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2022 에디터스 초이스(Editors’ Choice)

조금이나마 서로의 거리를 좁힐 수 있었던 한 해였다. 그간 억눌려있던 모든 것들이 터져 나왔듯 음악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들 앞에 나타났다. 희로애락으로 가득 찼던 2022년, 이즘 에디터의 일상을 파고든 노래는 무엇일까. 각자 취향을 녹여내 엄선한 플레이리스트지만 필자들이 독자 여러분에게 보내는 소소한 선물이기도 하다. 음악을 사랑하는 모두의 가슴 깊은 곳까지 진심이 전해지길 바란다.

정다열’s Choice

릴 나스 엑스(Lil Nas X) ‘Star walkin”
깜빡일지언정 멈추지 않았던 별들의 서사시.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250(이오공) ‘춤을 추어요’
세월에 익어 물든 기타 연주와 목소리를 벗 삼아.

언텔(Untell) < Human, The Album >
인간 그리고 나는 누구인가. 근본적인 물음에 날을 부딪치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향연.

신해경 ‘리얼러브 (Feat. 청하)’
양극단의 아티스트를 이어준 오작교 위의 황홀경.

그웬노(Gwenno) < Tresor >
익숙한 듯 낯선 미지 세계 속 보물. 위로라는 감정에 언어 장벽이 무슨 소용인가.

장준환’s Choice

MJ 렌더맨(MJ Lenderman) < Boat Songs >
마이크(The Microphones)를 든 채 인도(Pavement) 위 나타난 현대판 ‘마티 맥플라이’.

길라 밴드(Gilla Band) ‘Post Ryan’
어느 날 자택으로 배달된 택배. 그리고 이 불길한 난수 암호에 빠져들게 된 당신.

선과영 < 밤과낮 >
실이 바쁘게 오가듯, 미소가 배시시 오가듯. 그 소박함이 넘실넘실.

펜타곤 ‘관람차 (Sparkling Night)’
빠져들기까지 10초, 벗어나기까지 10개월. 키노 감성의 무서운 마력이란.

파더 존 미스티(Father John Misty) < Chloë And The Next 20th Century >
세기를 연결하는 낭만의 무도회장. 미스터 틸먼, 나와 함께 춤을 추겠어?

염동교’s Choice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King Gizzard & Lizard Wizard) < Ice, Death, Planets, Lungs, Mushrooms And Lava >
1970년대의 잼(Jam)이 그립다면.

톰 제(Tom Zé) < Língua Brasileira >
MPB와 트로피칼리아(Tropicália)의 거목, 건재함을 과시하다.

FKA 트위그스(FKA Twigs) < Caprisongs >
스멀스멀 중독성 있는 앨범. 자꾸 손이 간다.

메가데스(Megadeth) < The Sick, The Dying… And The Dead! >
역시 메탈리카보다는 메가데스! 여전히 날카롭고 신랄하다.

뷰 파르카 투레, 크루앙빈(Vieux Farka Touré, Khruangbin) < Ali >
나른한 아프로 사이키(Psyche). 결은 다르지만 진저 베이커와 펠라 쿠티의 협연이 떠오른다.

김성욱’s Choice

프로미스나인(fromis_9) ‘Dm’
머리 아픈 콘셉트들 사이 투명하게 빛나는 보석. ‘눈을 못 피하게, 말도 못 돌리게’ 만들었다.

리치맨과 그루브나이스 < Memphis Special One Take Live >
멤피스가 주목한 ‘우리들의 블루스’. 2022 올해의 발견.

야드 액트(Yard Act) < The Overload >
갱 오브 포와 카이저 치프스 그사이 어딘가. 신랄하고 유쾌한 브렉시트 시대의 포스트 펑크.

비치 하우스(Beach House) < Once Twice Melody >
비치 하우스의 모든 앨범을 사랑한다. 이 앨범도 그렇다.

씨에이치에스(CHS) ‘Highway’
‘여름’하면 떠오를 노래가 하나 추가됐다. 8월 휴가철, 꽉 막힌 서울양양고속도로 위에서 들어보자.

임동엽’s Choice

텐투포(10 to 4) < 말하기 듣기 쓰기 >
예측할 수 없는 아름다움.

힙노시스 테라피(HYPNOSIS THERAPY) < Hypnosis Therapy >
정말로 최면에 걸린 줄 알았다.

이권형 < 창작자의 방 >
그저 음악을 할 뿐.

Various Artists < Elvis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위대한 유산.

원슈타인 ‘존재만으로’
막힘없이 편안하다.

