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차트 역주행 특집 VOL 2. 팝 9곡

역주행은 차량이 달리는 방향과 반대로 달리기 때문에 위험하지만 음악에서 역주행은 그동안 빛을 보지 못했던 가수나 노래가 뒤늦게 인기를 얻는 걸 의미한다. 그래서 음악계의 역주행은 기분 좋고 안전하다. 그런데 이런 은혜로운 상황이 우리나라에만 있었던 건 아니다. 미국에도 꽤 많은 노래들이 다행히 부활해서 이전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번에 소개하는 역주행 리스트의 기준은 처음 발표했을 때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둔 노래이기 때문에 플리트우드 맥의 ‘Dreams’나 라이처스 브라더스의 ‘Unchained melody’, 로이 오비슨의 ‘Oh! pretty woman’처럼 처음 공개했을 때 더 높은 인기를 누렸던 곡들은 과감하게 제외했다.

홀 앤 오츠(Hall And Oates) ‘She’s gone'(1973)
1980년대에 ‘Kiss on my list’, ‘Maneater’, ‘Private eyes’, ‘I can’t got for that’ 같은 명곡을 배출한 대릴 홀과 존 오츠의 첫 번째 히트 싱글이다. 백인임에도 묵직한 소울 발라드를 구사한 이 듀엣은 1973년 말에 ‘She’s gone’을 발표해서 이듬해에 빌보드 싱글차트 60위를 기록했다.

이후 애틀랜틱 레코드에서 RCA로 이적한 홀 & 오츠가 발표한 ‘Sara smile’이 빌보드 싱글차트 4위에 오르자 배가 아팠던 애틀랜틱은 ‘She’s gone’을 다시 싱글로 발표해서 빌보드 싱글차트 7위 곡으로 만들고야 말았다. 재활용의 좋은 예. 이후 ‘Rich girl’로 빌보드 정상을 밟은 홀 & 오츠는 그 여세를 몰아 1980년대에 가장 성공한 듀오로 입지를 다졌다. 이 모든 성공의 출발점은 바로 ‘She’s gone’이다.

에어로스미스(Aerosmith) ‘Dream on'(1973)
1973년에 공개한 데뷔앨범의 첫 싱글로 당시에는 빌보드 싱글차트 59위까지 밖에 오르지 못했지만 고향인 보스턴의 지역 라디오는 ‘Dream on’을 줄기차게 틀어댔다. 덕분에 에어로스미스는 고향 보스턴과 매사추세츠 주에서만큼은 ‘떠오르는 스타’가 아니라 이미 ‘떠오른 스타’였다.

2년 후인 1975년에 공개한 3집 < Toys In The Attic >은 모든 걸 바꿨다. 이 앨범에서 ‘Walk this way’와 ‘Sweet emotion’이 세계적인 인기를 얻자 음반사인 컬럼비아 레코드는 재빨리 데뷔곡 ‘Dream on’을 다시 싱글로 발매해 빌보드 싱글차트 6위를 기록했다. 이후 보컬리스트 스티븐 타일러와 기타리스트 조 페리의 불화로 부대낌을 겪은 에어로스미스는 1987년에 발표한 < Permanent Vacation >으로 부활해 현재까지 아메리칸 록을 상징하는 밴드로 생존해 있다. 심지어 에미넴이 ‘Sing for a moment’에서 ‘Dream on’을 샘플링하기도 했으니까.

샬린(Charlene) ‘I’ve never been to me'(1977)
이 곡도 에어로스미스의 ‘Dream on’처럼 라디오의 지원사격을 받아 역주행에 성공했다. 1977년에 빌보드 97위에 간신히 턱걸이하고 곧바로 사라진 ‘I’ve never been to me’를 좋아했던 전직 모타운 직원 출신으로 지역 방송국 디제이였던 스코트 섀넌은 샬린이 모타운과 재계약을 하도록 도움을 줬고 이 곡은 1982년에 재발매 되어 빌보드 싱글차트 3위까지 진격했다.

아름다운 멜로디와 서정적인 곡 분위기와 달리 노래 내용은 한때 화려하고 허세에 찌든 삶을 살았던 중년의 여자가 자신의 젊은 시절과 닮은 여인에게 충고해 주는 자기 고백적인 이야기다.

닐 다이아몬드(Neil Diamond) ‘Solitary man'(1966)
자기 얼굴을 앨범커버로 대문짝만하게 내건 대표적인 가수는 필 콜린스와 닐 다이아몬드다. 차이점이 있다면 두 사람의 외모. 1970년대 가장 성공한 싱어송라이터 닐 다이아몬드를 상징하는 ‘Solitary man’은 1966년에 빌보드 싱글차트 55위를 기록한 그의 첫 번째 차트 진입곡이다.

당시엔 큰 인기를 누리진 못했지만 이후 ‘Cherry cherry’, ‘Girl you’ll be a woman soon’, ‘Holly holy’, ‘Sweet Caroline’이 성공을 거두자 음반사는 1970년에 ‘Solitary man’을 다시 발표해서 빌보드 싱글차트 21위까지 올랐다. 이후 이 노래는 히트곡이 많은 닐 다이아몬드의 시그니처 송으로 영국 박제됐다.

