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개리 뉴먼(Gary Numan) ‘Intruder’ (2021)

평가: 3.5/5

사후세계에 관해 질문을 던지는 철학, 전자음악과 재즈를 오가는 섬세한 음악으로 호평 받은 애니메이션 < 소울 >은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받으며 진가를 확인받았다. 수상자 존 바티스트, 애티커스 로스, 트렌트 레즈너 가운데 눈에 띄는 건 트렌트 레즈너. 밴드 나인 인치 네일스를 이끌며 1990년대 인더스트리얼 록의 총아로 떠오른 그가 영향을 받았다고 공공연하게 언급한 뮤지션이 개리 뉴먼이다.

개리 뉴먼은 1979년에 영국차트 1위, 1980년에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9위까지 올라 신스팝의 역사가 된 노래 ‘Cars’의 주인공으로 뉴웨이브에서 인더스트리얼 록까지 전자음악의 타임라인에서 그가 남긴 족적은 지대하다. 그런 그가 인더스트리얼 록 사운드의 탐구를 지속한 21번째 정규 앨범 < Intruder >는 영국 앨범차트 2위에 오르며 두 번째 전성기를 예고한다.

로버트 무그 박사가 발명한 무그 신시사이저는 특유의 소리로 대중음악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 영국 뮤지션도 그 수혜를 받아 ‘I die you die’와 ‘Are ‘friends’ electric?’처럼 쉬운 선율의 신스팝 곡들을 남겼다. 그는 산업사회를 테마로 한 거칠고 공격적인 인더스트리얼 록에서도 지분을 차지한 뮤지션이었지만 차가운 소리에도 팝적인 감각을 포용하는 유연성도 소유했다. < Berserker >, < The Fury > 같은 1980년대 중반 작품들이 뉴먼식 인더스트리얼 록의 본격화를 알렸고 1990년대 앨범들은 나인 인치 네일스와 스타일을 공유하며 쌍방향적 음악 교류였음을 암시했다.

이번 앨범은 온난화로 고통 받는 지구의 심경을 대변한 콘셉트 앨범이며 환경오염과 종말론적 관점을 엮었다는 점에서 2017년에 발표한 < Savage (Songs from a Broken World) >의 연장선에 있다. 인트로 곡 ‘Betrayed’의 “당신은 날 해치고 나는 피 흘립니다.”라는 직설적인 가사로 인간의 행태를 비판한다. 과거의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들이 자본주의의 역설이나 기계문명에 따른 개인의 부품화 같은 당시의 ‘현재’를 노래했다면 그는 미래로 시제를 옮겨 일종의 예언가 역할을 수행했다.

앨범 전체의 메탈릭한 인더스트리얼 사운드는 매끈하게 다듬어졌고 눈앞에 영상을 펼치듯 극적인 곡 구성으로 주제 의식을 표현한다. 후렴으로 넘어가기 전 서늘함 효과음이 숨을 조이는 ‘And it breaks me again’이 대표적. 음반의 하이라이트 ‘Intruder’와 ‘A black sun’은 몽환적인 폴리무그 사운드가 금속성 소리 위를 유영하면서 인더스트리얼 록과 뉴웨이브 스타일이 절묘하게 교차한다.

전자음악 선각자 개리 뉴먼의 음악 인생은 굴곡졌다. ‘Cars’의 영광은 원히트원더의 오명으로 되돌아왔고 그 빚을 갚기 위해 제작된 1992년 작 < Machine And Soul >은 낮은 완성도로 혹평받았다. 하지만 훗날 피어 팩토리와 마릴린 맨슨같은 후배들이 그의 음악을 커버해 재조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는 결코 데이비드 보위의 반열에 오를 수 없었고, 트렌트 레즈너같은 아이콘이 되지 못했지만 그것이 개리 뉴먼의 제1의 목표는 아니었다. 평생 과제는 신시사이저로 원하는 소리를 구현하는 것. 어둡고 음울하며 꿈꾸는 듯 신비로운 소리 뭉치를 쫓는 항해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수록곡 –
1. Betrayed
2. The gift
3. I am screaming
4. Intruder
5. Is this world not enough
6. A black sun
7. The chosen
8. And it breaks me again
9. Saints and liars
10. Now and forever
11. The end of dragons
12. When you fall

Categories
Album POP Album

더 블랙 키스(The Black Keys) ‘Delta Kream'(2021)

평가: 3.5/5

블랙 키스는 2000년대 초반 일어난 개러지 록 리바이벌 물결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었다. 인디 밴드 시절부터 블루스를 기반으로 한 원료 그대로의 개러지 사운드가 여타 개러지 밴드와의 차별점으로 작용해 두각을 나타냈고 < Brothers >, < El Camino >의 흥행으로 상업적 성취까지 이뤄내며 지금까지 미국 개러지 록 밴드의 구심점을 담당한다.

