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김도헌의 실감, 절감, 공감] 우상의 몰락

마릴린 맨슨의 음악을 좋아했다. ‘안티크라이스트 슈퍼스타’를 외치며 도발적인 퍼포먼스를 펼치던 하얀 분장의 프론트맨이 세상이 싫었던 사춘기 소년에게는 그렇게 멋져 보일 수 없었다.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을 다룬 마이클 무어의 영화 < 볼링 포 콜럼바인 >을 보고 나서는 사회로부터 핍박받는 록스타의 환상까지 더해졌다. < Antichrist Superstar >, < Mechanical Animals >, 1997년 MTV 어워드에서의 ‘The beautiful people’ 라이브, 베스트 앨범 < Lest We Forget > 등등. 많이도 들었다.

안타깝게도 이젠 어디서도 마릴린 맨슨을 좋아했노라 이야기할 수 없다. 현재 그는 추악한 성폭행 범죄 의혹을 받고 있다. 2007년 당시 19세 나이로 맨슨과 교제하던 배우 에반 레이첼 우드가 지난해부터 맨슨의 그루밍과 학대, 성폭력을 폭로하고 있다. ‘Heart shaped-glasses’ 뮤직비디오 촬영 도중 성폭행을 가했고, 하루 152번 이상 전화를 걸었다는 등 집착이 심했다는 주장이다.

일방적인 내용도 아니다. < 왕좌의 게임 >에 출연한 배우 에스미 비앙코 역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마릴린 맨슨에게 성적 학대와 폭행을 당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맨슨에게 성적으로 학대당했다고 주장하는 여성만 15명이다. 맨슨은 혐의를 부인했지만, 레이블에서 쫓겨났다.

한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맨슨은 새 친구의 도움을 받아 다시금 대중 앞에 섰다. 놀랍게도 그 친구는 카니예 웨스트였다.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다 ‘생일이당’을 창당하여 대통령 선거에 뛰어든 래퍼, 악명 높은 강간범 빌 코스비의 무죄를 외치며 관심을 끌고 양극성 장애에 시달리며 망언을 내뱉다 아내 킴 카다시안에게 버림받은 래퍼, 카니예 웨스트였다.

카니예 웨스트는 소문만 무성하던 앨범 < Donda >의 2차 리스닝 파티에 마릴린 맨슨을 초대했다. 시카고 솔져 필드 한가운데 지어진 저택 세트장에서 난간에 기댄 채로 모습을 드러낸 맨슨은 수록곡 ‘Jail pt.2’에 참여한 상황이었다.

맨슨의 옆에는 래퍼 다베이비가 있었다. 2021년 초까지만 해도 메가 히트 싱글 ‘Rockstar’와 두아 리파와의 콜라보레이션 ‘Levitating’으로 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아티스트였던 그는 7월 마이애미의 힙합 페스티벌 공연 도중 “에이즈, 성병에 걸려 2~3주 안에 죽을 일 없는 사람들, 게이, 문란한 여자들 제외하고 핸드폰을 높이 들어”라 발언하며 장내를 침묵에 빠트렸다.

논란이 된 후에도 다베이비는 소셜 미디어에 실언을 늘어놓고 조롱 격 뮤직비디오를 촬영하는 등 당당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줄줄이 공연이 취소되고 엘튼 존, 마돈나, 릴 나스 엑스 등 아티스트들의 비판이 쏟아지자 마지못해 사과의 메시지를 내놓았다. 그도 ‘Jail Pt.2’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

마릴린 맨슨과 다베이비가 참여한 < Donda >는 ‘인디펜던트’지에게 0점을 받았다. 불공정하다고? ‘인디펜던트’ 지를 제외하고도 카니예 웨스트의 작품에는 문제가 많았다. 2020년부터 작업을 알렸던 앨범은 수차례 발매 연기된 끝에 8월 29일 기습 공개됐고, 그마저도 미완성본이라 두 번의 추후 수정을 거쳐야 했다.