김호현’s Choice

해파 < 죽은 척하기 >
불안은 이렇게 사랑을 끌어안고 기어이 잠깐의 휴식을 만들어 낸다.

이수정 & 강재훈 < Stellive Vol.56 | Duology: Live At Stellive >
한국 재즈의 미래를 이끌어 갈 차세대 주자들의 근사한 조합.

제이콥 콜리어(Jacob Collier) ‘Never gonna be alone (Feat. Lizzy McAlpine, John Mayer)’
천재 마케팅을 하려면 이 정도는 되어야.

로버트 글래스퍼(Robert Glasper) < Black Radio III >
벌써 세 번째 시즌을 맞이한 최첨단 흑인음악 실험실.

도미 앤 제이디 백(DOMi & JD BECK) < Not Tight >
재즈 역사를 이끈 거인들의 어깨 위에 새로운 세대가 올라서다.

손민현’s Choice

글렌체크(Glen Check) < Bleach >
아직 어른이 되긴 이르다는 근거 없는 확신이 차오른다.

이찬혁 < Error >
어떤 예술가의 기행은 시대를 여유롭게 스쳐가기도 한다, 파노라마처럼.

9와 숫자들 < 토털리 블루 >
코로나에 무뎌진 현대인들을 위한, 시기적절한 푸른 위로 한 가닥.

에이비티비(ABTB) < ⅲ >
더 거세게, 더 열정적으로, 더 록스럽게! 새 연료를 주입한 ABTB의 질주.

키스 에이프(Keith Ape) < Ape Into Space >
해묵은 갈증을 시원하게 해소해 주는 ‘Mull’.

한성현’s Choice

자브 이스…(JARV IS…) < This Is Going To Hurt (Original Soundtrack) >
자비스 코커만의 방식으로 보듬는 ‘따끔’한 세상살이.

1975(The 1975) < Being Funny In A Foreign Language >
괜히 머리 싸매지 말고 쉽게 쉽게 삽시다.

미츠키(Mitski) ‘Glide (cover)’
인간과 로봇,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기억. 에테르는 실존할지도 몰라.

트리플에스(tripleS) ‘Generation’
유닛 시스템, Z세대의 시대정신? 다 떠나서 그냥 즐겁게 랄랄라.

유아 ‘Lay low’
유혹 대신 냉소를 품은 세이렌의 노래지만 홀리는 건 마찬가지.

백종권’s Choice

일삼공공(1300) ‘Rocksta’
시드니에서도 한국 힙합. 음악으로 맺은 FTA.

잭슨(Jackson Wang) < Magic Man >
꾸준한 탈피의 결과물. 장난기 넘치던 악동이 제대로 마이크를 쥐었을 때.

엑스지(XG) ‘Tippy toes’
한국식 제조 과정으로 구현한 미국의 맛. – (Made in Japan)

버둥 < 너에게만 보여 >
올 한 해 발버둥이 석연치 않았다 해도. 나, 너, 우리를 위한 ‘응원’ 소곡집.

사커 마미(Soccer Mommy) < Sometimes, Forever >
웰메이드 얼터너티브 록이 선사하는 평온한 꿈의 체험. 옥에 티는 풋볼 마미가 아니라는 점.

소승근’s Choice

우아!(woo!ah!) ‘별 따러 가자’
이 노래는 우아!가 과소평가받고 있다는 가설을 확인시켜준다.

우연, 민서 ‘Make u move’
브레이브걸스의 ‘운전만해’ 이후 최고의 시티팝.

트라이비(TRI.BE) ‘In the air (777)’
말이 필요 없다. 이게 대중음악이다. 최고의 야구 응원가.

뉴진스(NewJeans) ‘Hype boy’
대중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요 멜로디와 쉬운 안무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이채연 < Hush Rush >
수록곡이 적다는 것이 유일한 단점이다.

정리 및 이미지 편집: 정다열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찬혁 ‘Error'(2022)

평가: 4/5

에러, 죽음, 대중성

악동뮤지션에서 ‘악뮤(AKMU)’로 8년여간 활동을 이어간 끝에 발매한 이찬혁의 첫 번째 솔로 작은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속에서 꽃폈다. 그 관심은 음악이 아닌 ‘행동’에서 발아한다. 음반이 공개되기 전, 의외의 장소에서 독특한 모습으로 목격되는가 하면 몇몇 음악 방송에서 보여준 예측 불가의 퍼포먼스는 그의 음악을 듣지 않고 보고, 읽게만 했다. 노래와 음반이 화제가 되지 않았고, 이찬혁의 행동이 연일 텍스트화 되어 온라인을 떠돌았다.

