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코드 쿤스트(Code Kunst) ‘Remember Archive'(2023)

평가: 3.5/5

당신의 삶은 안녕한지 묻게 하는 음반이다. “10년 동안 기억에 남는 순간들만 뽑아 곡으로 만들었다”는 그의 말처럼 정규 5집에는 17개의 많은 수록곡만큼이나 다양한 이야기들이 소환된다. 이는 팬과 뮤지션의 사랑 한담이 되기도, 지구 멸망 55분 전 애인에게 전하는 마지막 메시지가 되기도, 힘들 때 조금만 더 해보자는 외침이 되기도 한다. 저마다 뚜렷한 장면들을 소환해 내 삶을 찬찬히 돌아본다. 따뜻하고, 힙하게.

8번 트랙 ‘In the attic’ 즉, ‘다락방에서’라는 수록곡을 기점으로 위편은 주류 차트에서도 무난히 사랑받을 ‘힙’한 트랙이, 아래쪽에는 톤 다운된 ‘따뜻한’ 곡들이 담겼다. 앞 편의 “널 한입 베어 먹으면 라랄라”라는 섬뜩한 가사로 뮤지션과 팬 사이 연애담을 그린 ‘Jumper’는 리드미컬한 베이스라인과 개코, 송민호(MINO)의 상반된 목소리로 호흡을 다지고, 뒤편의 백예린, pH-1의 매혹적인 목소리가 인상적인 발라드 ‘Page 1’은 ‘내가 모든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그 시절, 나의 첫 페이지로 돌아가고 싶다’ 노래하는 식이다.

전 후반부의 음악색이 상반되는 와중, 크러쉬, 이하이, 타이거JK 등 막강한 피처링 진의 활용이 눈에 띈다. 지난 음반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뮤지션들의 목소리를 빌어 내 얘기를 전한다. 이때 코드 쿤스트는 앞보다는 옆과 뒤에 선다. 호미들의 친(CHIN)이 작사에 참여한 드릴 힙합곡 ‘Crew’에선 친의 색이 강하게 느껴지고, 수민(SUMIN)이 함께한 ‘Terminal’은 관능적인 베이스라인과 신시사이저가 어우러지며 수민의 흔적이 강하게 드러난다.

피처링 아티스트에게 많은 역할을 내어주며 추억을 회고하고자 하는 그의 시도는 나의 개인적 경험이 어떻게 좀 더 범대중적으로 확장될 수 있느냐 하는 고민과도 맞닿아있다. 이를 증명하듯 신보엔 그의 출발이던 힙합의 색은 많이 빠졌고 전작 4집 < People >와 비슷하게 잘 들리고, 잘 다가오는 알앤비, 팝이 주를 이룬다. 도입부 ‘Bad bad’, ‘Circle’ 등 화려한 트랙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잔잔하고 감성적인 분위기가 대다수를 이룬다.

귀에 꽂히는 히트 싱글의 한방보다 모든 수록곡이 고른 완성도를 지녔다. 피처링으로 협업한 뮤지션의 색과 주인장 코드 쿤스트의 설계가 매끄럽게 어우러져 볼륨감 있는 신시사이저로 부드럽게 문 닫는 끝 곡 ‘Oㅁ’에 이르면 까슬까슬한 여운이 귓가를 감돈다. ‘Jumper’에서 송민호의 거친 래핑이나, ’55’ 속 백예린과 웬디의 감정 표현의 격차가 조금은 이질적이다는 인상도 들긴 하지만, 이를 무마할 시너지가 이 앨범 안에 담겨있다. 가사와 선율을 좇아 하나하나 곡에 기울이다 보면 각자의 기억 편린이 슬며시 떠오를, 코드 쿤스트의 음악 스타일이 잔상처럼 남는 음반.

