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Album

한요한 ‘Time Machine’ (2022)

평가: 3/5

스윙스와 버벌진트가 속해 있던 힙합 크루 오버클래스의 기타 세션맨으로 출발한 한요한은 힙합 신과 연을 철저히 다졌다. 래퍼 릴보이와 루이가 결성한 긱스의 ‘Wash away’를 작곡해 음원차트를 휩쓸었고 2015년에는 솔로앨범 < Selfmade >를 발매하며 직접 마이크를 쥐기 시작했다. 스윙스의 힙합 레이블 저스트뮤직과의 계약하고부터는 본격적으로 솔로가수로서 이름을 알렸다.

기타리스트로서 음악계에 발을 들인만큼 정규 4집 < Time Machine > 역시 ‘월화수목금토일’, ‘지킬게’ 등에서 전기 기타와 특유의 시원한 발성으로 록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꾸준히 반복해온 작법이지만 시간이라는 주제 위에 자전적 이야기를 전개하며 지난 디스코그래피와 차별점을 만든다.

직접 앨범 소개 글에 밝힌 바처럼 3집 < 초희귀종 > 발매 이후 찾아왔던 슬럼프를 회고한다. 사랑과 우정에 대한 인간적 어려움을 드러내고 성공 이후 찾아온 번아웃을 호소하며 음악 내외로 밝은 모습을 보여줬던 한요한의 그늘진 뒷면을 비춘다. 음반의 서사를 집약하는 ‘버킷리스트’와 알앤비 가수 따마가 참여한 ‘Ring ring ring’은 강렬한 사운드로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데에 전념했던 지난 음악들에 비해 진지한 모습이다.

포스트 말론, 머신건 켈리의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도 록과 힙합의 융합이 활발해지면서 한요한만의 개성은 옅어졌다. 한정된 장르로 인해 자기복제에 대한 비판 역시 피해 갈 수 없는 만듦새지만 프로듀서로서 두각을 나타낸 전적이 있는 만큼 다른 아티스트의 목소리를 빌려 매너리즘을 극복하려는 전략이 높은 타율을 기록한다.

약 5년에 걸쳐 발매한 4장의 정규음반은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의 산물이다. 덕분에 한요한은 한국에서 랩과 록을 결합한 얼터너티브 힙합 아티스트 명단 자신의 이름을 적었다. 고착화된 음악 스타일을 경계해야 할 필요는 있겠지만 뚝심을 견지하며 만들어낸 그의 < Time Machine >은 제대로 작동한다.

-수록곡-

  1. I don’t know (Feat. Don Malik)
  2. 버킷리스트 (Feat. Skinny Brown)
  3. 월화수목금토일 (Feat. 김승민)
  4. Ring ring ring (Feat. Thama)
  5. 멀어지는 너
  6. 너의 곁에 숨을 쉬고 있었어 (Feat. Jayci yucca & Skinny Brown)
  7. 지킬게 (Feat. JAEHA)
  8. 거슬려 (Feat. Ron)
  9. 컸어 (Feat. WYBH)
  10. (Bonus Track) Right now
Categories
Album

우원재 ‘Comma’ (2022)

평가: 3/5

독특한 뮤직비디오로 화제가 된 ‘Uniform’과 미노이와 공연한 ‘잠수이별’로 음악 작업에 충실한 2022년이었다. 더 콰이엇과 코드쿤스트가 참여한 2018년 작 < af >에 이은 두 번째 EP < Comma >의 기록까지. 한때 의식불명(Coma)에 빠졌던 청년은 음악과 대중을 통해 구원받았으나, 시나브로 변해버린 자신을 되돌아보기 위해 쉼표(Comma)를 찍었다.

오랜 음악적 파트너 쿄(Kyho)와의 협업은 소리 질감의 다변화라는 근작의 지향성을 재확인했다. 원슈타인이 참여한 레이드 백 넘버 ‘Glass’는 ‘하늘이 불을 껐어, 니 집 창문이 거울로 바뀌었어’란 시각적 노랫말로 나른한 주말 오후를 그려냈고 건반과 스트링을 결합한 ‘우리’의 평화적 분위기가 데뷔 초 우울한 정서를 가렸다.

앨범의 자전적 성향은 4, 5번 트랙에서 두드러진다. 진솔한 고백 조의 ‘Me’가 독특한 플로우의 ‘Mommy’로 이어지는 구성은 나약함을 발견하고선 따스한 품속으로 들어가는 인간적 면모다. 앨범 전반에 걸쳐 월장한 기술력을 두른 정제된 메시지가 래퍼의 발전을 명시한다.