실망이 컸음에도 나는 < Donda >를 동정했다. < Jesus Is King >부터 의아한 행보만 보여준 칸예지만, 호불호를 떠나 지난 20년을 지배한 시대의 아이콘이 정신을 차리고 멋진 모습을 보여주길 바랐다. 지난 1월 13일 사인을 요청한 남성 팬을 때려눕혀 LA 경찰에게 용의자로 지목됐다는 뉴스를 보기 전까지는 말이다.

방탕한 록스타들과 갱스터 래퍼들의 음악이 친숙했던 나는 예술가들의 경거망동에 관대한 편이었다. ‘예술과 인성은 별개’라 믿기도 했고, 대놓고 자랑할 순 없어도 일종의 길티 플레저처럼 아쉬움을 곱씹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점점 그들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인내심이 낮아진 것일까? 과도한 ‘정치적 올바름’에 물들어버렸나? 아니다. 이것은 배신감이다. 나를 음악의 세계로 인도한 가수의 노래와 함께했던 소중한 기억이 사실은 추악한 과정의 결과물이었다는 당혹감과 분노다. 마릴린 맨슨, 카니예 웨스트, 다베이비의 음악을 좋아했노라 당당히 말할 수 없게 된 허탈함이다. 오랜 시간 동안 활동을 이어가면서도 논란 없이 만인의 존경을 받는 예술가들이 있다. 우상은 그런 이들에게 어울리는 영예다.

이 글을 쓰는 와중에도 또 다른 우상이 몰락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해 < The Nearer Fountain, More Pure the Stream Flows >를 발표한 블러, 고릴라즈의 데이먼 알반은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테일러 스위프트는 스스로 곡을 쓰지 않는다”며 논란을 자초했다. 평가 절하, 여성 간의 비교, 어이없는 변명까지 현대 사회가 용납하지 않는 삼대 금기를 충족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기타 히어로에서 백신 반대 운동 투사로 직업을 변경한 에릭 클랩튼은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제약회사들에게 속아 백신을 접종”했노라며 접종자들은 ‘집단 최면 형성’ 이론의 희생자들이라 열변을 토했다. 과거의 유산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더는 애써 그들의 행동을 옹호하고 싶지도 않다. 스스로의 권위는 스스로가 지켜야 한다.

Categories
Album POP Album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 ‘The College Dropout’ (2021)

평가: 5/5

한 시대를 이끌어갈 천재의 등장

대중이 그의 이름을 알지 못하던 2000년대 초, 카니예 웨스트는 칼을 갈고 있었다. 1990년대 중반 프로 활동을 시작해 로카펠라의 스태프 프로듀서로서 신생 레이블의 도약을 도모하며 업계의 제일가는 작곡가로 성장한 그이지만, 그 이상을 꿈꿨다. 제이 지의 < The Blueprint >, 앨리샤 키스의 ‘You don’t know my name’ 등 많은 히트작을 낳았다. 하지만 참을 수 없는 야심은 무대 뒤가 아닌 비트 위, 직접 가사를 뱉는 데에 닿아 있었다.

그러나 당시 힙합 신은 카니예 웨스트에게 래퍼 자리를 내어줄 만큼 분위기가 자비롭지 못했다. 거칠고 마초적인 래퍼가 공고하게 주 세력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제이 지가 있었고, 피프티 센트를 비롯한 갱스터 랩이 인기였다. 그에 반해 카니예의 배경을 보자. 대학교수인 어머니와 미술 대학까지 진학한 나름의 학력을 가진 중산층이지 않은가. 안정적인 환경이 래퍼가 되는 데에는 제동을 거는 법이다. 모두가 그에게 비트만 따내려 했지 로커스(Rawkus Records)도, 캐피톨(Capitol Records)도 래퍼로 그를 원하지 않은 이유다.