-수록곡–
1. Remember archive
2. Jumper(Feat. 개코, MINO)
3. Bad bad(Feat. Tabber, 박재범) 
4. Circle(Feat. Crush)

5. Home boy(Feat. 이하이)
6. Woode(Feat. 우원재)
7. Shine(Feat. 우원재, Tiger JK, JUSTHIS)
8. In the attic
9. Page 1(Feat. 백예린, pH-1)
10. 이불(Feat. Big Naughty)
11. Little bit(Feat. DeVita)
12. 55(Feat. 백예린, 웬디)
13. Terminal(Feat. SUMIN, 키드밀리, CHAI)
14. Petty(Feat. CAMO, Paul Blanco)
15. 911(Feat. 잭슨)
16. Crew(Feat. 쿠기, Paloalto, Chin)
17. oㅁ(Feat. meenoi)

Categories
KPOP Album Album

코드 쿤스트(Code Kunst) ‘PEOPLE'(2020)

평가: 3.5/5

3년 만에 선보인 < PEOPLE >은 그가 선보인 앨범 중 가장 친절하면서 명확하다. < MUGGLES’ MANSION >이 뮤지션과 프로듀서 사이의 밸런스를 두고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흔적이 역력했다면, 이번 작품은 자로 잰 듯 치우침 없이 반듯하다. 힙합, 알앤비 씬의 현주소를 그대로 옮겨 놓은 참여진의 화제성과 캐릭터에 걸맞은 해석을 뒷받침하는 유려한 프로덕션은 균형감을 극대화하는 요소다.

서사를 관통하는 기타 리프는 게임 체인저를 자처한 씨잼과 사이먼 도미닉 듀오에 의해 한 템포 멀어진다. 선공개 곡 ‘JOKE!’는 트랙 리스트 중앙에서 이질적이면서 독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KnoCK’이 쏘아 올린 서정적 긴장감을 강력한 개성을 통해 순간적으로 잠재우고, 중반 즈음 등장하는 ‘Get Out’과 ‘Rollin’을 더욱 또렷하게 밝힌다. 트랙 간의 전후 구조를 단단히 잇는 역할 덕에, 자칫 흐릿한 인상으로 귀결될 수 있었던 후반을 다시금 도입부 무드로 자연스레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정적인 짜임새를 넘어 뮤지션의 개성까지 세심하게 신경 쓴 자리 배치다.

용의주도함 속에서 주제 의식을 강화하는 것은 프로듀서의 관조적 태도다.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두고 각자 자유로이 말할 수 있도록 한 발짝 뒤로 물러섰다. 인간 군상을 꽃의 외관과 상징성에 비유한 ‘꽃’, 허상뿐인 인간관계에 염증을 느낀 ‘F(ucked up)’ 등 사람이라는 대주제 안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감정을 소주제 삼아 이야기를 풀어냈다. 앨범의 끝은 사람을 계속해서 믿어보자고 다독이는 ‘PEOPLE’로 맺으며, 허무나 회의가 아닌 사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관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그동안 코드 쿤스트의 행적에는 수많은 만남이 있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재능을 한껏 펼쳐 대중과의 접점을 형성했고 소속사를 옮기며 새로운 동료들과 작업 환경을 얻었다. 만남 속에서 함께한 사람들은 그가 추구하는 예술의 임계점을 허물고 자연스레 영감과 소통의 원천이 되었다. 어느 정도 작가주의에서 해방된 상태에서 써내린 < PEOPLE >은 신선함은 적을지언정 그의 현재와 미래 작업 방향성을 되짚는 따뜻한 해례다.

– 수록곡 –
1. KnoCK (Feat. 백예린)
2. 꽃 (flower) (Feat. 박재범, 우원재, 기리보이) 
3. Xii
4. O (Feat. 이하이)
5. Woode
6. F(ucked up) (Feat. 개코, GRAY) 
7. Set me Free (Feat. Loopy, Jvcki Wai)
8. JOKE! (Feat. C JAMM, 사이먼 도미닉) 
9. Get Out (Feat. Kid Milli, EK, HAON (하온))
10. Rollin (Feat. pH-1)
11. Let u in (Feat. DeVita, Colde)
12. Dirt in my HEAD (Feat. 카더가든)
13. Bronco (Feat. 뱃사공, BLNK, jayho, 재달 of LEGIT GOONS)
14. 춤 (Feat. 넉살) 
15. PEOPLE (Feat. Paloalto, The Quiett) 
16. (Bonus track) 01 No more 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