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제시 웨어(Jessie Ware) ‘That! Feels Good!’

평가: 3.5/5

꾸준하다. 2012년 데뷔작 < Devotion >을 발매한 삼십팔 세 싱어송라이터는 5장의 정규작을 모두 UK 앨범 차트 10위안에 올렸고, 섬세한 편곡으로 작품성을 공인받았다. 오는 7월 발매 예정인 블러의 아홉 번째 음반 < The Ballad Of Darren >의 프로듀서 제임스 포드와 합작한 신작 < That! Feels Good! >는 ‘Spotlight’가 수록된 포스트 디스코 수작 < What’s Your Pleasure? >(2020)의 가도를 잇는다.

마빈 게이와 필라델피아 소울이 연상되는 ‘Hello love’의 부드러운 현악 세션과 아프로비트 그룹 코코로코가 참여한 ‘Begin again’과 ‘Beautiful people’의 라틴 리듬이 다채롭다. 곡 안에서의 유연한 하이브리드는 포드와 웨어의 소통으로 가능했고, < What’s Your Pleasure?  >의 힙한 느낌 대신 여유로움을 강조했다.

중심 트랙도 굳건하다. 타이틀 곡 ‘That! feels good!’은 스티비 원더 풍 건반 리프와 브라스가 흥겹다. 크레디트에 명시되지 않았으나 카일리 미노그와 영국 전자음악 듀오 몰로코의 로신 머피가  겹겹이 쌓은 육성이 연대를 이뤘다 해방감을 연출한 ‘Free yourself’와 댄스 본능의 클럽 뱅어 ‘Freak me now’는 전작의 밀도를 계승했다.

‘앨범형 아티스트’란 말이 어울릴까. 싱글 차트와 비교해 높은 앨범 성적이 완성도를 설명한다. 디스코 퀸의 이미지가 생경한 알앤비 < Devotion >(2012), 팝에 전자음악을 혼합한 소포모어 작 < Tough Love >(2014)과 모두 질적 수준을 유지했다. 전환과 현상 유지의 기로엔 주체성과 음악적 기틀이 있었고 < That! Feels Good! >에도 이 공식은 적용되었다.

-수록곡-
1.That! feels good!
2.Free yourself
3.Pearls
4.Hello love
5.Begin again
6.Beautiful people
7.Freak me now
8.Shake that bottle
9.Lightning
10.These lips

Categories
Album POP Album

메탈리카(Metallica) ’72 Seasons’

평가: 3/5

2023년 4월 12일 목요일, 메탈리카의 신보 < 72 Seasons >의 글로벌 리스닝 파티가 열렸다. 트랙별 영상에 멤버들의 곡 설명을 첨부한 영화 < 메탈리카: 72 시즌스 >가 신보 발매 하루 전에 개봉한 것이다. 극도로 과격한 마니아 장르 스래시 메탈로 범대중적 인기를 획득한 메탈리카만이 가능한 프로젝트였다.

1983년 데뷔 음반 < Kill’Em All >을 발표한 이래 메탈 킹덤을 지배했다. 소포모어작 < Ride The Lightning >(1984)부터 < Master Of Puppets >(1986), < And Justice For All >(1986)의 밀도감에 소위 4대 스래시 메탈 밴드로 일컬어지는 메가데스와 앤스렉스, 슬레이어와 격차를 벌렸다. ‘Enter sandman’이 수록된 1991년 작 < Metallica >는 메탈 밴드로 드물게 빌보드 200 정상에 올랐다.

전관예우는 비겁하나 전성기의 순도를 재현하리라고 기대하는 팬들도 많지 않았다. 극강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헤비메탈은 육체적 장르며 세월과 기량이 비례하곤 한다. < 메탈리카:72 시즌스 >에서 제임스 햇필드는 “예전처럼 다운피킹이 안 된다”며 세월 무상을 토로했다.

