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애쉬 아일랜드(ASH ISLAND) ‘Rose'(2023)

평가: 2.5/5

처절한 고독을 울부짖었던 ‘Paranoid’부터 잔망스러운 리듬으로 풋풋한 청춘을 그려낸 ‘멜로디’까지, 한 꺼풀씩 어린 시절의 아픔과 고독의 그림자를 벗겨온 애쉬 아일랜드는 순차적인 자기 치유를 이뤄냈다. 이에 발맞추어 편집증이나 악몽을 외치던 음울한 힙합은 옅은 무채색의 틀만 남겼고, 사랑과 이별을 읊는 팝으로 영역을 넓혔다. 힘이 강한 멜로디와 일반적인 주제로 꾸며진 < Rose > 역시 이러한 접근성을 더 높여 다가간다.

단짝 프로듀서 토일 대신 지휘봉을 잡은 보이 콜드는 특유의 친화력과 수용성으로 아티스트의 확장을 꾀한다. 팝과 힙합을 넘나드는 중심부는 일견 비슷해 보여도, 선이 굵은 기타 스트로크나 짙은 서정성의 난립은 분명 낯설다. 애쉬 아일랜드는 거친 야성은 감추고 목소리의 강약을 조절하며 이에 대응했다. 밴드 사운드를 비롯해 기존 기조는 유지하되 약간의 세련미를 더한 우회로, 여리여리한 목소리를 강조한 ‘Rose in the heart’와 ‘시간은 왜 앞으로만 가’가 신보의 이러한 변화를 대표적으로 상징한다.

그리하여 그가 도달한 이상향은 팝도, 록도, 힙합도 아니다. 물론 장기인 캐치한 후렴구를 삽입하기에는 적합한 환경으로, 감성적인 선율과 쉬운 글감으로 귀결된 이 종착지에 어느 정도 수긍은 간다. ‘작별인사’와 ‘Wonder’에서 그는 록 밴드의 프론트 맨으로 귀에 쉬이 남을 만한 멜로디를 쏟아내고, ‘Drop top’과 ‘Trapped’에서는 표류하는 이모(Emo)와 트랩의 흔적을 찾으며 충실히 노래한다. 과감한 결단이었다. 래퍼로 업을 시작한 그가 랩은 최대한 요약한 채 보컬만으로 승부를 본 것이다.

이 지점에서 단순히 정체성의 문제만이 아닌 근본적인 논점이 발화한다. 본질은 곡 하나하나가 단일로는 적당한 만족감을 주지만, 꿰어진 상태로는 소구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U know it’ 등 몇몇 수록곡에서는 촘촘한 음계가 눈에 띄나 벌스로 갈수록 그 힘은 떨어지고, 청취 시간을 흥미롭게 채워 넣기에는 대부분의 트랙 분위기가 비슷하다. 칠린 호미의 타이트한 랩이나 루이의 공격적인 피쳐링이 유일한 탈출구라는 사실은 앨범의 단조로운 흐름을 더 극명하게 드러낸다.

그럼에도 ‘작별인사’의 기세는 오래도록 뜨거울 테니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너른 장르 수용에 기반한 일반화는 그가 지닌 차별점을 뭉툭하게 다듬었고, 동시에 범용성까지 넓혀 왔으니 말이다. 어찌 보면 일찍이 팝 지향성을 선포했던 < Island >부터 예견된 결과물이다. 그러나 일관된 방향과는 별개로 설득력 있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 Rose >라는 낭만적인 도전장을 팝에 전하는 데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애쉬 아일랜드 장르 자체의 정당성에는 의문을 남겼다.

– 수록곡 –

  1. 작별인사
  2. Wonder
  3. Rose in the heart
  4. Trapped (Feat. 칠린 호미)
  5. U know it (Feat. 루이)
  6. Drop top (Feat. 더 콰이엇)
  7. 거짓말이라도
  8. Bad words (Feat. 비오)
  9. 시간은 왜 앞으로만 가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넋업샨(NUCK) ‘Not Really Now Not ANYMORE

평가: 3.5/5

마스터 플랜에서 데뷔한 넋업샨은 인피닛 플로우, 소울다이브를 거치며 한국 힙합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비트 위 시인과도 같은 존재감으로 이미 신에 자리매김한 래퍼가 마이크를 잡은 지 20년이 훌쩍 넘은 지금에서야 첫 번째 솔로 정규 음반을 발표했다. 걸출한 베테랑이 처음 홀로 이름을 내건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 어머니와 사별 후 실험적이고 새로운 소리를 장송곡 삼아 재차 모친상을 치르기 위함이다.