전작 < Let’s Rock > 투어를 마친 뒤 20년 동안 빼곡히 채운 블랙 키스 이력서에 < Delta Kream >은 중요한 분기점이다. 시작은 멤버 댄 아우어바흐와 패트릭 카니가 유년시절부터 심취하고 습득해온 날이 선 블루스 본능을 여과 없이 분출하면서부터. 앨범은 영감의 근원을 상기시키기 위해 실행한 커버 프로젝트로 이 듀오의 음악적 뿌리로 여겨지는 ‘힐 컨트리 블루스’의 전통을 계승한다.

이 앨범은 2006년에 공개한 < Chulahoma >로 이미 그 존경심을 드러낸 주니어 킴브러를 포함해 알 엘 번사이드,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 등 아메리칸 블루스 전설들의 발자취를 따른다. 실제 알 엘 번사이드의 사이드맨으로 활동했던 기타리스트 케니 브라운과 주니어 킴브러의 베이시스트 에릭 디튼이 세션에 합류하면서 드문 코드 변경과 꾸준한 기타 리듬이 형성한 그루브가 특징인 힐 컨트리 블루스의 기조를 생생하게 유지한다.

알 엔 번사이드 원곡에 비해 전체적으로 느슨하지만 팽팽하게 주고받는 악기 간의 호흡이 더해진 ‘Poor boy a long way from home’을 필두로 한층 덜어낸 베테랑들의 연주가 유연하게 흐른다. 데뷔작 < The Big Coming Up >에서 거칠게 연출한 주니어 킴브로의 ‘Do the rump’를 부드러운 톤으로 재해석해 블랙 키스의 조율 능력이 상당함을 공표한다. 한편 가성 보컬과 케니 브라운의 능란한 슬라이드 기타가 인상적인 ‘Going down south’의 현대적 번역은 시간을 역행하며 알 엘 번사이드가 활동하던 그 시절 미국 남부의 허름한 선술집으로 공간을 옮겨 놓기도 한다.

그 동안 블랙 키스가 강조한 고전적 블루스의 정체성을 깊숙하게 파고들어 산뜻한 질감으로 구현한 < Delta Kream >으로 이들은 힐 컨트리 블루스의 유산을 충실하게 기록한다. 팀의 고유성을 견고히 다듬으며 블루스로의 회귀를 선택한 10번째 정규작 < Delta Kream >은 데뷔이래 지속해서 추구해온 지향점이자 그들만이 시도할 수 있는 과감한 찬사다.

-수록곡-

  1. Crawling kingsnake
  2. Louise
  3. Poor boy a long way from home
  4. Stay all night
  5. Going down south
  6. Coal black mattie
  7. Do the romp
  8. Sad Days, lonely nights
  9. Walk with me
  10. Mellow peaches
  11. Come on and go with me
Categories
Album POP Album

제이 콜(J. Cole) ‘The Off-Season’ (2021)

평가: 3.5/5

데뷔 14년 차를 맞아 제이 콜의 힙합 신 내 위상은 절정에 달했다. 다섯 장의 넘버원 앨범에 이어 신작 < The Off-Season >도 삽시간에 빌보드 싱글, 앨범 차트를 굴복시키며 그가 일으키는 여파를 체감시키는 중이다. 숱한 신의 강자들 사이에서도 그가 독자적인 존재로 칭송되는 데에는 수준 높은 음악도 음악이지만, 한결같이 의식적이고 성숙한 태도가 큰 몫을 한다. 푯값 1불짜리 ‘달러 앤드 어 드림’ 투어와 빌보드 인터뷰 등을 통해 꾸준히 표해온 자신의 지지자들을 향한 경의는 강한 유대감을 조성했고, 이는 그의 팬들을 단순 팬을 넘어 충심 어린 추종자로 만들었다.

