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I Am Woman

이유 있는 목소리 ‘We, Do It Together’

몇 달 전부터 SNS에 심심찮게 공유되는 포스트가 있었다.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만드는 연대의 목소리가 그 키워드였다.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 < We, Do It Together >.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을 통해 앨범 제작을 위한 자금을 모았고 이는 이들이 쏘아 올린 에너지만큼이나 금방 뭉쳐졌다. 진즉에 애초 목표 금액인 4백만 원을 달성했다. 지난 11월 16일, 이들의 프로젝트는 최종적으로 216%인 8백 6십여 만원의 성금을 모았다. 그만큼 많은 지지가 쏟아졌다.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이라고 소개하긴 했지만 12팀의 인디 뮤지션들이 만든 12곡은 록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음악가부터 활동 기간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한 아티스트들까지 고루 모였다.

인디 씬의 태동부터 선 굵은 이미지를 남긴 ‘황보령’, 국악인 이자람이 주축이 되어 만든 ‘아마도 이자람밴드’를 비롯하여 지난해 첫 정규 음반을 발매한 ‘천미지’, 문소문이란 그룹으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 ‘카코포니’, 다국적 밴드 ‘티어파크’ 등 다양한 색채의 뮤지션들이 한뜻 아래 손을 잡았다.

GIRLS INDIE] '홍대여신' 거부하는 12팀 록밴드 프로젝트가 온다 > 뉴스 | 라온미디어 - 인디음악 뉴스

시작은 에고펑션에러의 보컬 김민정이 가진 의문 덕이었다. ‘일본에는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이 많은데 왜 국내에는 없을까?’ 작은 의문은 이내 행동으로 옮길 수밖에 없는 필연적 사건들을 만난다.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을 시작으로 이후 우후죽순 터진 인디 씬 내의 여러 성 관련 문제들을 마주했다. 그는 “홍대에 탈덕 유발자들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보여주기로 마음먹는다. 여성 인권 신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 내고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여성 음악가를 더욱 널리 크게 알리자는 목표 또한 겸했다.

빌리 카터의 보컬 김지원을 동반자로, 일렉트릭 뮤직의 대표 김민규를 조력자로 얻었다. 이름하여 ‘WEWEWE 기획단’이 탄생했다. 2018년에는 여성 퀴어 음악가를 위한 기획 시리즈 공연을 두 차례 펼쳤고 2019년에는 여성 음악가, 창작자, 관객이 연대하는 ‘wewewe networking party’를 주관했다. 그렇게 2020년의 끝, 오랜 예열 끝에 < We, Do It Together >가 발매됐다. 앨범 발매 이후 11월 29일에는 ‘WeWeWe festa2020’을 열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콘서트 현장에는 40여 명의 한정된 인원만 참석했지만 유튜브 생중계로 그 열기를 전했다. 작지만 강한 움직임이 실행됐고 실현된 순간이었다.

멜로디가 부각되는 이모 팝 밴드 아디오스 오디오의 ‘숨’은 ‘너와 나의 숨을 뱉어 / 두려워 하지마’ 노래한다. 어쿠스틱 기타를 중심으로 오묘하게 차올라 어딘지 시린 감정을 삼키게 하는 다브다의 곡 ‘무궁화’, ‘잘 했습니다 / 수고 많았습니다 / 괜찮았습니다’ 직접적인 위로를 건네는 ‘Good night’의 아마도 이자람 밴드 등 음반에는 즐길 노래들 또한 많다. 모두가 이 앨범을 위해 직접 노래를 썼다. 불협화음을 부딪치며 기이한 쾌감을 선사하는 티어파크를 발견할 수 있는가 하면 ‘술에 취했다는 변명 / 먹통의 부끄러움이 왜 우리의 몫인가’ 일갈하는 에고펑션에러의 외침은 전에 없이 시원한 사이다 같은 한방이다.

이유 있는 목소리가 모여 이유 있는 변화를 썼다. 이들 앞에 ‘여성’이라는 프레임을 붙이는 것이 어쩐지 또 다른 무게를 지어주는 것만 같아 고려되지만 그럼에도 이들은 멋지게 새-흐름을 시작했다. < We, Do It Together >. 작지만 강한 조류가 균열을 낸다. 주체성을 필두로 메시지를 전하는 많은 ‘여성’ 음악가들이 있다. 이 음반은 묻게 한다. 왜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가. 그리고 이들은 듣게 한다. 이들이 설파하는 분노의 메시지와 품에 안은 연대의 마음을. 따뜻하고도 강렬한 등장이다.

