득 채우며 ‘나만 알고 싶은 가수’를 찾아 헤매던 이들을 결집했고, 기대에 부응하듯 정식 발매 이후 차트를 휩쓸었다. 바이닐 열풍을 탄 첫 정규 음반 역시 2020년 국내 LP 판매 순위 1위에 오르며 신복고 선두주자로서 그의 정체성을 공고하게 다져나간다. 빈티지한 세련미를 찾는 시대, ‘Square (2017)’는 신세대의 취향에 발을 맞춘 백예린의 ‘힙’한 화답이다. (손민현)

정글 ‘Casio’
정글은 1970, 80년대 미드템포 펑크(Funk)/디스코를 동경한다. 이들의 문법을 집대성한 ‘Casio’ 역시 디스코에 기반을 둔 팝 펑크 곡이다. 향수를 부르는 아스라한 신시사이저, 팔세토 창법으로 연결된 담백한 하모니가 기분 좋은 여유를 발산하고 뒤이어 댄스 본능을 자극한다. 고급 와인처럼 오랜 숙성을 거친 듯 세련된 그루브가 웨스트 코스트의 광활한 해변을 배경 삼은 올드 스쿨 LA 밴드처럼 느껴지지만 팀의 주축 조쉬 로이드 왓슨과 톰 맥팔랜드는 밀레니얼 세대의 영국 청년들이다. 당시 20대였던 이 런던 듀오는 선배들의 찬란한 유산을 황금색 페인트로 칠해 윤기 나는 신복고 음악으로 재가공했다. 레트로에서 뉴트로, 정글이 장착한 신구 융합의 엔진이 세월의 격차를 성공적으로 좁혔다. (김성욱)

박문치 ‘널 좋아하고 있어 (With 기린 & Dala & 준구)’
펑크(Funk), 디스코가 과거 불러오기 바람의 중심에 서있지만 음악의 추억 상자에는 아직 장르가 남아 있다. 힙합과 알앤비가 뭉친 뉴 잭 스윙이 그 예로 1980년대 후반 테디 라일리가 불을 붙이며 전 세계 뿐 아니라 국내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018년 브루노 마스의 ‘Finesse’ 리믹스가 반짝 떴던 미국 시장에 반해 우리나라는 2010년 즈음부터 태동을 보였다. 복각 듀오 유브이의 ‘집행유애’를 시작으로 에잇볼타운의 수장 기린이 다시 뿌리내리면서 주류 현상은 아니었지만 이는 재유행의 채비를 마련했고, 마침내 1996년생의 ‘뉴 질 스윙(여성 뮤지션)’ 스타 박문치를 낳았다. ‘라떼(‘나 때는 말이야’를 풍자한 표현)’는 거부하면서 ‘그때’의 음악에는 열광하는 사람들은 옛 것이지만 촌스럽지 않고, 요즘 것이지만 뻔하지 않은 음악을 환영했다. 1990년대의 음악을 듣던 이들에게는 향수를, 1990년대 생들에게는 새로움을 안겨주는 한국형 신복고의 대표곡. (임동엽)

김현철 ‘Drive (Feat. 죠지)’
뉴트로의 바람이 원조 시티팝 장인이 펼친 ‘돛’에 추진력을 가했다. 2006년 발매한 9집 < Talk About Love > 이후 13년이라는 긴 공백기를 깨고 자신의 시간이 돌아오리라고 예견한 듯이 정규작 < 김현철 10집 “돛” >으로 복귀를 알렸다. 베테랑 음악가와 젊은 뉴페이스들의 참여로 노련함과 생기가 공존하는 앨범 속에서 ‘Drive’는 주축 역할을 맡는다. 아티스트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청량한 퓨전재즈 스타일에 2017년 싱글 ‘Boat’로 이름을 알린 죠지가 깔끔한 보컬로 힘을 더한다. 198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을 편집한 뮤직비디오 형식의 2차 창작물과 SNS피드를 채우는 김현철의 이름이 세대를 막론하고 그의 음악을 향유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기존 대표곡에서 세련미를 더한 것이 30년 관록의 가수를 다시 한번 트렌드 최전선으로 이끌었다. 1989년 공개한 데뷔작 < 춘천 가는 기차(1집) >에 담은 한국 시티팝의 원류 ‘오랜만에’와 ‘연애’, ‘왜그래’ 등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기가 시대을 넘어 현세대를 물들인다. (백종권)