메탈 거장이 세운 < 72 Seasons > 성탑은 장대하다. 과도하게 축소된 현시대 메탈신에서 메탈리카만의 묵직한 덩어리로 밀어붙였다. 5~7분대 대곡 ‘Sleepwalk my life away’와 ‘You must burn!’은 과거 명작들의 매서움과 펀치력은 무뎌졌을지언정 비교적 정교하게 건설되었다. 인생 초반부 18년을 의미하는 ’72 seasons’ 속 지적인 가사는 메탈리카의 강점이다.

훅과 선율은 메탈리카의 차별화 전략이다. 슬레이어와 판테라에 비해 취약한 연주력을 리프메이킹과 악곡 전개로 극복했다. 과격한 음향 기저 선율은 흡사 팝송처럼 대중적이고도 매끈하다. ‘Shadows follow’의 “Seethin’, breathin’ nightmares grow on I run still my shadows follow(숨쉬는 악몽이 커지는데도 여전히 내 그림자가 따라다닌다)”와 “Temptation(유혹)”의 외침으로 떼창을 유도하는 ‘If darkness had a son‘이 스타디움을 채울 것이다.

21세기에 발표한 3장의 음반 < St. Anger >(2003)와 < Death Magnetic >(2008), < Hardwired… To Self-Destructed > 와 신보 < 72 Seasons >까지 모두 러닝타임이 70분을 넘겼다. 엘피로 따지면 더블엘피의 규모며 7~8분대 트랙이 대부분이다. 언뜻 피로할 수 있는 구성은 선공개 싱글 ‘Lux æterna’로 완급 조절되었다. 3분대의 몰아치는 펑크(Punk) 스타일은 전작 < Hardwired… To Self-Destruct >의 ‘Hardwired’와 맥을 같이한다.

메탈리카 경력 사상 단일 곡 최초로 10분을 넘긴 ‘Inamorata’는 다변적 악곡 전개로 러닝타임의 압박감을 상쇄했다. 베이스 기타리스트 로버트 트루히요는 가입 이후 가장 만족스러운 곡이라며 ‘Inamorata’를 자찬했다. < Kill’Em All >의 40주년을 자축한 < 72 Seasons >는 그들의 연료(Fuel)와 건전지(Battery) 파워가 여전함을 증명했다.

-수록곡-
1.72 seasons
2.Shadows follow
3.Screaming suicide
4.Sleepwalk my life away
5.You must burn!
6.Lux æterna
7.Crown of barbed wire
8.Chasing light
9.If darkness had a son
10.Too far gone?
11.Room of mirrors
12.Inamorata

Categories
Album POP Album

라나 델 레이(Lana Del Rey) ‘Did You Know That There’s a Tunnel Under Ocean Blvd’ (2023)

평가: 3.5/5

대중적이라는 수식어와 라나 델 레이의 음악은 늘 일정 거리를 유지했음에도 신보는 유독 진입장벽이 높다. 손에 잡히는 멜로디는 일부 트랙을 제외하면 사실상 부재한 수준이고, 교회 목사와 2022년 그래미 올해의 앨범 수상자 존 바티스트가 가담한 두 편의 인터루드는 극심한 혼란까지 가중한다. 심지어 러닝타임은 78분이기까지. 그럭저럭 귀에 알아서 들어오기를 기대했다면 굉장히 골치 아프고 조금은 버거운 앨범이다.

접근성 상실이 급작스러운 일은 아니다. 메인스트림의 대안으로 떠오른 2012년 < Born To Die >는 인디 신의 변절자 낙인을 동반했고, 고전 할리우드 미학을 따른 가사에는 열렬한 추종자 외에도 시대착오적 텍스트라는 말이 따라붙었다. 라나 델 레이의 해법은 남달랐다. 2017년 작품 < Lust For Life >에서 미소를 활짝 지으며 거울 세계를 시작한 것이다.

2014년 < Ultraviolence >의 잿빛 로맨스와 대치된 < Norman Fucking Rockwell!>은 찬란하게 멸망하는 2019년 미국을 컬러 삽화로 그렸다. 이듬해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음악에 가해진 이중잣대를 호소했으나 역으로 인종차별 논란을 맞은 그는 2012년 < Paradise >처럼 유혹의 낙원 대신 2021년 팬데믹 시기 < Chemtrails Over The Country Club >과 함께 가족과 친구의 품 속으로 도피했다. 개인사를 흩뿌리며 늘어지는 < Blue Banisters >의 발매를 앞두고서는 2015년 앨범 < Honeymoon >과 동명의 비공개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숨으며 한 바퀴를 완성했다.