Categories
Feature I Am Woman

그들과 우리의 목소리 : 여성, 그 다양한 감정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가수 헬렌 레디는 1972년 여성의 자부심을 고취하는 곡 ‘I am woman’으로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과 그래미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를 거머쥐었다. 50 여년 전 여권 신장을 노래한 그의 메시지는 오늘날 음악에서 핵심이 된 ‘허스토리(Herstory)’를 상징한다. 대중음악계 여성의 발자취를 짚어나가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정이다.

여성의 노래를 꺼낸다. 그리고 듣는다. 이 과정을 조금만 주목해보면 우리가 향유하는 대중가요 속 발화가 그리 다채롭지 않음을 깨달을 수 있다. 좋아하고, 사랑하고, 이별하고, 아파하는 굴레에서 몇 가지 감정은 지워지고, 몇 가지 감정은 순화된다.

비단 사랑 이야기뿐만이 아니다. 가요에서 사랑이 차지하는 비중을 제외하고서도 여성의 마이크를 통해 불려 져온 곡조는 적극적일 때 보다 꾸며질 때가 많았다. 사회의 입맛에 맞춘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이다.

수동성을 지운, 오롯이 내면의 얽히고설킴을 직선적인 노랫말로 다룬 4장의 음반과 4명의 음악가를 소개한다. 다양한 사랑의 단면, 다양한 감정의 단면을 제약 없이 표출하는 그들의 음악은 그간 숱하게 지나쳐온 어떤 마음들을 건드린다. 사회를 향한 연대의 목소리 또한 굽히지 않는 그들을 소개한다.

1. 오지은 < 지은 > (2007)

오지은은 로커다.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 위주의 가벼운 사운드로 구성을 잡았지만, 그의 첫 번째 정규 음반 < 지은 >의 곳곳을 수놓는 건 록의 ‘거침’을 구현하는 그의 목소리다. 지금처럼 크라우드 펀딩이 활성화되지 않았던 2007년, 그는 이 앨범을 크라우드 펀딩의 형식을 빌려 발매했다. 몇몇 곡을 먼저 들려준 뒤 선입금, 선주문을 통해 제작비를 충당했던 것인데 그의 예상보다 뜨거운 협조로 후에 이 음반은 정식 유통 과정을 밟게 된다.

낮고, 강하고, 어둡다. 때론 ‘널 보고 있으면 / 널 갈아먹고 싶어'(‘화’) 성토하다가도 ‘오늘 하늘에 별이 참 많구나 / 혼자라는 생각이 안 드는 건 이상하지'(‘오늘은 하늘에 별이 참 많다.’)노래하며 외로움을 꺼내 놓는다.

여기에는 솔직한 일기장 같은 독백이 녹아있다. 또한 과감하게 내지르는 보컬의 솟아남이 있다. 불안정한 사랑에 대한 성토, 삶의 고독, 고통, 씁쓸함이 짙은 회색의 공간으로 묻어난다. 연약함을 드러내 역으로 강해졌다고나 할까.

이후 전작과 동명의 소포모어 < 지은 >과 < 3 >을 오랜 시간을 거쳐 발매했으며 ‘오지은과 늑대들’, ‘오지은서영호’와 같은 프로젝트 그룹을 통해 다채로운 음악을 전달하고 있다. 데뷔부터 덧붙여진 ‘홍대 마녀’란 프레임을 재고하게 하는 소소한 움직임을 이끌기도 했다. 최근에는 글로 내면을 확대하며 여전히 높낮이를 품은 감정의 아슬아슬한 경계를 섬세하게 포착 중이다.

2. 슬릭 < Colossus > (2016)

슬릭은 주저 않고 앞에 선다. 논란이 되는 사건에 의견을 남기는 것을 망설이지 않으며, 연대의 힘을 믿고, 이를 연결할 줄 아는 영리함 또한 지녔다. 2017년 발매한 싱글 ‘Ma girl’이 그 대표곡. ‘나는 너의 용기야 / 더는 두려워 않아도 돼’. 노래에는 누군가가 절실히 듣고 싶었을 그 다독임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그런 그의 첫 정규작 < Colossus >는 세상의 기준으로 분류될 수 없는 존재인 Colossus를 전면에 내세운다. 범주화를 거부하는 이 발화자는 다름 아닌 그 자신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공연장을 찾던 어린 시절을 회고하고(‘공연장 맨 앞줄에’), 랩에 대한 강한 자신감(‘Rap tight’)을 뽐내는 와중 ‘내가 되고 싶은 나는 내가 아니지만 / 내가 아닌 나도 내가 아니지'(‘Liquor’) 외치며 사회와 존재 사이의 고민을 이어나간다.

