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제이클레프(Jclef) ‘O, Pruned’ (2023)

평가: 2.5/5

누군가의 손길을 바라는 음악들과 못내 악보를 접는 아티스트들에 비하면 제이클레프의 기다림은 상대적으로 길지 않았다. 싱글 ‘multiply’와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 공개한 믹스테잎 < Canyon >으로 서서히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더니 정규 1집 < Flaw, Flaw >를 그 해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완성하며 공고한 팬층을 쌓아 올렸다. 

앨범 단위의 작업은 약 5년 만이다. 염세적인 태도로 세상의 흠집을 흥얼거렸던 지난 음반에 비해 < O, Pruned >는 가까운 것들이 남기고 떠난 온기에 집중한다. 연인이나 친구 혹은 신을 떠난 동료 뮤지션, 과거의 자신 등을 대상으로 한 노랫말은 어느 쪽으로 읽어도 지나친 현학없이 울림을 전한다.

어쿠스틱 기타를 전면에 내세운 변화는 노랫말에 힘을 싣는다. 얼터너티브 사운드로 트렌드의 발을 맞췄던 전작과 달리 잔잔한 기타 선율로만 곡을 전개하는 ‘Jonn’s guitar (take1)’ 등의 트랙은 앨범의  명확한 지향을 드러낸다. 덕분에 앨범은 일체감을 형성하며 약 20분간의 러닝타임동안 옆자리에 앉아 직접 연주를 듣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콘셉트와 구성이 잘 맞아떨어져 분명히 매력을 확인할 수 있음에도 미처 지우지 못한 레퍼런스의 향기가 짙게 남아 감흥을 줄인다. 담백한 제이클레프의 목소리 덕에 흐릿하게나마 개성을 유지하지만 소리의 질감을 의도적으로 뭉개는 피비 알앤비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 운용방식마저 프랭크 오션 < Blonde >와의 무시하기 힘든 교집합으로 독창성을 떨어뜨린다.

긴 시간만의 복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가수의 이름을 가져오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박수가 멈칫거린다. 단순한 비교를 피하기 위해선 참조 영역에 정당한 설명을 덧붙여야 하지만 프랭크 오션 음악에 비해 조금 더 따뜻함이 묻어난다는 점을 제외하면 차별성에 대한 설득력이 부족하다. 아쉽지만 5년 전 충격적인 등장에 비하면 설익은 복귀이다. 

– 수록곡 –
1. O, pruned
2. O, pruned, part ii (Feat. Hoody)
3. Johnny’s sofa
4. Jonny’s guitar (take 1)
5 Derbyshire
6. 무언가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르세라핌 ‘Fearless'(2022)

평가: 2/5

부유하는 메시지 : 소녀들은 왜 인어공주가 되었나

방탄소년단을 품은 거대 기획사 하이브와 산하 레이블 쏘스뮤직이 함께 만든 걸그룹 르세라핌의 화력이 식지 않고 타오른다. 5월 2일 데뷔 이후 활동 근 한 달 차에 접어든 지금까지 (여러 의미로) 화제의 중심에 섰다. 데뷔 첫날 17만 장의 음반을 팔아 치우며 역대 걸그룹 최대 판매량을 기록하는가 하면 벌써 여러 개의 음악 프로그램 1위를 거머쥐었다.

르세라핌. 즉, 나는 두렵지 않아(IM FEARRLESS)란 글자의 순서를 바꿔 만든 이름만큼 두려운 것 없는 행보다. 거창한 콘셉트와 음반 서사의 확장성을 부여하는 뮤직비디오까지 이들의 앞을 막아설 것이 없는 듯하다. 반면 곡은 의외로 가볍다. 화려하게 사운드를 섞지 않아 단조롭고 정적이다. 타이틀 ‘Fearless’는 자신들을 ‘겁 없는 새로운 b**ch’라 명명하지만 소리를 터트리지 않고 숨을 참는 쪽을 택한다.