머리와 꼬리가 맞물렸으니 새로운 세상이 탄생할 시간. 성씨를 딴 ‘The Grants’에서 기억을 간직하고 내세로의 문턱을 넘은 그는 타이틀 트랙에서 지하 터널을 건너며 본인을 “잊지 말라” 간청한다. ‘Sweet’로 달콤한 삶에 대한 소박한 염원을 표하기도 잠시, 앞서 말했던 여러 사건에 대한 은유로 ‘미국의 매춘부’ 생활의 경험을 털어놓는다. < Ultraviolence > 시절 남성 주인공 ‘Jimmy’를 데려와 초창기 트립합과 중반기 포크, < NFR! >을 섞어 커리어를 함축하는 노래는 근래 최고의 싱글이자 세상을 향한 통렬한 반격이다.

양가적인 면모가 계속된다. 피아노 중심의 단조로운 구성과 흐릿한 멜로디에 속삭이는 듯한 가창까지 가세하니 소리는 모호하다. 반대로 가사는 라나 델 레이의 페르소나를 걷어내고 리지 그랜트의 입을 빌려 선명해졌다. 주제는 ‘Kintsugi’처럼 가족이기도 하고, ‘Paris, Texas’가 보여주듯 오해로 점철된 역사이기도 하다. 자기 연민이나 좌절로 귀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핵심이다. ‘Let the light in’에서 빛을 받아들인 그는 이제 동료 잭 안토노프와 그의 연인 ‘Margaret’에 사랑을 나눠준다. 우울함과 멋을 동일시하는 힙스터의 총아 자리를 완전히 벗어났다.

스스로를 구원한 자가 누릴 수 있는 은총은 다름 아닌 춤이다. 고행과 자아 탐색의 끝에 오랜만에 등장하는 힙합 비트가 아티스트와 청자 모두의 갈증을 해소한다. ‘Fishtail’의 깨달음처럼 ‘내가 슬프길 바라’는 세상을 간파했기에 거리낌 없이 그 반대로 달리는 것이다. 토미 제네시스(Tommy Genesis)의 ‘Angelina’를 샘플링한 깜찍한 ‘Peppers’, ‘Venice bitch’의 트랩 데모 버전을 엮은 ‘Taco truck x VB’가 마련한 파티는 시선과 평가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는 연회다.

신보는 치명적 멜로드라마 세계와 새 시대의 시인 자리를 벗어나 가족의 품으로 계속 파고드는 점진적인 과정을 포착하나, 동시에 마냥 옛 세대로의 편입 수순을 밟는 듯 보였던 라나 델 레이의 음악에 반전의 불씨를 틔운다. 따라서 독보적 이미지와 주류 지향성 사이 균형 잡기의 실패보다는 자의적 차단에 가깝다. 대중음악의 굴레에서 더욱 반대중적으로 나아가는, 얼핏 모순적인 그의 행보는 파편화된 사회가 도래하기 전 일찍이 공고한 소비층을 확보한 선구자의 특권이다. 하여튼 계속 주목할 수밖에 없다.

-수록곡-
1. The Grants
2. Did you know that there’s a tunnel under Ocean Blvd
3. Sweet
4. A&W
5. Judah Smith interlude
6. Candy necklace (Feat. Jon Batiste)
7. Jon Batiste interlude
8. Kintsugi
9. Fingertips
10. Paris, Texas (Feat. SYML)
11. Grandfather please stand on the shoulders of my father while he’s deep-sea fishing (Feat. RIOPY)
12. Let the light in (Feat. Father John Misty)
13. Margaret (Feat. Bleachers)
14. Fishtail
15. Peppers (Feat. Tommy Genesis)
16. Taco truck x VB

Categories
Album POP Album

디페시 모드(Depehce Mode) ‘Memento Mori’ (2023)