음악적으로도 트렌드세터의 이미지가 강한 카니예 웨스트나 드레이크의 경우와 달리 그는 자기 성찰적 메시지를 주무기로 흑인 사회에 긴밀한 공감대의 뿌리를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붐뱁 프로덕션 위 자신의 인생사를 끄집어낸 < 2014 Forest Hills Drive >의 서사는 리릭시스트로서 그의 정체성을 각인한 수작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정직한 음악적 지향점에 ‘지루한 래퍼’라는 비판을 내리며 그의 한계를 결부하기도 했는데, 비슷한 위상의 여타 힙합 뮤지션과 비교해 뱅어의 성질을 띠지 않는 느긋한 템포와 깔끔하지만 정석 이상에 도달하지 않는 단조로운 프로덕션 탓이었을 것이다.

그의 여섯 번째 정규 앨범 < The Off-Season >은 그러나 첫인상에서부터 아티스트의 그러한 관습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우선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프로덕션의 참여진이다. 이전에도 외부 조력자의 힘을 빌리지 않은 건 아니지만, 이번에는 셀프 프로듀싱의 고집을 더욱 내려놓고 과반수의 곡을 다른 비트메이커의 비트로 채워 편곡적 다양화를 꾀했다.

첫 트랙 ’95 south’에서 드레이크 < Views >와 리아나 ‘Work’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프로듀서 보이원다(Boi-1da)가 주조한 호른 샘플이 호기로운 공간감을 그리고 나면 거장 팀버랜드에게 요청한 ‘Amari’가 명징한 플루트로 긴장감을 상승시키고, 엔딩 곡 ‘Hunger on hillside’가 주니어 파커의 ‘I wonder where our love has gone’을 발췌한 스트링 세션에 오토튠을 겹겹이 쌓아 끝을 우아하게 장식하는 식이다.

랩도 그에 맞춰 보다 활달한 에너지로 갑절의 듣는 맛을 안긴다. 2분 남짓의 짧은 길이에 일률적인 라이밍을 구사한 ‘Applying pressure’와 ‘Punchin’ the clock’의 간소화가 안정적이다. 흡사 정규 앨범 수록곡보다 잘 짜인 프리스타일을 연상시키기도 해 얼핏 심심한 인상이 남지만, 다른 곡들에서는 또 하나의 호착(好着)이 뒤를 받치고 있다. 강화된 피쳐링진이 그것이다. 현대적인 감각을 살려줄 수 있는 젊고 트렌디한 래퍼를 끌어와 ‘Pride is the devil’의 침잠하는 기타 위 제이 콜의 속도감에 릴 베이비의 웅얼거림을, ‘My life’의 강렬한 3연음 래핑에 21 새비지의 나른한 톤을 자연스럽게 배합했다.

중반부를 지나 더욱 깊어지는 메시지의 잔향도 변함없는 스토리텔러로서의 제이 콜 면모를 확인시키는 지점. 삶과 죽음, 자기반성 등 아티스트가 직접 피부로 느끼는 내용이 이번에도 텍스트를 차지한다. 히트곡 ‘Middle child’가 겹쳐가는 플로우에 변절하지 않는 자신을 멜로디로 표현한 ‘100 Mil”, ‘누구에게 죽임 당하지 않고 30대를 무사히 보냈다는 것에 감사하다’며 사멸에 대한 걱정과 한탄을 엮은 ‘Pride is the devil’의 메시지가 쌉싸름하다. ‘Interlude’에서 관조한 총성과 마약의 참상은 날 선 시선으로 새겨지고, 살해된 친구를 연민하는 ‘Close’의 엄중한 문장도 감흥이 짙은 대목이다.

바스(Bas)와 블랙(6lack)의 코러스로 차분한 분위기를 머금은 ‘Let go my hand’를 음반의 베스트 트랙으로 꼽고 싶다. 커가는 아들을 바라보며 느낀 감정을 과거의 회상 속 자신과 연결 지은 이야기 전개가 과연 제이 콜답다. < The Off-Season >은 이렇듯 그의 강점을 견지하고 기존의 매너리즘은 탈피하는 시도가 성공한 결과다. 노련한 스토리텔링의 < 2014 Forest Hills Drive >만큼의 문학적 성취는 아닐지라도, 스포츠에서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오프 시즌’처럼 커리어에 유의미한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작품이다.