산타 라인과 ‘알약 두 봉지’처럼 우원재의 밑바탕은 감정과 분위기였다. 하지만 안주하지 않았다. 딜리버리의 발전과 톤의 연구는 아티스트의 번민이 그저 머릿속 사투로 그치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달콤한 성공을 거둔 우울 청년의 이야기는 가공 없이 그대로 전달 되며 < Comma >는 다시금 기로에 선 뮤지션의 자화상이다.

-수록곡-
1. Repeat
2. Glass (Feat. 원슈타인)
3. 우리
4. Me (나야)
5. Mommy
6. 그래요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보수동쿨러, 해서웨이 ‘Love Sand’ (2022)

평가: 3.5/5

머드허니와 앨리스 인 체인스를 위시한 시애틀의 그런지 록 신이나 더 비 피프티투스(The B-52’s), 러브 트랙터(Love Tractor)가 쟁글 팝을 구사했던 조지아주의 아테네 등 각 도시가 꽃피운 음악적 유산은 찬란하다. 스타일의 차이로 인해 사조로 묶기 어려우나 2022년의 대한민국 부산은 세이수미, 검은잎들 같은 밴드의 활약으로 인디 록의 중심지가 되었다. 흐름의 중심에 서 있는 보수동쿨러와 해서웨이(Hathw9y)의 만남은 그래서 특별하다.

두 밴드가 하나의 음악으로 녹아들었다. 두 음악 집단의 매력을 절묘하게 섞은 ‘월드투어’는 해서웨이의 보컬 키위의 몽환적 음색으로 몽환적 모던 록을 구현했고 ‘우리는 어디에 있어도 다정한 친구가 되는 거야’라는 노랫말로 두 밴드의 우정과 청춘의 화합을 강조했다. 해서웨이의 드러머 세요의 펑키(Funky)한 드러밍이 활기를 불어넣는 ‘맛있는 거’도 섬세한 보컬 하모니로 긍정주의를 압축한다.

전체적으로 기타 사운드가 돋보인다. 1990년대의 브리티시 록을 연상하게 하는 ‘페스티벌’은 간결한 도입부부터 조금씩 음의 서사를 쌓아가며 곡 부피를 키우고 얼핏 두 밴드와 이질적인 하드락의 풍모를 갖춘 ‘러브앤피스’는 제목과 메시지만큼 호방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스미스와 더 필리스(The Feelies)를 떠오르게 하는 보수동쿨러의 구슬한과 공감각적 톤을 연출하는 해서웨이의 키위 두 기타리스트가 조화롭다.

밴드는 음악으로 연결된 가족이다. 한 가족으로 보이는 앨범 커버처럼 보수동쿨러와 해서웨이 두 밴드는 합집합을 넘어선 화학작용을 일으켰고 네 곡을 아우르는 음악적 다양성과 곡별 소구력이 단발성 프로젝트 이상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부산 인디 신의 르네상스를 알린 화합의 결과물 < Love Sand >는 밴드 음악의 가족애를 드러낸다.

-수록곡-
1.월드투어
2.맛있는 거
3.러브앤피스
4.페스티벌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빅 나티(BIG Naughty) ‘낭만’ (2022)

평가: 3/5

만 열아홉의 젊은 래퍼 빅나티는 로맨틱 월드를 건설해 누군가에게 다가가기 힘든 힙합 문화의 문턱을 낮춘다. 힙합과 알앤비를 아우르는 싱잉랩은 감각적이고 현실적인 가사는 공감대를 구축한다.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 < 고등 래퍼 >와 < 쇼 미 더 머니 >를 통해 경험을 쌓은 그는 십센치와 함께한 ‘정이라고 하자’로 대중과의 간격을 더욱 좁혔고 두 번째 EP < 낭만 >을 통해 싱잉랩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한다.

사랑하는 이를 위해 180도 바뀔 수 있다는 ‘낭만교향곡’과 영어 가사의 장점이 돋보이는 ‘Vancouver’는 여성을 거칠게 다루는 몇몇 가사들과 달리 1970~80년대 국내 포크 음악의 순정을 담았다. 다만 확고한 콘셉트로 무게추는 쏠렸고 몇 차례의 치기 어린 가사에 워드 플레이와 라이밍의 위력도 덜하다. 힙합에 뿌리를 둔 뮤지션인 만큼 랩 본연의 연구도 필요하다.