위켄드 ‘Blinding lights’
팝 현장에 부는 레트로 열풍을 대표한다. 의도적으로 아쉬움을 남겨 거듭 재생을 유도하는 영특한 편곡과 선율감을 살린 민첩한 보컬,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간 듯한 사운드를 앞세워 90주간의 빌보드 핫 100 차트인이라는 대기록을 남겼다. 신시사이저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모티브 전개에서 아하의 히트곡 ‘Take on me’가 강하게 스치며 비트에선 1980년대의 많은 아티스트가 애용했던 드럼 머신 롤랜드 TR-808이 떠오른다. 트렌드의 달인 프로듀서 맥스 마틴은 암울한 미래상을 그렸던 과거와 무력한 현재의 공통점을 포착했다. ‘Blinding lights’는 그때의 우울한 감성으로 지금의 공허한 마음을 겨냥한 레트로의 전형이다. (김호현)

두아 리파 ‘Levitating’
비록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말이라지만 ‘뉴트로’를 상징하는 작품으로는 < Future Nostalgia >만큼 제격인 것이 없다. 앨범의 다섯 번째 싱글로 낙점된 ‘Levitating’은 제목이 전달하는 ‘미래’와 ‘향수’라는 콘셉트를 대표하는 트랙이다. 롤랜드 VP-330 신시사이저 샘플로 1980년대 디스코 리듬을 생생하게 재현했고, 귀에 착 감기는 후렴으로 틱톡 플랫폼을 애용하는 신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젊은 층에게 인기몰이 중인 199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풍의 뮤직비디오를 추가로 공개하여 시각적인 요소까지 놓치지 않았다. 첫 싱글 ‘Don’t start now’가 대 복고 시대의 기폭제가 된 이후 수많은 아류작이 나왔지만, 두아 리파는 ‘Levitating’으로 그 흐름을 스스로 이어받으며 2021년 빌보드 연간 차트의 정상에 올랐다. 근 2년간은 부정할 수 없이 그의 시대였다. (한성현)

유키카 ‘서울여자’
‘남행열차’, ‘애모’ 등으로 잘 알려진 김수희가 1990년에 발표한 ‘서울여자’ 속 화자는 이별로 생긴 상처 때문에 서울이 미워졌다고 말했다. 애잔한 피아노 반주 위 ‘사랑도 팔고 사는 속이고 속는 세상’이라 고백하는 목소리엔 급변하던 대도시의 회색빛 고독이 물씬 배어있었다. 그로부터 정확히 30년 뒤. 비록 리메이크는 아니지만 레트로의 격류를 타고 동명의 곡이 등장했다. 1980년대 일본 음악의 주류였던 시티팝을 1993년생의 일본인 유키카가 한국식으로 복각하는 이질적인 모습도 물론 대중의 시선을 끌었지만, 낯선 장소를 마주하는 당당한 태도와 신시사이저, 브라스 세션이 자아내는 세련된 도회적 감성이 흐른 시간만큼이나 달라진 시대를 반영하며 공감을 얻어냈다. 프로듀서 박진배(ESTi)의 진두지휘 아래 완성도 있게 짜인 재현극은 당대의 감각을 충실히 고증하는 동시에 현재를 투영. 답습에서 끝나지 않고 재가공했기에 해당 장르의 범람에서도 번뜩이는 지점을 차지했다. (손기호)

브레이브걸스 ‘운전만해’
모두가 한 번씩 시티팝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발을 담그던 2020년, 브레이브걸스의 ‘운전만해’는 뉴트로의 부름에 대한 대답이자 그룹의 사활을 내건 승부처였다. 영롱하게 여울진 기타와 플루트, 다채로운 악기 운용으로 자아낸 드라이브 사운드, 이에 마지막 활동을 암시하는 듯한 아련한 작풍까지. 또한 세련됨을 강조하는 시티 팝의 주요 정서보다 명확한 훅과 기승전결을 띠는 K팝 속성에 주력한 곡은 가벼운 유행의 각색이 아닌 대중을 겨냥한 의도를 몸소 내비치고 있었다. 결국 진심은 통한다고 했던가. ‘롤린’이 역주행의 정의를 재고하게 하며 브레이브걸스에게 도약의 아이콘을 부여했다면, 이듬해 ‘운전만해’는 그 반짝의 주목을 안정권으로 진입하게 한 주역이 되었으니. 각종 커뮤니티와 미디어의 단합으로 화력을 이끈 ‘롤린’과 다르게 올바른 유행 해석과 수려한 완성도를 통해 차트에서 인정을 거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장준환)

방탄소년단(BTS) ‘Dynamite’
‘우리도 이만큼 할 수 있다!’
미지의 영역이었던 빌보드 핫100 차트 1위를 달성했다는 사실만으로 역사적인 곡이다. 방탄소년단 고유의 긍정 에너지로 약동하는 이 곡은 킹콩과 전설적인 록 그룹 롤링 스톤스, NBA 스타 르브론 제임스 등 영미권 문화의 인용과 ‘Tonight, alight’의 각운으로 친밀감을 더했다. 조나스 브라더스와 몬스타엑스 등과 작업했던 프로듀서 데이브 스튜어트는 박수 소리와 브라스 세션같은 디스코/펑크(Funk)의 요소로 복고풍 팝을 구현했고 뮤직비디오 속 멤버들의 의상과 동작도 과거를 가리킨다. 힙합과 K팝을 주 무기로 삼았던 방탄소년단이 제임스 브라운과 마이클 잭슨으로 회귀했다는 지점이 의미심장하며 당대의 지구별 스타가 건네는 디스코/펑크 폭탄은 뉴트로 열풍에 커다란 화력이 되었다. (염동교)