– 수록곡 –
1. 95 south 
2. Amari
3. My life (Feat. 21 Savage, Morray) 
4. Applying pressure
5. Punchin’ the clock
6. 100 Mil’ (Feat. Bas)
7. Pride is the devil (Feat. Lil Baby) 
8. Let go my hand (Feat. Bas, 6lack) 
9. Interlude
10. The climb back
11. Close
12. Hunger on hillside (Feat. Bas)

Categories
Album POP Album

줄리아 마이클스(Julia Michaels) ‘Not In Chronological Order'(2021)

평가: 3.5/5

화려한 등장이었다. 4년 전 ‘Issues’로 괄목할 성과를 거둔 이래 현재 팝 시장에서 줄리아 마이클스의 이름을 찾는 건 어렵지 않다. 저스틴 비버의 ‘Sorry’와 에드 시런의 ‘Dive’ 등을 작곡하며 존재를 알렸고 여러 싱글에 피쳐링으로 참여해 입지를 넓혀갔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2019년 서울재즈페스티벌의 기억으로도 익숙한 그에게 제63회 그래미 어워드 ‘송 오브 더 이어’(Song of the year) 후보에 오른 ‘If the world was ending’은 중요한 분기점이다. 캐나다 아티스트 JP색스와의 듀엣곡으로 작년 한 해 찬사를 받으며 완연해진 팝스타적 면모는 작곡가와 솔로 뮤지션 양쪽 진영을 오가며 연마한 공예품이자 < Not In Chronological Order >의 예고편이 된다.

이번 앨범은 담백한 악기 활용이 인상적이다. 묵직한 베이스 드롭이 주도하는 ‘Wrapped aruond’를 포함해 나른하게 깔린 인트로 기타 사운드가 어둡게 맥동하는 리듬으로 변조한 ‘All your exes’는 점진적인 전개가 매력적인 팝 펑크(Punk) 곡으로 히트메이커의 자질을 가늠할 수 있는 지점이다.

Pessimist’와 일렉트로닉 요소가 자리한 ‘Lie like this’처럼 주류의 팝 사운드를 차용해 느껴지는 관습적 문법은 독보적인 음색 아래 정체성을 부여한다. 전통적인 어쿠스틱 발라드 ‘That’s the kind of woman’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진부함을 벗어낸다.

반대로 고유한 문체를 지닌 점도 묻어난다. 영국의 음악 전문지 < NME >와의 인터뷰에서 비관적인 과거를 깨닫고 새로운 사랑과 함께하는 건강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던 그는 전체 작사를 도맡으며 개인적인 사연들을 주저 없이 써내려 간다. 앞서 언급한 ‘All your exes’는 자칫 차분한 듯 보이나 상대방의 모든 전 여자친구들이 죽은 세상에 살고 싶다며 신랄함을 드러내고 이별 후의 무기력감은 ‘Love is weird’에서 담담하게 털어놓는다. 그와 대조적으로 ‘Little did I know’에는 염세적 태도를 고수한 지난날의 자신을 일깨운 사랑의 기록이 담기며 깊은 감상을 자아낸다.

앞서 발매한 3장의 EP는 줄리아 마이클스가 보컬리스트로서의 내구력을 다지는 기간이었다. 본래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간직하고 매료되는 표현력까지 겸비한 첫 번째 정규작인 이 앨범은  30분이 채 되지 않는 러닝타임을 독무대로 만들며 응축된 내공을 여실 없이 증명한다. < Not In Chronological Order >라는 제목처럼 연대순은 아닐지 모르지만 이번 음반은 줄리아 마이클스가 전진해가는 순서의 한 과정이다.

-수록곡-

  1. All your exes
  2. Love is weird
  3. Pessimist
  4. Little did i know
  5. Orange magic
  6. Lie like this
  7. Wrapped around
  8. History
  9. Undertone
  10. That’s the kind of woman
Categories
Album POP Album

디제이 칼리드(DJ Khaled) ‘Khaled Khaled'(2021)

평가: 2.5/5

‘We the best music!’을 외치는 시그니처 사운드처럼 그는 언제나 ‘최고’의 자리에 목마르다. 재작년 자신의 앨범 < Father Of Asahd >가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로 데뷔하지 못하자 대신 그 자리를 꿰찬 타일러 크리에이터를 SNS를 통해 디스한 사건이 그것을 단적으로 증명한다.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최고의 뮤지션을 캐스팅해 화려한 라인업으로 귀보다도 눈을 먼저 사로잡는 디제이 칼리드의 전략은 열두 번째 정규작 < Khaled Khaled >에서도 이어진다.