기준, 규율, 시선. 나와 너를 둘러싼 어우러짐 등 이 음반을 통해 슬릭은 지나온 상념의 흔적을 타이트하게 내뱉는다. 에둘러 비판을 미화하지 않고 애써 흔들림을 포장하지 않으며 묵직하게 고수하는 신념들은 그 자체로 올곧은 에너지를 발산한다. ‘이 바닥에 제대로 된 여자 래퍼’란 캐치프레이즈를 꿋꿋이 지켜나가며 오늘도 목소리가 필요한 많은 무대에서 그를 만날 수 있다.

3. 김사월 < 로맨스 > (2018)

요즘 인디신에서 가장 바쁜 뮤지션을 꼽자면 김사월이 아닐까? 동료 음악가들의 공연에 자주 힘을 보태고, 낭독 및 강연 무대에 서고, 얼마 뒤 발매될 첫 에세이집과 얼마 전 성황리에 끝마친 단독 공연까지. 분명 김사월의 세력은 생생하게 빛나고 있다. 비단 활동성뿐만 아니다. 팬덤의 우열 순위를 가려봐도 그의 이름은 꽤나 상위권에 안착한다. 이유가 무엇일까?

어쿠스틱 기타로 건조한 포크를 유영한다. 이때 까슬까슬한 그의 음색은 음악에 시린 바람을 불러온다. 나는 이 찬 공기가 김사월의 노래를, 그의 족적을 계속 따르게 하는 일종의 자극제라고 생각한다. 끓어오르는 감정보다 어쩐지 관조적으로 읊어내는 이야기가 때로는 문학적으로 또 때로는 적당한 거리 두기로 마음을 울린다. 그렇게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본 우리의 일상은 어떤가. 안쓰럽고 서글프고 그래서 헛헛하다.

2014년 김해원과 함께한 EP < 비밀 >로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신인, 최우수 포크 음반 부문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후 2015년 솔로 음반 < 수잔 >에 이어 한 장의 라이브 음반 < 7102 >, 또 한 장의 정규작인 < 로맨스 >를 발매했다. < 로맨스 >에는 실패한 사랑의 조각이 담겨있다. 나와 너의 관계에 대해 노래하는 ‘프라하’, ‘누군가에게’, ‘세상에게’와 나에 대한 사랑의 실패를 적고 있는 ‘죽어’ 등 그가 전하는 사랑의 온도는 유난스럽지 않게 우리를 파고든다.

4. 천미지 < Mother And Lover > (2019)

2014년부터 홍대 일대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천미지의 첫 번째 작품이다. 일전에 전국 각지를 돌며 풍경이 주는 영감을 음악으로 포착해온 레인보우99의 음반 < Alphaville >을 함께 작업하긴 했지만 단독으로 주도권을 꾸린 건 이 앨범이 처음이다.

그는 여기서 여성, 엄마, 그리고 사랑을 논한다. 그것도 아주 거칠고 폭발적으로. 지금은 대중의 호응에서 조금 멀어진 개러지, 펑크, 포크를 적극 차용해 서사를 꾸리는데 그 접근법에 브레이크란 없다. 엄마의 고통을 어렴풋이 담은 ‘Satisfiable baby’, 엄마와의 불화를 가상의 상상을 통해 품어낸 ‘I want to be your mother’, 사랑의 황량함을 난폭하게 다룬 ‘Searching for lover’ 지나 유일한 모국어인 끝 곡 ‘도피’로 문을 닫는다.

지금껏 우리나라 대중음악에서 전면으로 부각한 적 없던 소재들은 이 앨범의 곳곳에 주요 동력이 된다. 대다수의 곡이 영어로 적힌 탓에 해석상의 난점은 있지만 적어도 그 어려움이 이 음반의 방향성까지 해치지는 못한다. 알싸하고 투박한 음폭이 만들어낸 선율이 모두에게 선호될 멜로디는 아니다. 다만 누군가는 정확히 기억할 울림이 있다. 귀 기울여야 할 여성의 성애, 여성의 삶과 관계가 녹아 있는 음반. 그들의 목소리가 중심이 되기까지 참으로 먼 길을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