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특별 기획 ‘미국’] 6. 케이팝 팬덤이 사회정의를 부르짖는 이유

부모 마음대로 되는 자식이 아무도 없다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정치와 담을 쌓은 케이팝이 되려 미국 정치에 휘말리는 아이러니를 예측한 케이팝 기획자가 있을까. 케이팝 팬덤은 올해 6월 오클라호마 털사(Tulsa)에서 개최된 트럼프 대통령의 유세에서 백만 건이 가까이 이루어진 가짜 참석 신청의 배후가 자신들임을 주장했고, 그 이전에도 백인우월주의나 극우 이념에 관련된 해시태그를 케이팝 이미지와 영상으로 도배하는 등 정치적 목소리를 거침없이 내고 있다. 예상치 못한 전개지만 케이팝 팬덤과 정치의 결합은 이미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 연결고리를 들여다보면 앞으로 케이팝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단서도 찾을 수 있다.

케이팝의 세계적 인기에서 유념할 점은, 그 시작점이 주변부였다는 사실이다.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차트 1, 2위를 한 번에 차지하는 나날이 있기 전에도 케이팝 팬들은 존재했으나, 이들은 멸시나 조롱, 혹은 무시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일종의 마니아 문화로 시작한 탓도 있겠지만, 문화의 생산자나 소비자들에 대한 편견도 분명하게 작용했다. 클래식 음악이나 커피, 와인처럼 소수가 몰입해서 소비하는 문화가 무조건 천대받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케이팝의 ‘성공’이 완성하는 언더독 서사는 이런 배제의 역사에서 설득력을 얻고 팬들을 결집시킨다.

미국 케이팝 팬덤은 크게 보면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코스프레 같은 긱(geek)들의 문화와 그 뿌리를 공유한다. 단적인 예시로 케이콘(KCON)이 있다. 한국의 대중음악을 사랑하는 수만 명의 팬들이 로스앤젤레스나 뉴욕으로 몰려드는 이 축제는 미국 케이팝 팬덤의 주요 행사 중 하나다. 만화 팬들의 코믹콘(Comic-Con)이나 게임회사 블리자드의 블리즈컨(BlizzCon) 같은 박람회와 비슷한 양상이다. 한류는 서브컬쳐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활동 영역에 들어와 있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는 게임과 만화, 케이팝 같은 서브컬쳐 커뮤니티의 큰 축이다. 생각해보면 케이팝 팬들이 트위터나 틱톡을 통해 활동하는 것은 한국 케이팝 팬덤의 특성을 떠나서도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면 케이팝이 정치나 사회정의(social justice)와 어느 지점에서 교차하는지는 설명할 수 없다. 케이팝을 논할 때 그 음악이 가진 소구력의 실체를 부정한 채 인기를 괴현상 보듯 하는 시선들이나, ‘진보 성향의 요즘 애들이 이상하게도 한국의 음악을 좋아하더라’는 미국 보수진영의 해석이 이 수준에서 멈춰있다.

케이팝이 미국에서 인종과 나이, 성별을 초월한 공감대를 이끌어낸 이유는 일종의 문화적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뻔하고 지루한 음악에 질린 미국 대중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했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그런 이유로 케이팝을 소비하기 시작한 사람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오히려 그 반대다. 케이팝 팬들은 미국 음악계, 연예계의 자극적이고 저질인(trashy) 논란으로 가득한 모습에 대한 대안으로 ‘착한'(wholesome) 한류 뮤지션을 소비한다.

칸예 웨스트는 2009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즈에서 수상소감을 말하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마이크를 뺏었고, 저스틴 비버는 아이돌로 활동하던 2013년 식당의 걸레통에 소변을 봤다. 2015년의 아리아나 그란데는 도넛에 침을 발랐는가 하면, 도자 캣(Doja Cat)은 백인우월주의 채팅방에서 인종주의적 발언을 한 영상이 올해 공개됐다. 미국에서 차트 1위를 하는 슈퍼스타 뮤지션들에 대한 소식은 이들의 실력 못지않게 비대한 자아와, 이를 연료 삼아 끊임없이 논란에 불을 지피는 티엠지(TMZ)같은 가십 전문지가 내뱉는 황색 저널리즘의 온상이다.