연출을 맡은 프로듀서 진부터 독특하고 다양한 소리의 군상을 암시한다. 재즈와 연이 깊은 프로듀서 엡마(Aepmah)의 전위적인 사운드 ‘우아한 시체’와 ‘배태’가 다소 위압감 넘치는 개회를 알리면 블루스와 힙합을 넘나드는 김박첼라가 다시금 유연하고 평이한 곡으로 이후 순서를 진행한다. 뒤바뀌는 분위기에 개의치 않고 상주(喪主) 넋업샨은 완숙한 랩이 깃든 ‘탕’, 시구를 읊는듯한 ‘봄’과 ‘주문’을 암송하며 묵묵히 손님을 맞이한다. 음악성이나 문학성, 어느 모로 봐도 평범하지는 않다.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후 겪는 내면의 요동 때문일까, 난해한 변주가 작 전반에 넘실거리지만 일부 휴식 구간은 무난한 청취로 문상객들을 유도한다. 간병 생활 중 에피소드를 유쾌한 음률로 표현한 ‘아버지의 휴일’은 흐름을 펑키하게 뒤바꾸고, 평이한 후렴구를 앞세운 ‘Desert glow’나 하드 록과 결합한 ‘T.S.B’에서도 마찬가지로 숨을 돌린다. 주제나 노랫말을 떼놓고 음악적으로만 봤을 때 가장 친절하고 대중 친화적인 노래가 가장 실험적인 음반에 담겼다.

잇따른 절차를 거친 후 다다른 ‘순간의 영원’은 전체적인 작품의 정서를 집약한다. 도입부에 인용한 알베르 카뮈의 소설 < 이방인 >처럼 그는 객관적인 관찰자로서 무덤덤하게 죽음을 바라보다가도 익숙한 일상을 깨뜨린 순간에 피어오르는 내면을 있는 그대로 묘사했다. 담담한 래핑과 처연한 어쿠스틱 기타 연주가 극명한 대비로 어머니의 투병 과정과 임종을 그릴 때, 트랙에는 엄숙함만이 감돈다.

오랜 시간 자기 심연으로 파고든 넋업샨은 진중한 언어와 정교하게 갈고닦은 소리를 배합해 수작을 완성했다. 사상과 원칙을 텍스트로 수놓던 래퍼는 XXX나 이현준 등 익스페리멘탈(Experimental) 힙합의 후배들이 이어받은 배턴을 다시금 이어받아 건재함을 증명했고 가장 사적인 경험까지 작품에 녹일 수 있는 아티스트로 진화한다. 혹여 이 예술적인 장례식에 조문을 희망한다면, 자리를 고쳐 앉아 사운드와 텍스트 모두에 집중하기를 권한다.

– 수록곡 –

  1. 우아한 시체
  2. 배태
  3. 토악질
  4. 아버지의 휴일
  5. 순간의 영원
  6. Desert glow
  7. 주문
  8. T.S.B
  9. 초원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카모(CAMO) ‘Pressure Makes Diamonds’ (2023)

평가: 3/5

캐쉬(Cash)와 머니(Money)의 앞 음절을 딴 카모(CAMO)는 ‘Life is wet’의 상승세를 타고 본격적으로 신에 발을 들였다. 꽤 인지도가 높아졌음에도 고심과 숙고의 시간을 거친 후 발매한 정규 1집은 싱글 단위로 분절되어 있던 음악적 조준점을 선명하게 맞추며 가수로서 변화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진중하게 선사한다. 작 전반에 확장을 향한 열망이 강렬하고 이를 위해 국내외 걸출한 조력자들을 초대해 보석을 갈고 닦는다.

이름부터 본토 향기를 풍기는 카모의 첫인상은 카디 비나 니키 미나즈의 전형적인 이미지와 겹친다. 단순 외모뿐만 아니라 주무기로 내세우는 몽환적인 트랩, 그리고 거친 베이스와 미니멀한 반복의 매력이 있는 장르 래칫(Latchet)이 함께 어우러진다. 한반도보다는 미국 남부에 가까운 카모의 분위기는 이렇게 형성됐고, 영어 강사로 활동했을 만큼 유창한 영어 실력 역시 음악과 비주얼의 융합에 크게 일조했다.

단순히 외국어를 중심으로 가사를 지을 뿐만 아니라 노랫말과 발음에 어울리는 풍부한 주제 멜로디로 곡의 재미를 더한다. 다채로운 탑 라인을 배치하며 래핑보다 보컬에 치중한 ‘그대에게’, ‘Mona lisa’, ‘Love fades’ 등은 주력 장르의 다소 밋밋한 단점을 해소하는 트랙이다. 분명 카모의 경쟁력이 살아난 구간이지만, 이 강점은 영어를 사용할 때 특히 선명하게 나타난다. 타이틀 ‘Bitchy’ 후렴구에 쓰인 단어들처럼 종종 어색한 한국어를 비추기도 한다.