‘Blue flame’이나 ‘The great mermaid’도 마찬가지다. 음악적 욕심을 빨간색보다 더 뜨거운 파란 불꽃에 비유한 ‘Blue flame’은 타이틀과 같은 기조를 유지, 앨범에 매끄럽게 녹아든다. ‘하날 위해선 하날 포기하’지 않고 모든 걸 다 갖겠다고 말하는 ‘The great mermaid’도 그렇다. 앞선 B**ch(나쁜 여자)에서 인어공주로 비유 대상만 바꾸었을 뿐 전체의 톤과 메시지는 같다. 다국어로 비장하게 시작하는 첫 곡 ‘The world is my oyster’부터 일관된 논조로 ‘주체성’에서 시작된 ‘차별점’을 내세운다. 하지만,

‘예쁘기만 하고 매력은 없는 / 애들과 난 달라 달라 달라’라고 말하는 있지(ITZY).
‘또 이 어려운 걸 해내지 / 우린 예쁘장한 savage’라고 외치는 블랙핑크.

등의 연장선상에 선 르세라핌이 꺼낸 ‘두렵지 않다’는 주체성 전략은 그다지 차별적이지 않다. 오히려 이제 유행을 넘어 장르가 된 ‘걸 크러시’를 마케팅 전략으로 선택한 것이 또렷이 보인다. 이들의 ‘피어리스’엔 빈틈이 크다. 카메라를 노려보다가도 끝 곡 ‘Sour grapes’에선 ‘눈물 나게 시큼한 게 사랑이면 맛보고 싶지 않다’ 말하는 ‘소녀’로 변모한다. 그룹의 다양한 면을 보여준다손 쳐도 이러한 콘셉트는 여전히 석연찮다.

새로운 차원에 들어오듯 SF적인 첫 곡이 지닌 탈시대성, 과도한 콘셉트가 만든 이미지의 과잉, 이를 통해 실제 주체인 소녀들의 주변화까지. 걸 크러쉬에서 비롯된 주체성이라는 가면을 씀으로써 직접 성애의 대상이 되고, 현실과 동떨어진 콘셉트의 비현실성을 끌어와 실제와 선을 긋는 것마저 전형적이다. 소녀인 듯, 소녀 아닌, 소녀 같은 그룹이 됨으로써 이들이 은근하게 드러낸 살색은(혹은 이를 바라보는 것은) 정당성을 부여 받는다.

테니스복에 하이힐을 신은 의상과 엎드려 몸을 흔드는 뮤직비디오 속 장면 등 그룹의 지금엔 문제가 많다. 한 끗 차이로 색을 달리하는 숭배와 혐오 사이 대상을 주체로 인식하지 않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르세라핌이다. 두려울 게 없다고 드높이는 이들이 완벽한 곡 소화력을 선보일지라도 그 핵심은 지나치게 흐리다. 껍데기만 남은 메시지. 인어공주 등의 비유로 어벌쩡 시도한 대상화하기가 커다란 구멍을 낸다. 자꾸만 그룹 너머 ‘기획’사가 호도한 의도를 생각하게 된다.

-수록곡 –
1.The world is my oyster’
2.Fearless
3.Blue flame
4.The great mermaid
5.Sour grapes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호미들 ‘Generation'(2021)

평가: 2.5/5

공정성의 시대, 호미들이 사랑받는 법
오늘날 서사 없는 ‘머니 스웩(swag)’은 인정받지 못한다. 특히 스웩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힙합에서 스웩이 스웩으로써의 역할을 하려면 제대로 된 디딤돌이 있어야 한다. 음악 청취자가 그들의 자기과시를 인정하고, 동경하고, 그리하여 그들을 ‘진정한 래퍼’로 받아들였을 때 스웩은 스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출생으로 동네 친구 셋이 모여 만든 호미들에게 스웩의 디딤돌은 가난했던 어린 시절이다. 처음 대중의 관심을 끈 EP < Ghetto kids >를 비롯해 이들이 계속해서 끌어오는 게토(빈민가) 서사는 호미들 스웩의 진정성을 만든다. 즉, ‘주머니가 무거워서 바지가 안 올라가'(‘빽’)는 삶을 사는 현재는 ‘매일 밤 날 태우고 여주로 데려가던 그때 그 봉고차'(‘내 목소리가 들리지’), ‘가끔 영등포 폐가 때처럼 땀 흘리며 인나'(‘말했었잖아’)던 시절과 등치가 되며 그들만의 정체성이 된다.

