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열정의 청춘 로커, 팬들의 마음에 도킹하다!

음악 예능 < 싱 어게인 – 무명가수전 >의 우승으로 무명 세월을 극복한 이승윤은 도리어 곡 작업에 매진했다. 2021년에 나온 실질적 데뷔 앨범 < 폐허가 된다 해도 >와 2022년 3월 첫 단독콘서트 < DOCKING >의 열띤 행보는 2023년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발견상’으로 귀결했다. 올해 1월 정규 2집 < 꿈의 거처 >를 발매한 그는 지난 2월 18일과 19일 올림픽공원 핸드볼 경기장에서 < DOCKING > 전국투어의 대장정을 알렸다.

2시간 50분과 27곡. 단독 콘서트로서도 흔치 않은 숫자다. 쪼그려뛰기의 열정적 무대 매너는 후반부의 경기장 질주로 치달았다. 공연 후 마주친 그는 지침과 동시에 행복해 보였다. 공연 중 재차 공식 팬덤 ‘삐뚜루’를 언급했고 ‘달이 참 예쁘다고’의 환호와 합창에 감격했다. 팬과의 소통을 강조한 콘서트였다.

스케일이 큰 편곡 지향점은 여러 대의 악기와 사운드 이펙트를 동원했다. 핸드볼 경기장의 고질적 음향 문제에도 인디 록 밴드 바닐레어 소속 지용희의 파워 드러밍과 싱어송라이터 복다진의 건반 연주가 돋보였다. 이승윤도 어쿠스틱과 일렉트릭 기타를 번갈아 사용하며 기타 로커의 이미지를 굳혔다.

정규 앨범 두 장과 더불어 2019년 EP < 새벽이 빌려 준 마음 >과 음악 집단 알라리깡숑 시절의 곡을 총집합했다. < 싱 어게인 > 전후로 축적한 경험치는 노련한 퍼포먼스로 이어졌고, ‘교재를 펼쳐봐’ 와 ‘꿈의 거처’, ‘영웅 수집가’의 강력한 소리망 사이로 문학적이고 섬세한 노랫말이 피어났다.

록의 시대가 지났기에 이승윤의 존재는 더욱 반갑다. 기타 기반의 사운드스케이프에 열광하는 남녀노소를 보며 록의 대중성을 재확인했다. 1990년대 브릿팝을 흡수한 청년 로커는 2020년대 한국 팝 록의 중심에 섰다. ‘야생마’처럼 사상과 자의식을 풀어헤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