언어는 음악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일 뿐, 카모는 좋은 사운드에 더 몰입하여 본인의 음악적 지평을 넓힐 소중한 기회를 만들었다. 성장기 타국에서 힙합을 접한 그는 자기 스타일에 가장 적합한 종주국의 비트를 수입했다. 어두운 멈블(Mumble)과 싱잉 랩 대중화에 기여한 프로듀서 808마피아가 지은 ‘Mapsi’는 클래식한 기타 리프가 카모의 음색을 뒷받침하며 독특한 맛을 낸다. 의외로 그라임과 드릴 대표주자 악셀 비츠는 산뜻하고 멜로디컬한 ‘Waiting for you’를 제시하며 후반부를 정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넓은 스펙트럼으로 나아가려는 목적성은 국경 없는 래퍼들과의 협력에서도 유효하다. 오키나와 태생으로 열도에서 비슷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에이위치(Awich)가 도움을 준 ‘Love fades’, 캐나다 출신 토미 제네시스와의 협업 ‘Waterwater’는 국내 힙합 신에서는 드물게 관측되는 국제 교류인데다가 여성 힙합 아티스트 간의 준수한 합작인지라 의미가 더 깊다. 루피나 식케이 등 기존 싱잉 랩 중진들과의 배합에서도 경력의 차이가 무색할만큼 카모는 주인공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위상이 낮아졌다 하더라도 음반과 CD의 의의는 여전히 뚜렷하다. 여러 곡을 집결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고 다음 단계를 기대하게 만들 수 있는지, 풀 렝스 앨범의 제작과 발매 과정은 아티스트의 역량을 점검하며 뽐내는 시간이다. 그 관점에서 카모는 이번 앨범의 목표를 이미 달성했다. < Pressure Makes Diamonds >는 드디어 정식으로 런칭한 카모라는 브랜드의 보증서이자 그가 세공한 빛나는 다이아몬드의 진열장으로 기능한다.

– 수록곡 –

1. 그대에게 (Six Weeks)
2. Pressure (Feat. 식케이 (Sik-K))
3. Fake hoe
4. 그래도 (Feat. 루피 (Loopy))
5. Like me
6. Bitchy
7. Waterwater (Feat. Tommy Genesis)
8. Mapsi (맵시)
9. Been givin’ you
10. Love fades (Feat. Awich)
11. Mona Lisa
12. Waiting for you (Feat. 박재범)
13. Finer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홀리데이(HOLYDAY) ‘Holy'(2023)

평가: 3/5

오케이션의 < 탑승수속 >에 올라타며 한국 힙합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온 프로듀서 홀리데이가 드디어 첫 정규 앨범을 내놓았다. 하이라이트 레코즈에서 출발해 2019년 비스메이저 컴퍼니에 합류하며 경력 내내 숱한 영역을 개척해온 그는 이번에도 역시 다양한 음조에 손을 내밀었다. 어느새 신의 베테랑으로 자리 잡은 지금 시점에 발매한 신보 < Holy >는 그가 늘 그래왔던 것처럼 본인의 넓은 음악 스펙트럼과 목소리를 얹은 래퍼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한다.

서로 치고받는 붐뱁에 집중하다가 나른한 트랩이 이어받는 등 이리저리 너울거리는 흐름을 종잡기가 쉽지는 않다. 그러나 음반의 주인이 드럼과 베이스를 중심으로 소리의 질감을 유사하게 유지해 나름의 질서를 부여했다. 더하여 곡의 뒤편마다 마련해둔 여러 아웃트로는 각기 개성 넘치는 10개 트랙을 묶는 또 하나의 연결고리로 작용한다. 래퍼의 특성에 어울리는 리듬을 짓는 비트메이커의 역할과 이를 결과물로 엮어내는 프로듀서의 의무에 모두 충실했다는 증거다.

당연하게도 각자 색채가 뚜렷한 래퍼들은 가장 적합한 선택지를 제공받았다. 맥대디, 오디(ODEE)와 신스(SINCE)처럼 타격감 있는 랩을 구사하는 이들에게는 박자 사이 여백이 강조된 ‘Tag’와 ‘Guilty pleasure’를 선사해 거친 언어의 매력을 강조했다. 더군다나 홀리데이는 섬세한 감성에 특화된 손님에게도 스스럼 없이 중책을 맡겼다. 쉴 틈 없는 랩으로 채운 쿤디판다 뒤 론(ron)에게는 ‘Bluffin’의 완급 조절을, 비스메이저 레이블의 마지막 방점을 찍는 ‘Last call’에서는 딥플로우 옆자리에 신예 잠비노를 배치하며 아련하고 신선한 맛을 보탠다.