신예의 도전을 조심스럽게 받아들인 로커펠라와 그 수장 데이먼 대시의 역할이 중추적이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엄밀히 말해 이 데뷔작의 제작은 결정적인 한 사건에 기인한다. 2002년 가을, 카니예 웨스트는 늦은 새벽 작업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마주 오는 차량과 정면충돌하는 교통사고를 당한다. 거의 그를 죽일 뻔한 사고로 턱과 다리에 심한 골절을 입고 입원 신세를 졌다. 본의 아니게 맞이한 시간과 자유. 스물다섯 열정 많은 청년은 이를 인생의 ‘터닝 포인트’쯤으로 여긴 듯하다. 사고 후 2주 만에 선공개 싱글 ‘Through the wire’ 작업에 나섰고, 이는 힙합 역사를 영원히 뒤바꾸어 놓을 앨범의 신호탄이 됐다.

< The College Dropout >의 파급력은 여러모로 막강했다. 우선, ‘칩멍크 소울(chipmunk soul)’ 프로덕션을 대중화하는 데에 기여한 앨범이다. 칩멍크 소울이란 알앤비&소울 보컬을 샘플링해 음정과 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고 해체, 재배열을 거쳐 비트에 녹여내는 작법을 말한다. 저스트 블레이즈와 함께 제이 지의 < Blueprint >에서 이미 선보인 바 있는 스타일이다. 그러나 그의 이 주특기가 본작에서야말로 제대로 꽃피었다는 게 중론이다. 1990년대 중반 우탱 클랜의 프로듀서 르자가 방법을 제시했다면 카니예는 그걸 일정 경지로 끌어올리는 데에 성공했다. 수록곡 열두 곡에 사용된 열네 개의 샘플에서 공동작곡 두 곡을 제외하면 모두 셀프 프로듀싱. 래퍼로서의 출사표이지만, 이를 아우르는 프로듀로서의 압도적인 역량이 우선이다.

진가는 당시 힙합 신의 주된 내용을 크게 벗어난 랩에서도 두드러졌다. 16세기 삽화 책에 영감받은 배경에 앙증맞은 곰 인형으로 마감질한 커버와 줄무늬 폴로 셔츠를 빼입고 나온 외형처럼 앨범은 곧 힙합 관습의 타파를 의미했다. 향락과 폭력성의 철저한 배제! 그는 여기서 ‘갭 매장에서 아르바이트하는'(‘Spaceship’) 평범한 대학 중퇴생 신분을 감추지 않는다. 그 보통의 시선을 당당히 드러내며 인종, 교육, 종교 등 다양한 사회 이슈를 담았다. 이는 나아가 후대 힙합이 포용하는 캐릭터성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졸업식에 쓸 노래를 만들어 달라는 선생님의 부탁 ‘Intro’를 돈벌이에 찌든 또래의 넋두리 ‘We don’t care’로 맞받아치는 순간 작품에 대한 예고는 끝난 것이다. 예사롭지만 이 뼛속까지 삐딱한 젊은이의 날 선 비판과 유머는 로린 힐 ‘Mystery of iniquity’를 흥겹게 가져온 ‘All falls down’에서 미국 사회의 물질주의를 꼬집고, ‘Two words’에서는 사랑도 브레이크도 없는 무자비한 조국(‘United States, no love, no brakes’)을 쥐어뜯는다. ‘모두가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지만 부자들이 가장 자존감이 낮’고 ‘마약 거래로 백인들만 주머니를 두둑이 채우’는(‘All falls down’) 사회는 청년의 눈에 그저 조롱거리에 불과하다.

결정타는 ‘Jesus walks’다. ‘예수만 빼고 다 이야기해도 된대'(‘They say you can rap about anything except for Jesus’)라 미디어의 획일화를 비판하고 종교적 가치관을 축약하는 곡이다. 총과 마약으로 득실대던 힙합 신에 신실한 찬송가다. 그는 아무래도 ‘쿨’해 보이는 것 따위에는 안중에도 없었던 듯하다. ‘Never let me down’에서 민권 운동 시대를 싸운 선조를 향해 경의를 표하고, 매우 유기적인 배치로 학력주의를 비꼰 여섯 개의 스킷 트랙으로 이 모든 전개가 실제로 대학을 중퇴한 그의 시간적 배경을 뒤로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킨다. ‘Family business’가 따뜻한 가족 이야기로 화자와 청자 사이의 묘한 유대감을 만드는 것은 덤이다.