도자 캣(Doja Cat) ‘Kiss me more (Feat. SZA)’
올해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팝/듀오 부문은 당찬 두 여성의 품으로 돌아갔다. 2021년 방탄소년단의 ‘Butter’가 빌보드 싱글 차트 10주 1위라는 대업적을 이룩한 건 사실이나 수상의 영예를 거머쥔 도자 캣과 시저의 ‘Kiss me more’에도 40년 전 동일 기록을 달성한 히트곡의 기운이 살아 숨 쉬고 있다. 세련되면서도 도회적인 기타 리프와 베이스가 주도하는 노래는 1970-80년대 팝의 여왕으로 군림했던 올리비아 뉴튼 존의 ‘Physical'(1981)을 각색해 단번에 따라 부를 수 있을 만한 후렴구 멜로디를 주조했다. 우수한 밑바탕에 그려낸 가사 역시 레퍼런스의 육감적인 이미지를 그대로 흡수하며 키스라는 성적 욕망을 대담하면서도 부드럽게 드러낸다. 전반적인 구성은 틱톡을 뜨겁게 달궜던 ‘Say so’와 흡사하지만 과거의 질료를 매끈하게 다듬은 뉴트로 트랙 ‘Kiss me more’는 그 흥행이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음을 증명하며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디스코 퍼포먼스의 표본으로 남았다. (정다열)

이미지 디자인 : 정수민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유키카 ‘Timeabout,'(2021)

평가: 2.5/5

‘서울여자’의 삶을 노래했던 일본인 시티팝 아티스트 유키카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았다. 소속사 이적 후 발매하는 첫 작품 < Timeabout, >은 유키카 유니버스의 또다른 시작이지만 내재된 음악 정체성은 2020년에 발매된 첫 정규앨범 < 서울여자 >의 흐름과 연속성을 유지한다. 시티팝 리바이벌 속 단편적인 캐릭터로만 남는 것이 아닌 사운드의 계승을 통해 유키카 자신의 세계관을 장편의 여정으로 이어나간다.

여정의 전개를 매끄럽게 이어주는 매개체는 짙어진 시티팝의 색채다. 임수호, 스페이스카우보이, 뮤지, Dr.Jo, 박문치로 완성된 시티팝 어벤져스 군단의 참여로 밀도 높은 비트와 진한 농도의 레트로 사운드를 이끌어낸다. 데뷔곡 ‘Neon’을 잇는 차분한 디스코 장르의 ‘Insomnia’, 화려하고 댄서블한 리듬의 ‘비밀리에’, 가성으로 목소리에 변화를 담은 ‘애월’까지 유키카의 청아하고 맑은 음색이 다양한 퍼스널리티로 탈바꿈한다.

사운드의 개성이 돋보인 반면 이야기 전개는 전작에 비해 임팩트가 약하다. < 서울여자 >로 성공적인 발자취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아티스트 유키카와 앨범 속 화자의 서사가 동일시 되어 현실감 있는 스토리로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 Timeabout, >은 시간 여행을 주제로 과거의 자신을 찾아 헤매는 서사를 담지만 몽환적인 음악의 흐름이 콘셉트와 맞닿아 있을 뿐 한 편의 스토리와 같은 긴밀한 연결성이 약하다. 전작에서 음악의 궤도를 달리 할 수 있었던 매력의 부재는 멜로디의 에너지가 반감되는 결과를 잉태했다.

시티팝이라는 비교적 좁은 팔레트로도 다양한 형태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은 긍정적이나 장르적 지향만으로는 전작의 탄탄한 구성과 참신함을 이어나갈 동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듣는 이들이 유키카의 음악에 응답하고 매력을 느끼게 해주었던 원동력이 무엇인지 돌아보아야 한다.

– 수록곡 –
1. Leap forward
2. Insomnia 
3. 애월 (愛月)
4. Time travel
5. 비밀리에
6. 별방울 (Pung!)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유키카 ‘서울여자’ (2020)

평가: 3/5

‘서울여자’의 뮤직비디오 속 유키카는 가상과 현실 두 공간에 존재한다. 가상의 유키카는 서울의 밤거리와 반짝이는 네온사인 속 홀로그램으로 투영되어 외로이 춤추는 반면, 현실의 유키카는 해 질 녘 남산 타워 아래서 밝은 미소로 ‘서울의 멋진 여자’가 된 자신을 소개한다. 분명 우리와 같은 도시에 존재하지만 다른 곳에서 온듯한, 함께 있는 듯 하지만 손 잡을 수 없는 오묘한 존재처럼 느껴진다. 