평가: 3.5/5

메인 송라이터나 음악 감독이 아닐지라도 신스팝밴드 건반 주자의 리프와 톤메이킹은 음악색을 결정한다. 이레이저와 야주를 이끈 천재 뮤지션 빈스 클라크와 밴드의 두뇌 마틴 고어, 보컬리스트 데이브 개헌 만큼의 주목은 못 받았으나 키보디스트 앤디 플레처는 디페시 모드의 어두운 음색을 주조했다. 2022년 5월 작고한 플레처와의 작별은 팬데믹과 더불어 밴드의 새출발을 계시했다. 개헌은 NME와의 인터뷰에서 신보에 플레처의 연주가 담기지 않았다고 밝혔다.

상실을 시적 가사로 풀어낸 선공개 싱글  ‘Ghosts again’은 초기작 ‘Just can’t get enough’과 ‘New life’ 처럼 비교적 밝은 사운드로 원년 멤버의 첫만남을 반추하나, 밴드는 이내 본색을 드러낸다. 선언적인 인더스트리얼 록 ‘My cosmos is mine’과 치밀한 편곡에 약물 중독을 암시한 ‘Caroline the monkey’로 예리한 감각을 유지했다. 영적 기운의 ‘Soul with me’과 침잠하는 ‘Don’t say you love me’는 데이브 개헌의 크루너적 매력을 드러냈다.

배경 정보를 읽지 않아도 자연스레 형상화되는 영화 < 12 몽키즈 > 풍 디스토피아와 섹슈얼 코드, 종교적인 분위기가 음반을 관류한다. 디페시 모드의 인장이며 40년간 닦아온 정체성이다. 프랑스 패션 잡지에서 따온 밴드명처럼 시각적 사운드스케이프는 ‘Before we drown’과 ‘My favourite stranger’에서 과거 명작 < Violator >(1989)와 < Music For The Masses >(1991)를 복원했다.

디페시 모드는 1980년대 뉴웨이브 밴드들의 단명을 극복했다. 인더스트리얼과 고딕 록을 실험했고 부피감 있는 신시사이저 사운드스케이프로 스타디움을 호령했다. ‘Personal jesus’나 ‘Enjoy the silence’는 전 세계 버스커들에 의해 울려 퍼지며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했다. 대상을 향한 페티시와 무신론적 세계관이 관류하는 < Memento Mori >는 여전히 감각적이고 섹시한 사운드로 플레처의 상실을 위로했다.

-수록곡-
1. My cosmos is mine
2. Wagging tongue
3. Ghosts again
4. Don’t say you love me
5. My favourite stranger
6. Soul with me
7. Caroline’s monkey
8. Before we drown
9. People are good
10. Always you
11. Never let me go
12. Speak to me

Categories
Album POP Album

마일리 사이러스(Miley Cyrus) ‘Endless Summer Vacation'(2023)

평가: 3/5

변신에는 유통기한이 따른다.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이 명제에 마일리 사이러스가 내린 결론은 자극이 둔감해질 즘 가면을 바꿔 기한을 갱신하는 방식이었다. 비록 배우자에게 이혼을 요구받고, 하루아침에 산불로 집이 전소한 데다, 준비한 프로젝트가 팬데믹으로 일순간에 무산될지라도 경극은 멈추지 않았다. 오히려 겹친 악재를 헤쳐 나갈 타개책 역시 변신밖에 없다는 듯 더더욱 레트로에 천착하고 록의 격정성에 심취하며 새로운 페르소나인 ‘강인한 인조 심장(Plastic Hearts)’을 빚어내는 데 몰두할 뿐이었다.

3년 만의 복귀작 < Endless Summer Vacation >이 어딘가 이질적인 이유다. 말괄량이 팝스타, 극성 파티 중독자, 레트로 마니아. 수많은 장르 세계를 경유하며 전투적으로 수식어를 해금하던 행보와 달리 그 어떠한 스티커조차 붙이기 힘들 만큼 매끈하고 평범한 본연 자체의 팝을 들고나왔다. 완전한 ‘마일리 사이러스’ 파업이다. 기약 없이 불현듯 시작된 여름휴가, 이제 손끝에서 입력되는 목적지는 불모의 미개척지가 아닌 지친 마음에 평안을 가져다줄 한적한 휴양지다.