그러나 이 걸작의 가치는 단 한 순간, ‘Through the wire’를 거칠 때 비로소 완성된다. 교통사고 일화를 세밀하게 풀어놓는 노래 속 그의 랩은 실제로 ‘턱에 철사를 단’ 채 녹음해 발음마저 어눌하다. 놀라운 수준의 입체감, 실재감이다. 샤카 칸의 히트곡 ‘Through the fire’를 샘플링해 치밀하게 피치와 위치를 매만진 비트는 힙합 역사상 가장 멋진 칩멍크 프로덕션일 것이다. 그의 말마따나 ‘비극을 승리로 맞바꾸는 챔피언'(‘But I’m a champion, so I turned tragedy to triumph’)의 자세로 음악을 향한 열의를 강변하고 있는 이 데뷔곡을 카니예 커리어 사상 최고의 싱글이라 칭하고 싶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빌보드 앨범 차트 2위에 올랐고 히트 싱글 ‘Slow jamz'(1위), ‘All falls down'(7위), ‘Jesus walks'(13위)를 배출했으며 판매고는 400만 장을 넘겼다. 평단의 호응은 그 이상이었다. < 스핀 >과 < NME > 등 다수 매체가 입을 모아 음반을 그해 베스트 앨범 리스트에 상위권으로 안착시켰고 그래미는 최우수 랩 앨범과 최우수 랩 노래 등 3개 부문 상을 안겼다. 롤링스톤이 작년 개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에서는 74위에 오르며 후대에 끼친 파급력을 인정받았다. ‘All falls down’에 피쳐링한 실리나 존슨과 로카펠라 A&R 키암보 조슈아(Kyambo Joshua)는 ‘제이 콜과 켄드릭 라마 등 리리시즘 래퍼에게 큰 영향을 준 클래식’이라 평가했다.

극적인 인생 서사나 거친 자기과시 없이도 자연스럽게 녹여낸 자기에 대한 기록과 사회 참여, 눈앞에 펼친 현재의 담담하고도 날카로운 저술. < The College Dropout >은 힙합 신에서 관습에 섣불리 매몰되거나 음악적 자아와 실제 자아가 충돌해 ‘가짜’가 되고 마는 뮤지션이 범람할수록 그 위력이 거대해질 앨범이다. 확실한 주무기, 선구적인 문법으로 옹골차게 메꾼 히트 넘버만으로도 마냥 즐겁고 또 놀랍다. 21세기 힙합을 선도할 천재는 이토록 영민하고도 화려한 등장으로 그가 일으킬 파장을 예고했다.

– 수록곡 –
1. Intro (Skit)
2. We don’t care 
3. Graduation day
4. All falls down (Feat. Syleena Johnson) 
5. I’ll fly away
6. Spaceship (Feat. GLC, Consequence) 
7. Jesus walks 
8. Never let me down (Feat. Jay-Z, J. Ivy) 
9. Get em high (Feat. Talib Kweli, Common)
10. Workout plan (Skit)
11. The new workout plan
12. Slow jamz (Feat. Twista, Jamie Foxx) 
13. Breathe in breathe out (Feat. Ludacris)
14. School spirit (Skit 1)
15. School spirit
16. School spirit (Skit 2) 
17. Lil Jimmy (Skit)
18. Two words (Feat. Mos Def, Freeway, The Boys Choir of Harlem) 
19. Through the wire 
20. Family business 
21. Last call

Categories
Album POP Album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 ‘Donda’ (2021)

평가: 3.5/5

인생이 시험의 연속이었다. 도널드 트럼프를 향한 열렬한 사랑과 그의 몰락, ‘노예제도는 선택이었다’ 망발과 직접 출마한 2020년 대선. 테일러 스위프트와 질긴 싸움과 탈진으로 인한 입원, 킴 카다시안과 이혼까지. 어디서부터 콕 집어 이야기하기 어려울 만큼 카니예 웨스트는 숱한 기행과 사건으로 스스로 자초한 논란 속 씨름을 이어왔다. 아티스트는 음악으로 난항을 딛고 도약한다지만 < The Life Of Pablo > 이후 5년간 기억할만한 개인 커리어 상의 수작도 없었다는 것이 설상가상이었다. 연속된 물의와 부진 속 그는 대중에게 ‘이해할 수 없는 인간’, ‘괴짜’, ‘관심병 종자’쯤으로 치부되는 데에 익숙한 듯 보였다.