아이돌을 필두로 한 한국의 대중음악이 미국에 알려지는 과정에서는 뮤지션의 비대한 자아도, 미국 유사 언론의 관심도 부재했다. 미국의 케이팝 팬들 중 주류사회에서 배척당하는 소수자들, 사회정의나 정치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의 실마리가 여기서 풀리기 시작한다. 자신들이 인식하고 있는 사회의 폭력적인 구조들을 그대로 재생산하는 미국의 주류문화에 염증을 느낀 이 사람들은, 타인을 깔보거나 하대하기는커녕 예의와 존중으로 무장한 한국 아이돌들의 페르소나를 보고 공론장을 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투사한다. 이 ‘착함’의 실존 여부와 상관없이 말이다.

출발점이 어디였든 케이팝이 지금 미국 팬들에게 받는 기대는 선함 그 자체에 대한 것이다. 케이팝 팬덤이 커지면서, 기획사들이 팔고 있는 이미지와 그 뒤에 숨겨진 ‘본질’ 사이의 간극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젠 들려오고 있다. 문화전유나 뮤지션, 연습생의 인권에 대한 지적은 모두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미국에서 ‘주류’와 ‘비주류’에 대한 기준을 독점하고 있는 사람들은 점점 소수가 되어가고 있다. 케이팝이 영미권에서 진정한 승리를 거두려면 멋진 음악과 영상 이상의 섬세함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진보

생각의 빈자리를 감각이 채운다. 그 감각은 아티스트들의 아티스트, 재야의 고수 직함을 넘어 주체할 수 없는 끼와 재능을 자신의 이름으로 아로새기고자 하는 열망이다. 확실한 개성과 성공을 거머쥔 프로듀서와 실력을 검증받은 뮤지션 아래, 인간 한주현의 삶과 가치관을 소개하고자 하는 당찬 자아의 포효다. 즐거운 진보(Jinbo)의 세상은 건강한 야망으로 역동적이다.

물 오른 자신감과 열정은 다채로운 장르 활용과 진솔한 화법으로 구현된다. AOMG 소속 밴드 워크맨쉽(WRKMS)의 블루스 트랙 ‘사랑꾼’부터 재미있다.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불멸의 재능을 손에 넣었다는 블루스의 전설,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의 일화를 15살의 본인에게 감히 투영해 현재 서울 곳곳에서 인정받는 뮤지션의 서사를 완성한다. 이 여유로운 무드를 곧바로 빽빽한 드럼 앤 베이스 트랙 ‘Don’t think too much’로 변환하여 앨범의 주제 의식을 다시 한번 각인하는 영민함도 범상치 않다.

앨범에서 가장 먼저 귀에 들어오는 건 2000년대를 풍미한 퍼렐 윌리엄스와 엔이알디(N.E.R.D), 넵튠스 사운드의 진한 흔적 위 타이트한 구성이다. 힙합 단체곡 ‘Coolest fire ever’의 요동치는 신스와 건조한 드럼에서 ‘Drop like it’s hot’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고, 드럼 앤 베이스 ‘Don’t think too much’와 요동치는 신스 리프와 싱코페이션으로 날갯짓을 소리로 옮긴 ‘갈매기’에서도 엔이알디의 구성을 확인한다. 이 작법으로 통통 튀는 개성과 차분한 외관 속 뜨거운 내면이 정확히 전달되며 앨범은 단단한 일관성을 확보한다.

여기에 진보는 유수한 아티스트들과의 협업, 랩과 보컬을 오가는 훌륭한 퍼포먼스로 기시감을 피하며 작품을 풍부하게 꾸민다. 호림과 함께한 싱글 ‘Groove’와 궤를 같이 하는 감각적인 ‘Baby’, 파리 출신 누누 패리스(Nounou Paris)의 피비알앤비 ‘해주면 돼’ 같은 관능적인 트랙과 차분한 알앤비 ‘눈을 감아도’가 공존하는 모습이 놀랍다. 런던 출신 피닉스 트로이(Phoenix Troy)의 낮은 톤 랩과 함께 부드러운 보컬을 조화롭게 소화하는 ‘Bed shaker’와 동시에, ‘Houston’과 수퍼프릭 레코즈의 뷰티풀 디스코(Beautiful Disco)의 ‘비싸 / 백년지기’에선 차분하고 단단한 랩을 선보인다.

그중 ‘잊어버려’처럼 모범과 혁신의 꽃을 피워내는 것도 잊지 않는다. 더 인터넷(The Internet)의 전 멤버였던 킨타로(Kintaro)와 함께한 이 곡은 < Afterwork >의 몽롱한 소리에 재즈 힙합 밴드 쿠마파크(Kumapark)의 쿠마가 색소폰을 더해, 플라잉 로터스(Flying Lotus)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사이키델릭의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앨범 제목과 연결된 인생관을 덤덤히 읊어가는 진보의 메시지가 마치 하늘에서 들려오는 계시처럼 들린다.