‘다리꼬지마’, ‘라면인건가’ 등 일상적인 소재로 노래를 만들던 그가 사랑(‘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자유(‘Bench’), 그리고 신보와 같이 죽음을 노래하기 시작했지만 세상의 시선은 그 변화를 따라올 만큼 민첩하지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언제부터인가 이찬혁에게선 과거가 보이지 않았다. 대중은 여전히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땀난 손을 연신 닦으며 통기타를 쥐던 ‘찬혁이’를 기억하지만, 우리가 알던 그때 그 시절의 찬혁이는 이 자리에 없다.

이를 바로 보지 못할 때 대중과 이찬혁 사이의 에러(Error)가 극심해진다. 음반의 내러티브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번뜩이는 퍼포먼스가 ‘기행’, ‘예술병’ 등의 단어로 격하되는 것이다. 유독 이찬혁의 일거수일투족이 밈(meme)으로 소비되는 현상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매끈한 선율, 유기적인 수록곡, 담백한 무게감으로 죽음을 회고하게 하는 압축적 서사까지, 작품마다 완숙한 성장을 보였지만 상찬은 넉넉하지 않았다.

그런 면에서 신보는 지난했던 과거와의 완벽한 이별이자 이찬혁 성상 서사의 확실한 변곡점이다. 파워풀한 일렉트릭 기타로 죽음을 목격하는 순간을 다룬 ‘목격담’, 완연한 EDM으로 사고 현장을 묘사하는 ‘Siren’, 생의 마지막 파노라마처럼 스쳐 가는 기억을 복고풍의 신시사이저 선율 위에 녹여낸 ‘파노라마’. 앨범을 수놓은 11개의 수록곡은 사고, 죽음의 문턱, 이별, 죽음, 장례의 과정을 착실히 좇아가며 이야기를 쓴다.

하나의 콘셉트 음반으로 죽음이란 무거운 주제를 쓰지만 대중성을 놓치지 않았다. 이찬혁은 늘 대중적이며 친대중적인 음악을 만들었는데 그 작곡 능력이 이번에도 빛을 발한다. 귀에 감기지 않는 멜로디가 하나도 없다. 앨범의 중간 위치에서 삶의 후회를 논하는 ‘뭐가’는 발라드로 마음을 울리고 착하고 따뜻한 후크송 ‘내 꿈의 성’은 아기자기한 초창기 악뮤 음악을 떠올리게 한다. 또, 웅장한 가스펠로 작품의 문을 닫는 ‘장례희망’은 짜릿하다. 예상치 못한 가스펠이 터져 나올 때 저마다 각기 다른 감정을 터트릴 것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마음을 졸이던 어린 날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이를 인정하고 이제 이찬혁을 다시 읽어야 한다. 죽음을 사유하는 철학적 접근에선 신해철이 엿보이고, 다양한 장르를 매끈하게 저울질하는 모습에선 윤상이 떠오른다. 이렇게 다양한 글감으로, 이토록 근사한 음반을, 주기적으로 만들어내는 음악가라니. “찬혁이 바라보는 모든 것은 음악이 된다”. 탈피, 환골, 변태. 에러 없는 성장이 가속도를 탔다.

– 수록곡 –
1. 목격담
2. Siren
3. 파노라마
4. Time! Stop!
5. 당장 널 만나러 가지 않으면
6. 마지막 인사(Feat. 청하)
7. 뭐가
8. 부재중 전화
9. 내 꿈의 성
10. A day
11. 장례희망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이승철 ‘우린 (Prod. by 이찬혁 of AKMU)’ (2021)

평가: 3/5

악동뮤지션의 찬혁이 직접 곡과 가사를 썼다. 선배 뮤지션 이승철의 데뷔 35주년을 맞이한 기념 싱글로 피아노를 중심으로 점점 고조되는 진행이 일품. 젊은 시선으로 사랑 이후의 감정을 써낸 찬혁과 이를 표현한 보컬 이승철 사이에 어떤 시대적인 격차가 느껴지지 않는다. 매끄럽게 소화되고 매끄럽게 흘러가는 곡. “우린 / 우린 / 우린 사랑했죠” 노래하며 한 템포 숨을 죽였다 다시 퍼지는 구성 역시 튼튼하다. 조금은 담백한 구성이 단점으로 자리할 수 있으나 그 한계만큼이나 깔끔한 인상을 전해준다. 좋은 시너지의, 핵심만 담은 발라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