정규 1집 < Generation >엔 그런 정체성이 가득 차 있다. 또한 이는 그들 스웩에 서사적 완결성을 부여한다. ‘Business man’의 ‘쟤네들은 가사 쓸 때 전부 허위로 / 우린 우리만의 노력으로 전부 이뤄’나 ‘뚝’의 ‘바쁜 척해 술 리에서 보여 매일 / 우린 여전히 작업해 / 나는 직접 만들어 내 돈’이란 발화는 가난했던 시절과 맞닿으며 무결한 성장 서사로 완성된다. 누구와 달리 정말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회고하며 래퍼로서의 진정성을 내세우는 것이다.

‘진정성’은 호미들에게 있어 양날의 칼이다. 가난이 그들만의 ‘정체성’이자 ‘진정성’의 토대가 될 수 있지만 이후 이를 풀어나가는 방식은 지나치게 전형적이다. 차, 명품, 가족, 여자. 부와 명예를 과시하기 위해 소환하는 소재가 지극히 평범하고 익숙하다 못해 일면 시대착오적이란 느낌까지 든다. ‘Intro’부터 ‘리제로’로 이어지는 전반부는 가히 레퍼런스의 반복이자 누구나 쓸 수 있는 비유의 절정.

‘벌고서 보니까 이거만 한 게 없더라 ** 최고야 명품과 사치 ferrari 488′(‘Generation’), ‘우리가 바지 내릴 때 넌 앞머리나 내리고'(‘No hook’), 등 차나 명품을 향한 예찬을 힙합 문화의 허슬에 엮어 해석하더라도 거의 모든 곡에 쓰이는 혐오 표현은 호미들이 대표하고자 하는 대상이 누구인가 묻게 한다.


‘리제로’의 다음 표현을 보자. ‘밥 먹을 땐 아무거나 먹지만 / 하룻밤을 보낼 땐 언제나 미식가’. ‘RPM 8000’은 ‘그녀는 먹고 싶어 해 내 빠삐코 / 백화점으로 산책 화장실 갈 때 아니면 1층만 가네’라고 말한다. 이 외에도 그들의 곡 안에서 여성은 ‘싼 티가 나는 여자 BJ'(‘다 그대로’)로, ‘bitch’로, 나아가 ‘hoe girl’로 차용될 뿐이다.

결국 이들이 대표하고 연대하고 손을 얹는 것은 ‘차용되지 않고 차용할 수 있는, 차용하는 것을 꿈꾸는 자’들 이다. 음반 명인 ‘세대(generation)’가 지칭하는 것 역시 앞선 예시의 사람만을 포함한다. 결국 ‘난 끝까지 너네의 힘이고'(‘하루가 달리’)와 ‘이젠 우릴 믿고 도전해 my friend'(‘Outro’)로 이어지는 음반의 마무리까지 어떤 청취 층은 끝끝내 비가시화된다.

공정성의 시대 호미들의 성공이 ‘특정 세대’에게 사랑을 받는 건 ‘한 세대’의 모습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가난, 성공, 책임감, 여성의 수단화 등등. 이 앨범은 그 쓰라린 초상을 보여주고 그 초상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호미들의 넥스트 스텝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건 그들이 이 배제를 어떻게 풀어가며 ‘가난 서사’를 어떻게 발전시키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호미들의 머니 스웩, 진정성, 정체성이 짙어지느냐 흩어지느냐는 이 음반을 시작으로 다시 출발선 앞에 섰다.