그러나 개의치 않다는 듯 음악적 이상은 장대해져 갔다. 현실 세계에 싫증이 난 그에게는 주의를 돌릴만한 무언가, 의지할만한 무언가가 필요했다. 종교에 집중했다. 신앙심을 공고히 다져 가스펠 힙합의 장을 선포했다. 2016년 < The Life Of Pablo >가 그 예고편이었고 < Jesus Is King >은 나아갈 선로를 선명히 각인한 서막이었다. ‘Lost in the world’의 길 잃은 영혼과 어머니를 부르짖은 ‘Only one’ 이후 자신을 신(‘I am a god’)이라 칭하는 거만 속 내재한 나약한 자아를 거대한 영적 존재에 영합하여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 Donda >는 그러한 카니예 웨스트의 최근 행보를 집적하는 앨범이다. 성형 수술 부작용으로 2007년 사망한 어머니 이름이 제목의 영감이며 문법 역시 가스펠 힙합이다. 직전작과 비교해 훨씬 풍성한 들을 거리와 힙합 요소를 부각한 점은 반갑다. 그러나 그의 열 번째 정규 앨범이라는 점, 그것도 지난 한 달 내내 소셜 미디어 피드를 장악한 경기장 크기의 리스닝 파티와 세 번 연기 끝에 마침내 세상에 나온 야심작이라는 기대치 앞에 앞서는 실망감이 있어 우선 언급하고 싶다.

첫째로, 몹시 길다. < Ye >가 7곡 23분이었던 것과 극명히 비교되는 < Donda >의 2시간가량 방대한 분량은 일순 환대를 불러일으키지만 이내 피로감에 휩싸인다. 모든 노래가 큰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Jonah’에서 ‘Junya’로 이어지는 초중반부가 가장 허점으로, ‘Jonah’의 연속적인 친구 사망과 자신 처지를 노래하는 릴 더크와 보리(Vory)의 가사는 분명 뜻깊지만 강성의 스웨그 곡들 사이에 배치돼 스쳐 지나가고 만다.

오르간 사운드에 간소한 랩을 엮은 ‘Junya’는 ‘준야 와타나베가 내 손목 위!’ 훅을 반복하며 ‘음, 음’ 추임새로 마디를 채우지만 여타 카니예 노래들만큼 치밀하지 않다. 신실한 신앙 곡 사이 급작스럽게 흐름을 깨는 ‘Tell the vision’, 신심과 과시를 경유하는 ‘Praise god’의 언어도 의도가 불분명하다. 종교에 영향받은 영묘한 사운드와 일렉트로닉한 비트 두 갈래로 크게 나뉜 음향적 콘셉트는 거친 < Yeezus >와 최근 가스펠 사이의 타협점을 마련하려는 취지나, 양 축을 왔다 갔다 하는 탓에 메시지는 흐려지기 일쑤다.

둘째로, 그의 랩이다. < Donda > 속 어디에도 의자에 허리를 바짝 당겨 듣게 하는 카니예의 킬링 벌스가 없다. 콘셉트에 맞춰 노래로 승부를 거는 곡이 상당수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활달한 랩 트랙 ‘Off the grid’마저 플레이보이 카티와 파비오 포린의 젊은 에너지에 주객을 전도해버린다. 사정이 이러니 트래비스 스캇과 베이비 킴에게 벌스를 양보한 ‘Praise god’이 아쉽고, ‘Donda’와 ’24’에서 의지한 선데이 콰이어 서비스 합창과 ‘Pure souls’의 로디 리치, 셴시아(Shenseaa) 대용도 포용과 화합이라는 기독교적 이치에는 부합할지라도 상당히 장식적으로 느껴진다. 5년 전 < The Life Of Pablo >에서 켄드릭 라마를 눌러버린 벌스의 ‘No more parties in LA’와 경건한 랩을 뽐낸 ‘Saint pablo’를 상기하면 더욱 크게 다가오는 약점이다.