아티스트 이름을 하나의 스타일로 확립한 아티스트의 자신감 넘치는 작품이다. 성실한 태도, 검증된 재능이 있기에 많은 생각은 필요치 않다. 언더그라운드와 케이팝을 분주히 오가며 씬의 진보를 이끈 진보는 솔직한 본인의 이야기 < Don’t Think Too Much >로 다시 한번 자신의 가치를 드높였다. 이런 ‘착한 열망’은 악마 입장에서도 흐뭇할 법하다. ‘네가 내게 주면 나는 배로 갚아’라는 다짐을 이토록 성실히 지키니 말이다.

– 수록곡 –
1. 사랑꾼
2. Don’t think too much
3. Baby (Feat. Paloalto)
4. Bed shaker (Feat. Phoenix Troy)
5. Houston
6. Coolest fire ever (Feat. Gem, Justhis, Horim, Khundi Panda, Symba J, 스윙스)
7. 해주면 돼
8. 눈을 감아도
9. 갈매기 (Feat. Digital Dav)
10. 비싸 / 백년지기
11. 잊어버려
12. Miss thang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림킴 (2019)

과격한 ‘Sal-Ki‘로 김예림을 살해한 림킴은 < Generasian >으로 본인의 이미지 변신이 즉흥적인 일탈이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얼마나 독한 결심인지 이름과 배경 지식을 가리면 그 누구도 과거의 그가 < 슈퍼스타 K3 >의 투개월로 데뷔한 솔로 가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없을 정도다. 유년기 유학 경험으로부터 발견한 ‘동양’과 ‘여성’의 정체성 아래, 거칠고 파괴적인 선동과 실험을 이어가는 림킴에게선 일단 ‘단단히 준비된’ 모습이 포착된다.

‘민족요’의 수미상관 구조 속 노래들은 확실히 충격과 공격, 전복을 의도하고 있다. 긴 공백기의 내면 탐구 과정을 호기롭게 ‘신세계’라 선언하는 ‘민족요(Entrance)’의 우리 가락부터 ‘아시아 현상’을 노래하는 ‘Yellow’, 인더스트리얼으로부터 잔뜩 벼린 날붙이들의 거친 충돌 ‘Digital khan’과 신비로운 ‘Mong’, ‘Yo-Soul’까지. 프로듀서 노 아이덴티티(No identity)와 림킴은 전에 없던 소리와 전에 없던 콘셉트를 향해 거침없이 진군한다.

변화의 중심축이 잘 잡혀 있어 그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 ‘호접몽’의 개념을 빌린 ‘Mong’과 마법(Magic)의 동양 개념 ‘Yo-Soul’의 신비로운 멜로디에서 림킴은 자연스러운 뮤즈가 되어 최적의 가창을 들려준다. 본인이 보컬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밝힌 랩도 ‘Sal-Ki‘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 일본 교복, 조신함, 중국 경극 등으로 희화화된 동양 여성의 고정관념을 비틀어 반항하는 ‘Yellow’의 삐딱함, ‘Digital khan’의 당당함 모두 무리 없이 소화한다.

유교 문화권 하의 억압적인 젠더 구조, 가부장제 사회 속 고통받는 한국 여성들에게 림킴의 행보와 음악은 상당한 카타르시스로 다가온다. 동시에 < Generasian >은 무국적을 지향한다. 인터넷 시대 ‘디지털 유목민’을 유목 민족의 지도자 ‘칸’으로 격상하여 ‘Digital Kahn’이라 선포하고, ‘민족요(Entr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영어 가사로 쓴 것이 그 증거다. 언뜻 장점 같지만, 언어나 문화 등 민족적 색채를 더 강화하는 것이 최근 세계 시장에서 더 호응을 끌어냄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다.

림킴은 수많은 아시아 여성 뮤지션들의 발화에 분노와 전통의 언어를 더하며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우리의 민속 음악, 실험적인 테크노, 힙합을 자유로이 풀어내는 모습은 영국의 엠아이에이(M.I.A), 아프리카 토속의 리듬을 전자음으로 풀어낸 뉴욕의 제이린(Jlin)을 연상케 한다. 아시아의 경우 대만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등 중화권 위주로 많은 아티스트들이 정체성을 당당히 표현하며 편견에 맞서고 있는데, 림킴이 이 흐름을 영리하게 포착했다.