포인터 시스터스(Pointer Sisters) ‘I’m so excited'(1982)
영국 걸그룹 걸스 얼라우드가 리메이크 했던 ‘Jump (For my love)’의 주인공인 친자매 트리오 포인터 시스터스가 1982년에 발표한 이 곡은 빌보드 싱글차트 30위를 찍고 하락했다. 그리고 2년 후인 1984년에 ‘Jump (For my love)’와 은지원이 커버했던 ‘Automatic’이 연속으로 히트하자 아쉬움이 남았던 ‘I’m so excited’를 살짝 리믹스해서 부활시켰다. 결과는 대성공.

빌보드 싱글차트 9위까지 상승해서 생명 연장의 꿈을 이룬 ‘I’m so excited’는 ‘Jump’, ‘Automatic’과 함께 그해 그래미에서 포인터 시스터스에게 최우수 팝 보컬 그룹 트로피를 수상하는데 힘을 보탰다.

빌리 베라 & 더 비터스(Billy Vera & The Beaters) ‘At this moment'(1981)
1987년 초에 음악 관계자들에게도 낮선 가수의 노래가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했다. 그것도 라이브 실황이. 어리둥절했지만 그 의문은 곧바로 해소됐다. 당시 최고 스타였던 마이클 제이 폭스가 출연하던 시트콤 < 패밀리 타이즈 >에 이 노래가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10대 후반이었던 1962년부터 음악활동을 시작한 빌리 베라는 1981년에 ‘At this moment’를 발표했지만 빌보드 싱글차트 79위를 정점으로 금방 하락했다. 컨트리 팝과 뉴웨이브가 유행의 흐름을 주도하던 1980년대 초반에 약간은 청승맞은 알앤비와 재즈, 카바레 음악 스타일이 혼용된 ‘At this moment’가 비집고 들어갈 틈은 비좁았다. 결국 시트콤의 지원사격으로 발표 6년 만에 빌보드 넘버원을 찍었지만 더 이상의 후속곡이 없는 빌리 베라 & 더 비터스는 원히트원더 가수로 남았다.

제임스 인그램 & 패티 오스틴(James Ingram & Patti Austin) ‘Baby come to me'(1981)
알앤비 가수 패티 오스틴이 1981년에 발표한 앨범 < Every Home Should Have One > 수록곡으로 1982년 4월에 싱글로 커트했지만 빌보드 싱글차트 73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그렇게 묻힐 수 있었던 이 곡 역시 텔레비전 드라마 < 제네럴 호스피털 >에 등장하면서 역류를 시작해 1983년 2월에 싱글차트 넘버원에 올랐다.

영국의 펑크(Funk) 밴드 히트웨이브의 리더 출신으로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Off the wall’, ‘Rock with you’, 조지 벤슨의 ‘Give me the night’ 같은 명곡을 작곡한 로드 템퍼튼이 만든 ‘Baby come to me’는 세련된 도시적 분위기를 반영한 어반 알앤비를 상징하는 노래 중 하나로 다양한 가수들이 커버해 곡의 완성도를 인정하고 추앙했다. 이 중에는 박진영도 있다.

루이 암스트롱(Louis Armstrong) ‘What a wonderful world'(1967)
1967년에 녹음한 ‘What a wonderful world’는 영국 차트 정상을 포함해 유럽에서 큰 인기를 누렸지만 정작 미국에서는 싱글로 발표하지도 않았다. 미국에서 잊혀질 뻔한 이 노래를 살린 인물은 영화감독 배리 레빈슨. 그가 1987년에 만든 영화 < 굿모닝 베트남 >에 ‘What a wonderful world’를 삽입하면서 전세는 역전됐다.

베트남전 당시 미군 방송국에서 일하던 디제이의 눈으로 전쟁의 참상을 그린 이 작품은 주연을 맡은 로빈 윌리엄스를 세계적인 배우로 만들었고 16년 전인 1971년에 세상을 떠난 ‘사치모(루이 암스트롱의 별명)’를 소환했다. 전장의 비극을 묘사한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재즈 거장의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찬가는 극명하게 대비되며 짙은 인상을 남겼다. 어찌나 강렬했는지 몇 년 후 우리나라 맥주 광고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됐고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는 루이 암스트롱의 대표곡으로 안착했다.

퀸(Queen) ‘Bohemian rhapsody'(1975)
파란만장하고 우여곡절이 많은 노래다. 1975년에 발표돼서 빌보드 싱글차트 8위에 오를 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금지곡이 아니었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금지곡으로 묶였다가 1990년대 초반에 그 족쇄에서 풀렸다. 그래서 한동안 우리나라에서 ‘Bohemian rhapsody’는 금단(禁斷)의 노래였다.

1991년 11월 24일에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추모 분위기가 형성됐고 미국에서는 1992년에 다나 카비와 마이크 마이어스가 주연한 코미디 영화 < 웨인스 월드 >에 ‘Bohemian rhapsody’가 삽입되어 빌보드 싱글차트 2위까지 올랐다. 영화 < 웨인스 월드 >에서 얼간이 5명이 자동차 안에서 헤드뱅잉을 하는 그 유명한 장면은 신드롬을 일으키며 이후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패러디 소재로 활용됐다.

2018년에 개봉한 영화 < 보헤미안 랩소디 >에서 프레디 머큐리가 설득했던 음반사 사장 역을 맡은 배우가 마이크 마이어스가 이런 대사를 읊는다. “차 안에서 ‘Bohemian rhapsody’를 들으면서 머리를 흔드는 사람은 없어!”. 영화 < 보헤미안 랩소디 >의 성공으로 이 노래는 2018년에 세 번째로 빌보드 싱글차트에 올라 33위를 기록했다. ‘Bohemian rhapsody’는 불멸의 노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