그래서 음반은 거대한 담론이나 의미에서 통째로 청취하기보다 오히려 마음에 드는 곡을 골라 듣기 적합한 백화점식 구성이 됐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런 면에서 작품은 상당히 만족스러운 편이다. ‘Hurricane’은 후렴의 예쁜 선율을 어루만지는 위켄드 보컬과 어두운 악기 편성으로 산뜻했던 전작과의 차이를 새기며 유의미한 변곡점을 마련한다. 로린 힐 ‘Doo wop’을 간편하게 재해석한 ‘Believe what I say’도 상기한 모호한 트랙 뒤에서 상반된 날카로움을 전한다. 다소 상투적이지만, 안정적인 팝 코드 진행에 웨스트사이드 건의 처절한 랩을 얹은 ‘Keep my spirit alive’의 감흥도 짙다.

노골적으로 신을 예찬하는 후반부 곡들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완성도로 < Jesus Is King >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 점도 좋다. 완벽한 목사 빙의의 ‘Jesus lord’는 9분가량 복음을 전파하는데, 편안한 사운드에 모친과 사별 뒤 생의 마감까지 고민한 메시지가 맞물려 부담 대신 감명으로 다가온다. ‘Come to life’는 카니예의 현재를 압축한다. 킴 카다시안과 파경에서 파생된 감정을 매끄러운 싱잉과 순백한 피아노 연주로 연출한 노래에서 그는 꿈꾸는 음악적 이상을 상당수 실현해낸다. 그 도모 방식이 새로운 스타일 개척이나 혁신적 문법 도입 대신 안정화 전법에 가까워 이전만큼 파급력을 지니지는 못하더라도 말이다.

< Donda >는 나오기 전에도, 나오고 나서도 말이 많다. 발매 후 카니예는 SNS에 음반사 유니버셜 뮤직 그룹이 자신 허락 없이 음반을 공개했다고 주장했으며 혹자는 이에 < The Life Of Pablo >에서 실행된 앨범 업데이트 현상을 기대한다. 해외 다수 평론 매체가 비판 근거로 제시하는 마릴린 맨슨과 다베이비 섭외 논란도 토론해볼 만하다. 각각 성폭행 혐의와 동성애 혐오 논란으로 규탄되고 있는 둘을 피쳐링으로 대동한 것은 회개와 성화(聖化)의 언약이 되어야 할 앨범에 설득력을 상당 부분 떨어뜨리는 방해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적, 그리고 그 외적 화젯거리에도 한 가지는 자명하다고 말하고 싶다. 상한선에 오른 것 같았던 카니예의 역량에 아직은 한계가 임박하지 않았다는 것만큼은 확고히 시사한다는 것을 말이다. 카니예 웨스트의 전체 커리어에서 유의미하게 기록될 음반일지는 두고 봐야 안다. 그러나 적어도, 현재 그에게 있어서 더없이 중요한 한 걸음인 것만큼은 분명하다.

– 수록곡 –
1. Donda chant
2. Jail 
3. God breathed
4. Off the grid 
5. Hurricane 
6. Praise god
7. Jonah
8. Ok ok
9. Junya
10. Believe what I say 
11. 24
12. Remote control
13. Moon
14. Heaven and hell 
15. Donda
16. Keep my spirit alive 
17. Jesus lord
18. New again
19. Tell the vision
20. Lord I need you
21. Pure souls
22. Come to life 
23. No child left behind
24. Jail pt 2
25. Ok ok pt 3
26. Junya pt 2
27. Jesus lord pt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