아티스트 개인에게 < Generasian >은 훌륭한 ‘전세 뒤집기’지만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작품인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대개 독특한 콘셉트로 승부하는 아티스트들은 구성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권을 꽉 쥐고 있는데, 림킴의 ‘동양 여성’은 자주적인 모습 아래 앞서 언급한 레퍼런스와 프로듀서의 색채가 꽤 짙다.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 수록곡 –
1 민족요 (Entrance)
2. Yellow
3. Mong
4. Digital khan
5. Yo-soul
6. 민족요 (Exit)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아도이(ADOY) ‘Pool'(2019)

adoy pool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귀여운 앨범 표지만큼 밴드가 들려주는 신스팝도 무해하다. 무심한듯 한 발짝 떨어져 있는 보컬과 영어가사로 노랫말의 영향을 최소화한 나른한 가창은 여전한 아도이의 특징이다. 느긋하게 부유하는 ‘Grace’와 달리 이번 곡은 속도감을 높이고 기타 리프나 클랩 비트로 펑키한 질감을 더했다. 그 와중에 귀를 잡아끄는 흡인력이 있는 멜로디나 잘 조율된 소리는 밴드의 실력을 보여준다. 듣는 이를 압도하겠다는 욕심이나 자극 없이 그저 흘러가듯 재생되는 음악이 담백하게 녹아든다.

ADOY(아도이) – Pool (Official Audio)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전진희 ‘우리 사랑은 여름이었지'(2019)

평가: 3.5/5

낱말을 꾹꾹 눌러 담지 않아도 그 진심이 와닿는 노래가 있다. 밴드 경연 프로그램 ‘TOP 밴드’에서 주목받은 ‘하비누아주’의 피아니스트 전진희의 정규 2집 <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 >가 그렇다.

피아니스트인 동시에 싱어송라이터인 그는 담백한 피아노 연주에 짧은 노랫말을 담았다. 더운 여름이 지나갈 무렵, 누구나 한 번쯤 느껴봤을 아픔을 제법 따뜻한 기운으로 노래한다.

연주로만 흘러가는 ‘나의 호수’로 앨범의 막을 연다. 적나라하게 들려오는 페달 밟는 소리로 잔잔한 호수의 물결을 연상시키고, 울적한 스트링 선율로 숨겨놓은 슬픈 자아를 분출한다.

그렇게 호수에 ‘물결’이 일렁이면 ‘아주 많은 것들이 나를 / 쥐고 흔들어대네 / 나의 고요했던 호수는 / 성난 파도가 치네’ 라는 노랫말로 고통 앞에서 평정심을 잃고 마는 이들에게 나지막이 공감의 위로를 건넨다.

몽롱한 피아노 소리와 담담하게 읊조리는 노래는 마지막 트랙인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까지 이어진다. 앨범은 삶의 우울과, 그것을 인정하며 나아지기까지의 과정을 노래한다. 음반의 진정성은 피아니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연주가 아닌 가사에 집중하며, 감정의 전달자 역할을 해낸다는 데에 있다.

지친 삶 속에서 행복할 자신이 없다고 노래하는 ‘자신 없는데’와, 형편없는 나의 하루와 달리 예쁘기만 한 달의 모습을 지긋이 바라보는 ‘달이 예쁘네’ 또한 여전히 피아노와 목소리만으로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부족한 자신의 모습에 ‘내가 싫어’라고 솔직히 고백하며, 간주에 피아노 연주를 더해 잠시 가사를 음미하게 한다. 유일하게 기타연주로 시작되는 ‘왜 울어’는 유지해오던 비관의 가사에 따뜻한 기타 선율이 더해져 앞으로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을 심어준다.

무엇보다 앨범 전체적으로 차분한 분위기를 품고 있지만, 이것이 지루함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되려 수록곡 내내 차분히 이어가는 감정을 방해하지 않으며 몰입도를 높인다.

때로는 등을 토닥이며 괜찮다 말해주는 것보다, 가만히 앉아 이야기를 들어주는 게 위로가 되기도 한다. 울적한 감정으로 시작해 결국엔 외면하고 싶은 감정을 마주하며 인정하는 단계에 머물기까지, 앨범은 청춘의 성장통을 조용히 담아냈다.

단출한 편곡임에도 음악에 힘을 싣는 건 솔직한 가사와 서툴지만 포근한 목소리. 그게 전부다.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라는 회상적 문장이 담아낸 서늘하고도 따뜻한 앨범이다.

– 수록곡 –
1. 나의 호수
2. 물결 (With 김훨) 
3. 자신없는데
4. 내가 싫어

5. 달이 예쁘네
6. 놓아주자 (With 이아립)
7. 모두가 너를 미워해도
8. 우리의 슬픔이 마주칠 때 (With 강아솔)
9. 왜 울어 (With 코듀로이)
10.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