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재키와이(Jvcki Wai) ‘Go back’ (2022)

평가: 2.5/5

처음 존재감을 드러낸 ‘Anarchy’는 충격이었다. 어딘가에 종속되기를 거부하듯 ‘anarchy(난장판)’를 외쳤고 탁월한 비유의 가사로 힙합 신을 꼬집었다. 감각적인 뮤직비디오와 독특한 플로우까지 그 임팩트는 순식간에 다른 힙합 아티스트들에게 뻗어 자연스럽게 여성 래퍼들의 재키와이 스타일 따라잡기로 이어졌다. 그 사이 싱글 ‘Hyperreal’과 정규 앨범의 수록곡 ‘Enchanted propaganda’까지 연이어 흥행시키며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는 듯 보였으나 재키와이는 인디고 뮤직과의 계약만료 후 돌연 잠적했다.

일부 프로젝트나 피처링을 제외하면 최근 이렇다 할 활동이 없었던 그가 한국 대표 힙합 레이블 AOMG와 손을 잡았다. 계약과 동시에 발매한 ‘Go back’은 과거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선언임과 동시에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하겠다는 각오이다. 허나 그 방향성은 모호하다. 그의 음악적 성취가 정점을 이루었던 몇 년 전을 등지고 택한 가사는 상투적이며 아티스트의 정체성인 목소리와 멜로디컬한 랩 메이킹은 이제 신선함이 떨어진다. 다수의 모조품 사이에서 독창성이 살아 있는 원조의 향은 여전히 구미가 당기지만 라틴 팝의 향기를 살짝 첨가해도 그 맛의 깊이가 부족하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그루비룸, 제미나이, 미란이 ‘Rollin” (2022)

평가: 3.5/5

각 참여진의 개성이 살아있으면서도 어느 한 점의 과잉도 없이 깔끔하게 잘 만들어진 트랙이다. 음산한 분위기와 선선한 감촉 사이에서 호기롭게 줄타기를 벌이는 그루비룸의 프로덕션, 곡 전반을 수월하게 이끄는 제미나이의 매력적인 음색, 그리고 단번에 이목을 쟁취하는 미란이의 벌스까지. 세 요소가 이루는 단단한 결합이 자꾸 손이 가는 감칠맛을 산출한다.

조곤조곤 의지를 다잡는 가사는 프로젝트를 의뢰한 젠지(Gen.G) e스포츠 팀의 포부를 대변한다. ‘롤드컵’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 리그 오브 레전드 >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기념해 제작한 곡은 올해 릴 나스 엑스가 맡은 리그 공식 주제가 ‘Star walkin”과 더불어 여전한 멸시에도 불구하고 게임이 주류 문화로 꾸준히 올라서고 있음을 기록하는 또 하나의 자료다. 흔히 생각하는 응원가 치고는 서늘하지만, 본디 게임은 냉철한 자가 이기는 법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우원재, 미노이 ‘잠수이별’ (2022)

평가: 3.5/5

습기가 가득하다. ‘잠수이별’의 잠수를 청각화하듯 먹먹한 비트가 특징이다. 담담한 래핑에 최적인 우원재와 반주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미노이의 보컬, 모든 분위기가 조화롭다. 예능 유튜브 < 미노이의 요리조리 >, ‘우리집 고양이 츄르를 좋아해’ 등 평소 재밌는 모습으로 얼굴을 비추던 미노이와 노련하게 곡을 끌어가는 우원재의 역량이 새삼 드러난다.

2020년 빌보드 정상을 차지한 로디 리치의 ‘The box’의 도입부가 스쳐가지만 노래는 반전 없이 잔잔한 분위기를 끌어간다. 2절 후렴에서는 빈지노의 ‘Aqua man’과 비슷한 뉘앙스를 풍기며 금관악기 톤의 소리로 좌우를 자극한다. 재치 있을 거라 생각한 ‘진동이 울리면 확인해/근데 허경영 Oh no’라는 가사는 오점이다. 순간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