이 같은 복잡한 감정이 들었다면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것은 유키카가 처음부터 한 명의 개인보다 일종의 캐릭터처럼 기획된 덕이다. 유키카는 게임 음악 제작으로 이름을 알린 박진배(ESTi)가 선보이는 첫 대중음악 가수다. 일본을 떠나 한국에 첫 선을 보인 경로는 아이돌을 육성하는 비디오 게임 ‘아이돌 마스터’를 드라마화한 ‘아이돌 마스터. KR – 꿈을 드림’이었다. 이후 우리에게 ‘시티팝’이라 불리는 일련의 흐름이 유행하자 이에 발맞춰 싱글 ‘네온’을 발표하며 ‘꿈을 찾아 하네다에서 김포로 날아온 일본 시티팝 소녀’의 캐릭터의 밑그림이 그려졌다. 

< 서울여자 >는 그래서 독특한 시뮬라크르다. 시티팝이라는 이름 아래 뭉떵그려지는 1980년대 일본에서 유행했던 일련의 흐름을 한 일본인이 ‘분위기 있는 서울 여자’가 되기 위해 한국어로 노래하고 있다. 원본과도 같지 않고 최근의 시티팝 리바이벌과도 구분되는 색다른 감상을 불러일으킨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시뮬레이션 게임을 음반으로 옮긴 듯한 콘셉트 앨범이다. 여기에 1993년생 테라모토 유키카는 없다. ‘From HND to GMP’로 한국 땅에 발을 디딘 후 사랑을 느껴(‘I feel love’) ‘서울여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낯선 ‘네온’ 속에 길을 잃다 ‘Yesterday’와 ‘안아줘’처럼 순간 불안해하며, ‘좋아하고 있어요’로 열띤 고백을 건네나 쓸쓸하게 귀국길에 오르는, ‘유키카’라는 이름의 캐릭터가 있을 뿐이다. 

복잡한 인상처럼 판단 역시 양가적이다. 우선 의외로 음악적으로도 섬세하고 잘 다듬어져 있는 작품이라는 점을 짚고 싶다. 박진배의 일관된 프로듀싱 아래 오레오, 모스픽, 작곡팀 모노트리 등 케이팝 프로듀싱 팀의 곡은 간결하고 효과적인 사운드트랙의 기능에 충실하다. 브라스 세션이 두드러지는 ‘I feel love’, ‘서울여자’와 ‘좋아하고 있어요’가 시티팝 유행을 받아 도회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시하며, 역동적인 구성의 ‘안아줘’는 케이팝 아이돌로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그늘’로는 1980년대 옛 가요의 재현까지 담아낸다. 

반면 시티팝 유행의 배경과 게임 캐릭터, 복제의 개념이 어색한 이들에게는 ‘도도하고 매력 있어 이런 서울의 멋진 여자’를 노래하는 ‘서울여자’의 가사부터가 불편하게 다가온다. 유키카가 출연 중인 유튜브 채널 ‘라우드지(Loud G)’ 프로그램과 동명의 트랙 ‘친구가 필요해’의 삭제된 노랫말 역시 방송의 연장일 수 있으나 ‘꿈을 찾아 날아온…’의 보편적 개념을 게임 및 마니아적 감상으로 좁힌다. 유키카의 노래가 아닌 기획된 캐릭터의 사운드트랙이라는 점을 느낄 때마다, 따스한 보컬 속 문득문득 인공을 마주하는 낯섦이 다가온다.

듣는 이에 따라 감상이 크게 다를 수 있으나 단순한 모조라고 보기엔 그 완성도가 나쁘지 않다. 따라서 다소 평면적인 마무리일 수도 있으나, < 서울여자 >의 성패는 마지막 트랙 소개 문구처럼 ‘To be continued…’로 이어지는 다음 작품에 달려있다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다.

유키카는 시티팝 리바이벌이라는 시대의 유행이 낳은 홀로그램 캐릭터로 기억 속에 스쳐갈 수도 있고, 혹은 쏟아지는 햇살을 만끽하며 ‘서울여자’로의 삶을 노래하는 우리 곁의 사람으로 좀 더 오래 머무를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게임의 주인공 유키카가 현실에서 선택해야 하는 두 갈래 갈림길이다.

– 수록곡 –
1. From HND to GMP
2. I feel love
3. 서울여자
4. 네온
5. Yesterday
6. 발걸음
7. 안아줘
8. 좋아하고 있어요
9. 친구가 필요해
10. 그늘
11. All flights are delayed
12. Neon 1989
13. 좋아하고 있어요 (Acoustic 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