후방 지원을 충실히 수행한 홀리데이는 독특한 악기와 곡 운용 능력으로 존재감을 명확히 드러내기도 한다. 입맛을 돋우는 넉살과의 오프닝 ‘Spotlight’와 팔로알토와 합을 맞춘 ‘Wavin’에 삽입된 포근한 신시사이저 사운드는 멜로디를 자유롭게 변용하고 지배하는 역할을 한껏 강조한 대목이다. 후렴구 없이 특이한 진행으로 흘러가는 ‘How you feel’에서는 독립된 인트로와 우원재의 목소리를 부드럽게 이어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작 후반부에 < Holy >의 깔끔하고 도회적인 지향을 본인이 나서서 잘 정리해둔 모습이다.

어색한 조합을 탄탄한 랩이 메꾼 ‘Anti’, 다른 트랙과 비교했을 때 신참들이 중심을 잡은 ‘Rum and drum’ 정도는 다소 어수선한 구역이지만 17명이나 참여한 것을 감안하면 그런대로 수긍이 가능하다. 이곳저곳에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피쳐링을 한 아름 담아 영리하게 음반을 채웠고, 이 인원을 조화롭게 분배하고 조합해내는 데 성공했다. 검증된 프로듀서가 자기 이름을 내건 만큼 기본에 충실하며 한 걸음 더 성큼 나아간다.

– 수록곡 –

  1. Spotlight (Feat. 넉살)
  2. Tag (Feat.맥대디, 한국사람, oygli)
  3. Bluffin (Feat. ron, Khundi Panda)
  4. Wavin (Feat. 팔로알토(Paloalto))
  5. Anti (Feat. 염따, QM, 펀치넬로)
  6. Guilty pleasure (Feat. ODEE, SINCE)
  7. Rum and drum (Feat. J.Yung, YOUNG SKI)
  8. How u feel (Feat. 우원재)
  9. Last call (Feat. 잠비노, 딥플로우)
  10. Divine test
Categories
KPOP Album

토일 & 지스트(TOIL & Gist) ‘Toast'(2023)

평가: 3.5/5

지난 몇 년간 릴 핍(Lil Peep)과 릴 우지 버트 등 이모(Emotional) 힙합을 대표하는 아티스트의 영향이 전 세계로 빠르게 뻗었다. 국내에서는 싱잉 랩의 인기가 기폭제 역할을 하면서 수많은 음악가가 감성적인 랩 음악을 만들기 시작했고 프로듀서 토일은 그 선봉에서 즉각적인 트렌드 반영과 대중적인 멜로디의 융합으로 빠르게 힙합 신 중심에 섰다. 

지난해 힙합플레이야와 힙합엘이가 공동 주관한 < KHA 2022 >에서 올해의 프로듀서를 수상한 토일이 같은 레이블 소속이자 < 고등래퍼3 > 출신의 래퍼 지스트와 합작 앨범 < Toast >를 발매했다. 두 사람의 이름을 융합해 건배라는 뜻을 만들어낸 제목이다.

앨범은 프로듀서로 참여한 < 쇼미더머니 10 >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놓았다. 방송을 통해 보여준 곡의 장르가 스펙트럼이 좁았던 모습처럼 여전히 지난 시간 반복해왔던 스타일을 재생산한다. 다만 경연에 비해 자율성이 주어진 프로젝트인 만큼 본인의 음악을 구현할 수 있는 아티스트를 직접 대입해 장점을 극대화한다.

래퍼로 등장했지만 알앤비 가수로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지스트와의 합작인 만큼 앨범을 힙합에 한정하지 않고 보컬 위주의 곡들로 채웠다. 첫 번째 곡 ‘Friends with benefits’부터 랩이 등장하지 않고 ‘Puzzle’에는 1인 밴드 가수 치즈가 참여하며 힙합을 확실하게 뒷 배경으로 보낸다. 애매한 중심을 지키기보다는 완전히 선로를 변경해 확실한 방향성을 취한다.

전략은 성공적이다. 한 우물을 파 수원을 발견한 듯 비트의 완성도는 높아졌으며 보컬의 선명한 멜로디는 호스트나 피처링 할 것 없이 적절한 녹음 방식과 이펙트로 완전히 곡에 녹아든다. 1990년대 뉴잭스윙을 흡수한 ‘이상형’이나 2000년대 초중반 미디움 템포 알앤비에 현재의 색을 입힌 ‘정리정돈’은 음반의 일체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유행을 빠르게 반영해 듣는 재미를 더한다. 토일은 완성도에서 나오는 자기복제와 개성의 한 끗 차이를 만들어내 진화했다.

-수록곡-

  1. Friends with benefits
  2. 끝말잇기 (Feat. Skinny Brown)
  3. Return (Feat. sokodomo)
  4. Puzzle (Feat. CHEEZE)
  5. 이상형 (Feat. 토이고)
  6. 반복재생 (Feat. Jason Lee & Chan)
  7. 정리정돈 (Feat. Jayci Yucca)
  8. 처음 마주쳤을 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