대중적인 프로덕션과 곡조를 충실히 뒤받치는 덕에 실제로 그의 작품에는 늘 몇몇 즐기기 좋은 곡들이 자리한다. 포문을 여는 ‘Thankful’은 바비 블랜드(Bobby Bland)의 ‘Ain’t no love in the heart of the city’를 샘플링해 가스펠 코러스와 플루트로 생동감을 연출한 호기로운 인트로다.

데릭 앤 더 도미노스의 ‘Layla’를 발췌한 ‘I did it’ 역시 원곡의 전설적인 기타 리프에 화답하는 세 래퍼의 랩이 멋지고, 포스트 말론의 훅은 현시대의 ‘록스타’ 다운 카리스마로 노래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다. 808 베이스 위 공간감 있는 브라스를 머금은 ‘I can have it all’의 소울풀한 허(H.E.R.)의 보컬과 고뇌를 토로하는 믹 밀의 래핑은 본작에서 가장 인상적인 퍼포먼스.

그러나 이렇게 힘찬 기운을 전달하는 곡이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다채로운 색감의 비트는 가수의 색깔과 잘 맞아떨어지나 디제이 칼리드의 곡이라기보다 해당 뮤지션의 또 다른 싱글이라는 인상에 가깝다. 잔치에 초대된 뮤지션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며 높은 텐션으로 랩과 노래를 주고받지만, 거대 네임밸류의 피쳐링진은 너무나 많고 이를 감독하는 지휘가 부족한 탓에 화끈해야 할 파티의 퍼레이드는 수록곡 간의 유기성을 떨어트리는 역효과를 불러온다.

에너제틱한 ‘I did it’을 지나 느닷없이 긴장감을 덜어내는 ‘Let it go’는 저스틴 비버와 래퍼 21 새비지의 콜라보가 부조화를 이루고, 잭슨 파이브의 ‘Maybe tomorrow’를 가져와 갑작스러운 긍정 에너지를 버무리는 ‘Just be’에서는 앨범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의아하게 한다. 이렇다 할 명분 없이 행해진 소재 확장이라 가수의 활약에도 어색함이 가득하다. 속도감 있는 ‘Body in motion’에 이은 전체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듯한 드레이크와의 작년 선 공개 싱글 ‘Popstar’는 맥이 풀리고, 드레이크 특유의 나른함 ‘Greece’도 전체 구성에는 어울리지 않는 넘버다.

들을 거리는 풍부하나, 하나의 앨범으로서 뚜렷한 콘셉트를 제시하는 능력은 이번에도 미달이다. 단일 작품보다 해외 팝을 즐겨 듣는 어느 리스너의 플레이리스트를 연상하게 하는 앨범은 창작자의 존재감을 감지하기 어렵고, 몇몇 수준급의 곡에도 감상은 허공을 맴돈다. 바람대로 < Khaled Khaled >로 그는 빌보드 앨범 차트 정상을 탈환했다. 하지만 ‘We the best music!’의 외침은 점점 공허하게 들린다.

– 수록곡 –
1. Thankful (Feat. Lil Wayne, Jeremih) 
2. Every chance I get (Feat. Lil Baby, Lil durk)
3. Big paper (Feat. Cardi B)
4. We going crazy (Feat. H.E.R., Migos)
5. I did it (Feat. Post Malone, Megan Thee Stallion, Lil Baby, DaBaby) 
6. Let it go (Feat. Justin Bieber, 21 Savage)
7. Body in motion (Feat. Bryson Tiller, Lil Baby, Roddy Ricch)
8. Popstar (Feat. Drake)
9. This is my year (Feat. A Boogie Wit Da Hoodie, Big Sean, Rick Ross, Puff Daddy)
10. Sorry not sorry (Harmonies by The Hive) (Feat. Nas, JAY-Z, James Fauntleroy)
11. Just be (Feat. Justin Timberlake)
12. I can have it all (Feat. Bryson Tiller, H.E.R., Meek Mill) 
13. Greece (Feat. Drake)
14. Where you come from (Feat. Buju Banton, Capleton, Bounty Ki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