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terview

임백천 인터뷰

우리는 임백천을 유려한 말솜씨로 1990년대 방송가를 주름잡던 베테랑 MC, 혹은 각종 라디오에서 DJ로 활약한 ‘천디`로 기억한다. 가수로써 무대에 직접 오르기보다 그 옆에서 다른 이들의 비범한 등장을 소개하는게 더 익숙했던 그가 이번엔 긴 공백을 깨고 스스로를 조명했다. 1991년 < 사랑할 수 없는 슬픔 > 이후 꼬박 30년, 변화에 대한 두려움은 제쳐두고 ‘새로운 길`의 출발점에 선 그를 홍대 인근 소극장에서 만날 수 있었다. 1978년 제2회 MBC 대학가요제를 통해 데뷔한 이래 43년 만에 첫 쇼케이스를 앞둔 그의 눈빛엔 설렘과 총기가 가득했다.

우선 지난 7월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현재 건강은 괜찮은지.
지금은 다 나았다. 2차 접종도 마쳐서 그야말로 투명 인간이 됐다. 건강엔 지장이 없는데 앨범 작업에 영향이 미쳤다. 가을에 들으면 좋은 노래들로 구성해서 9월 말이나 10월 초에는 신보를 발매할 계획이었는데 부득이한 사정이 겹치며 10월 말에 공개하게 되었다. 그래도 가을 안에는 앨범이 나와서 다행으로 여긴다.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30년 만에 새 앨범 < 새로운 길 >을 발표했다. 정말 오랜만인데 용기를 낼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새로운 노래를 내야겠다는 생각은 30년 동안 늘 하고 있었다. 단지 지금보다 나이를 더 먹으면 그 생각을 행동으로 옮길 자신이 없을 것 같아서 이번에 신곡을 발매하게 됐다.

직접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타이틀 곡 ‘커피 송’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30년 만에 들어간 스튜디오에서 도망가고 싶다고 말했다. 작업 당시의 심정이 궁금하다.
힘들었다. 오랜만이라 노래도 생각만큼 안 나오고 환경도 어색했다. 3집 앨범까지 낸 가수인데 도망가고 싶더라. 그리고 지금 우리나라에 오디션 프로가 엄청 많지 않은가. 실력이 출중한 가수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 ‘내가 과연 그들 앞에서 지금 노래를 해도 되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 새로운 길 >이란 앨범 제목에 담긴 메시지는 무엇인지.
사람은 늘 새롭게 버전 업을 시켜야 한다. 그래야 나이 먹으면서 꼰대 소리를 안 듣는다. 젊은 사람들하고 같이 살려면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인정받아야 한다. 그래서 헤어스타일, 패션, 일상은 물론이고 젊은 사람들의 생각이나 문화를 알아야 이야기가 통한다. 그런 측면에서 < 새로운 길 >이라는 타이틀은 ‘내가 젊게 살기를 노력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다.

‘새로운 길’의 가사는 윤동주 시인이 쓴 동명의 시이기도 하다. 평소에도 윤동주 시인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 같다.
고등학교 때 문학 서클을 했는데 그 당시에도 윤동주는 가장 인기 있는 시인이었다. 지금 조사해도 윤동주 시인은 남녀노소 다 좋아할 거다. 윤동주 시인의 시에 멜로디를 붙인 노래가 ‘새로운 길’인데 유지연 씨가 윤동주 시인의 시로 5곡을 썼다. 이 곡은 그중에 하나고 원곡을 듣고 마음에 들어 부탁을 드리고 부르게 되었다. 고맙게도 어떤 분들은 ‘새로운 길’이라는 노래가 먼저 멜로디를 윤동주 시인이 듣고 쓴 시 같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더라. 그만큼 시와 잘 어우러지게 멜로디가 표현된 것 같다.