해리 스타일스의 < Harry’s House >의 공동 작업자 키드 하푼과 타일러 존슨을 초빙해 ‘해방’에 대한 단서를 구했다. < Bangerz >의 오랜 조력자 마이크 윌과 현 애인인 음악가 막스 모란도 같은 주변인의 도움도 마다하지 않았다. 친근한 이들과 떠나는 로드트립. 덤덤한 감정선을 고수하는 ‘Flowers’에서 필요한 짐만을 간소하게 싸는 모습이, 잔향의 뿌연 안개 사이 강직한 드럼에 의지하며 전진하는 ‘Jaded’에서 눈물을 겨우 참으며 문을 박차고 나가는 광경이 그려진다. 따스하고 정적인 작풍 아래 낙관적 태도를 암시하는 ‘Rose colored lenses’는 앨범의 주제와 가장 밀접하게 닿아있다. 희망을 얻은 주인공이 고속도로로 접어드는 오프닝 장면이 절로 떠오른다.

‘오전’과 ‘오후’를 떠올리며 만들었다는 인터뷰 발언처럼, 초반부는 정돈된 사운드를 중심으로 관계에 대한 회고와 자립 의지를 설파하는 작업이다. 이내 그라임스를 닮은 전자적 색채를 포용하며 흥을 돋우는 중간 지점의 ‘Handstand’를 기점으로 작품은 만취 상태의 캠프파이어 현장으로 바뀐다. 몽롱한 신시사이저가 사방에서 흘러나오고 적나라한 비유와 애정 표현이 스스럼없이 오간다. 애시드 하우스를 적극 표방한 댄스 넘버 ‘River’와 역동적인 멜로디 속 범성애 시그널을 교묘히 흘리는 ‘Violet chemistry’는 회한을 흘려보내고 오롯이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고 즐기겠다는 의지다.

그럼에도 앞서 말한 그 이질감에는 무언가 다른 내막이 자리 잡는다. 겉보기에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을 순수한 힐링 테라피처럼 보이지만, 문득 이 ‘내려놓음’조차 설계가 아닐까 싶을 만큼 인공적으로 주입된 연출과 서사가 원인이다. 차라리 빠르게 분위기를 반전하며 장을 나누는 구간은 이해 가능한 범주다. 다만 자기애와 인생 예찬을 통해 해방을 만끽하던 와중 난데없이 목청을 긁으며 분노하고(‘Muddy feet’) 혹시 내가 길을 잃고 좌초된 건지 의구하다(‘Island’) 마지막으로 강인한 어머니처럼 되고 싶다는 은은한 고백을 표하며(‘Wonder woman’) 급하게 당위를 부여하려는 일련의 전개는 생경함을 낳는다.

결국 < Endless Summer Vacation >는 명쾌한 쉼표보다도 느슨하게 이어진 물결표에 가깝다. 모든 구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이 쌓아 올린 면면 중 그 어디에도 속하기를 거부했지만, 동시에 관성을 버리지 못한 탓에 이 또한 무수한 가면의 일부로 다가오고 만다. 건재한 퍼포먼스부터 곡의 평균 퀄리티도 대체로 우수하기에 미련이 남는다. 단순 캐릭터뿐만 아니라 설득력 있는 메시지와 완성도라는 부담에서도 과감히 탈피할 수 있는, 해독을 거친 < Bangerz >를 기대한다 해도 무리는 아니었을 것이다. 지금의 마일리는 보편과 평범에 안주해도 충분히 매력적인 인물이지 않나.

– 수록곡 –
1. Flowers
2. Jaded
3. Rose colored lenses
4. Thousand miles (Feat. Brandi Carlile)

5. You
6. Handstand
7. River
8. Violet chemistry
9. Muddy feet (Feat. Sia)
10. Wildcard
11. Island
12. Wonder woman
13. Flowers (D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