각양각색 뮤지션들이 십 대 래퍼의 너른 취향을 드러낸다. 재즈의 터치를 심은 ‘결혼행진곡’은 섬뜩한 집착으로 일관성에 균열을 내고 시온, 예스코바, 안다영이 돌림노래처럼 개성을 쌓은 ‘Hachiko’는 멜로우한 알앤비 트랙이다. EP와 정규 앨범 사이에 있는 듯한 애매한 분량임에도 다양성을 포섭했다.

공격적인 랩과 비트 없이도 매력적이다. 역으로 대중가요에서 질리도록 노래했던 주제를 파고들어 빅나티만의 낭만론을 설파한다. < 낭만 >은 쏙쏙 박히는 멜로디로 대중성을 붙잡았고 이채로운 스타일도 돋보인다. 음악감독 꿈나무의 수줍은 도전이다.

-수록곡-
1. 낭만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2. 낭만교향곡(Feat. 창모, 박재범)
3. Lovey dovey(Feat. 미노이)
4. Poker (Feat. 다운)
5. Vancouver
6. Actor (Feat. 피에이치원)
7.결혼행진곡 (Feat. 디보(Dbo))
8. Hachiko (Feat. 시온, Yescoba, 안다영)
9. 마침표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스테이씨(STACY) ‘Young-love.com’ (2022)

평가: 3.5/5

회사의 대표이자 이미 검증받은 작곡가인 블랙아이드필승의 지휘 아래서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그룹의 전략이었다. 결과적으로 합주는 성공적이다. 지난해 < TIME >지는 ‘2021년 K-POP을 빛낸 10곡’으로 스테이씨의 두 번째 싱글 ‘ASAP’을 선정했고 이어 발매한 ‘색안경’ 또한 음원 차트 높은 위치에 안착했다. 계속해서 자신들의 주가를 높이고 있는 데뷔 2년 차의 신인 그룹은 < Young-love.com >으로 Z세대 아이돌의 대표주자로서 입지를 굳힌다.

과거 비슷한 사례인 신사동호랭이의 이엑스아이디, 용감한형제가 기획한 브레이브걸스가 오랜 기간 빛을 보지 못한 것에 비해 스테이씨는 단기간에 좋은 성적을 내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팬덤의 파편화, 아티스트와 팬들 사이의 소통을 돕는 브이라이브(V Live)등의 플랫폼이 과거에 비해 달라진 시장을 만들었다는 점이 새로운 변수로 작용했지만 더 확실한 돌풍의 원인은 대중성을 유지하면서도 시류를 따르지 않은 음악이다. 

시장을 이끌어가는 프로듀서는 트렌드에 의존하지 않았다. 여러 장르를 섞은 사운드의 피로감을 인식한 듯 다른 노선을 택했다. 상대적으로 미니멀한 트랙 위에 자연스럽게 운율을 만드는 가사와 중독성 있는 선율을 내세운다. ’Run2u 속 ‘또 가끔 말을 막 해 / 너무 딱해  헛소리들 / 나는 안 들리네’ 와 같은 라인이 대표적이다. 구성상 전면에 나서야 하는 보컬을 믿지 않았다면 선택하기 힘든 제작이다.

멤버들은 신뢰에 부응한다. 정해진 위치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이 필요한 곳에서 적절한 역할을 해낸다. 형식적인 파트분배가 아닌 각자의 목소리가 가진 개성이 조화를 이루는 분담이다. 찌를듯한 고음이나 기교는 없지만 담백하게 맡은 바를 수행한다. ‘Same same’, ‘247’과 같이 차분하고 느린 템포의 알앤비로도 감흥을 이끌어 내는 이유이다.

대규모 자본의 홍보 없이 사람들이 귀를 기울이도록 만들었다. ‘Star to a young culture’(젊은 문화를 이끄는 스타)라는 그룹명에 부응하듯 그들의 노래가 울려 퍼졌고 이제 국민 걸그룹으로 도약하는 변곡점 위에 서 있다. 커리어의 변화를 맞이할 중요한 시점 앞에서 이번 발판은 견고하고 안정적인 디딤돌이다.

– 수록곡 –
1. Run2u
2. Same same
3. 247
4. Young luv
5. Butterfly
6. I want u ba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