‘새로운 길’의 가사는 윤동주 시인이 쓴 동명의 시이기도 하다. 평소에도 윤동주 시인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 같다.
고등학교 때 문학 서클을 했는데 그 당시에도 윤동주는 가장 인기 있는 시인이었다. 지금 조사해도 윤동주 시인은 남녀노소 다 좋아할 거다. 윤동주 시인의 시에 멜로디를 붙인 노래가 ‘새로운 길’인데 유지연 씨가 윤동주 시인의 시로 5곡을 썼다. 이 곡은 그중에 하나고 원곡을 듣고 마음에 들어 부탁을 드리고 부르게 되었다. 고맙게도 어떤 분들은 ‘새로운 길’이라는 노래가 먼저 멜로디를 윤동주 시인이 듣고 쓴 시 같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더라. 그만큼 시와 잘 어우러지게 멜로디가 표현된 것 같다.

사실 가수 임백천하면 ‘마음에 쓰는 편지’라는 노래가 떠오른다. 곡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지금 시대에는 안 어울릴 것 같아도 ‘마음에 쓰는 편지`는 굉장히 이쁜 사랑 노래이자 연가이고, 또 손 편지 시대의 노래다. 앞으로 인류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지만 사람 심성이 뭐 그렇게 많이 변하겠는가. 노래가 품고 있는 사랑이나 좋아하는 감정 같은 것들이 지금 시대에도 유효하기에 많이 사랑받는 것 같다.

1978년 대학가요제부터 1990년 ‘마음에 쓰는 편지’를 지나 최근 < 새로운 길 >까지, 긴 세월을 음악인으로 몸담았다. 과거와 현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음악을 만들고 접하는 과정부터 하늘과 땅 차이다. 30년 전에는 아날로그였고 지금은 완전히 디지털로 바뀌었다. 사실 나이를 먹다 보면 새로운 것을 온전히 받아들이기가 쉽지만은 않다. 최대한 적응하며 살려고 노력하지만 나는 완벽한 디지털 인간도 아니고 완벽한 아날로그 인간도 아닌 디지로그 인간을 추구한다.

음악도 마찬가지다. 디지털이 표현할 수 없는 감정들이 아날로그에 있고, 아날로그에서 느끼지 못하는 무언가가 디지털에 있다. 나는 둘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고 본다. 내 노래를 들으면 아마 그런 느낌이 많이 들 것이다. 상황은 엄청나게 변했지만 결국 본질은 노래라는 것, 사람의 목소리라는 것.

이번 앨범도 디지로그를 지향한 것 같다.
이번에 발표한 앨범도 요즘에 찾기 힘든 음악이다. 현재는 트로트와 발라드, 그리고 댄스 뮤직이 주를 이룬다. 그런데 < 새로운 길 >은 내가 예전부터 추구하고 있는 포크 음악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들을 수 있으면서도 쉬어가는 음악이라고 보면 된다. 지금 세상이 너무 빠르게 간다. 매일 아침은 너무 빨리 와 있고 하루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다. 너무 빠르고 소리도 크고 그래서 그런 세상에 딴지를 걸고 싶었다. 조금 쉬어가자, 그리고 좀 멍때리는 시간도 가질 필요가 있지 않나. 그래서 ‘새로운 길’이라든가 ‘커피송’, ‘희망’등 요즘처럼 댄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 노래를 들으면 느려 터져서 아마 못 들을 수 있다.

잔잔하고 느린 포크 음악을 통해 일상에 여유를 불어넣고 싶은건지.
코로나로 인해 남녀노소 누구나 다 힘들고 쓸쓸하지 않은가. 외로운데 누구한테 얘기도 못 한다. 앨범을 들으면서 힐링이 됐으면 참 좋겠지만 힐링까지는 아니더라도 위로받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또 코로나 때문에도 그렇고 너무 빠른 세상에 지쳐 있고 위로가 필요하다.

인터뷰 : 김성욱, 정다열
정리 : 김성욱
촬영 : 정다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