– 수록곡 –
1. Intro
2. Generation(Prod. by Leansmoke)
3. No hook
4. 빽! 
5. 쟤넨 다 바보
6. 리제로
7. 말했었잖아 
8. 내 목소리 들리지 
9. 다 그대로 
10. Business man
11. RPM 8000
12. 뚝
13. 하하호호
14. 하루가 달리
15. Outro

Categories
Album POP Album

미츠키(mitski) ‘Laurel hell'(2022)

평가: 4/5

커리어 정점을 안긴 < Be The Cowboy >(2018) 이후, 2019년 돌연 활동 중단을 선언한 미츠키. ‘지옥의 월계관’이란 뜻의 6번째 정규음반은 그런 그가 모처럼 들고나온 신보다. 멈췄던 음악 활동의 시작을 ‘지옥’으로 응축해 설명하다니. 늘 솔직한 속내를 가감 없이 드러내 왔던 그이지만 과연 이번 앨범은 어느 때보다 선명하게 내면을 공개한다. 음악 신을 떠났던 이유. 사람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 자신이 느낀 감정들. 그 모든 것이 여기, 지옥의 월계관이란 이름으로 흘러나온다.

일본계 미국인으로 학업과 연계해 발매한 2장의 음반을 거쳐 3집 < Bury Me At Makeout Creek >(2014)부터 평단과 대중의 관심을 받는다. 신시사이저와 일렉트릭 기타, 나아가 전자음을 기초로 모든 곡을 직접 만들고 표현했다. 콘셉츄얼한 노래도 노래이지만 미츠키를 하나의 명사로 만든 것은 단연, ‘표현력’.

초창기 대표곡 ‘Your best American girl’의 뮤직비디오 속 미츠키는 한때 ‘최고의 미국 여자’가 되고자 했던 자전적 경험을 직접 풍부하게 연기한다. 별다른 의상도 갖추지 않은 채, 노메이크업으로 무대에 올라 음악을 토해내는 여러 라이브 영상은 또 어떤가. “무대에 섰을 때만 진정한 내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고백한 한 인터뷰 속 말처럼 음악 앞에서 미츠키는 누구보다 투명하다. 그 진정성이 곧 음악과 무대를 휘어잡는 장악력으로, 표현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11개의 수록곡. 30분 남짓의 러닝타임. 길었던 휴식 기간에 비해 얼핏 단출한 듯 보이는 챕터는 그래서 더 빠르게 핵심을 파고든다. ‘어둠으로 조심스럽게 들어가자’ 노래하는 첫 곡 ‘Valentin, Texas’는 일순 돌변하는 사운드로 듣는이를 ‘풍덩’ 음반 안에 빠뜨린다. 곧이어 ‘일하는 것의 의미를 찾지 못하겠다’ 말하는 어두운 분위기의 ‘Working for the knife’와 전매특허인 감성적 신스팝 트랙 ‘Stay soft’로 이어지는 도입부에 주목해보자. 이는 중후반부 앨범이 견인할 응집력을 예고하고 대표한다.

이 단단한 음악 사이 연결은 늘어지는 ‘Everyone’, 잔잔한 엠비언트 사운드만 담긴 ‘I guess’ 앞에서 위기를 맞는다. 해답은 역시 메시지. 의도적으로 늘어뜨린 선율은 되려 그 노랫말에 주목하게 하는데 이를 통해 미츠키는 어둠을 향해 문을 열어 두었지만 그곳으로 가고 싶지 않은 마음들을 고백한다. 특히나 중후반부 ‘The only heartbreaker’, ‘Love me more’을 거쳐 업, 다운 템포를 오가는 ‘There’s nothing left for you’, ‘Should’ve been me’에 다 다르면 서로 다른 분위기를 배치한 음반의 구성이 뚜렷한 목적의식을 지녔음을 깨닫게 될 수밖에 없다.

미츠키는 신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Laurel Hell >은 변신을 위한 사운드트랙과 같다.”

그렇다면 지옥을 키워드로 음반을 표현하고 대부분의 수록곡에 ‘어둠’을, ‘지옥’을 소환한 작품은 결국 무엇을 위한 변신을 선언하는가. 정답은 끝 곡 ‘That’s our lamp’에 있다. 마치 흥겨운 축제의 BGM인 양 진행되는 노래는 혼섹션을 활용해 희망찬 삶의 사운드트랙을 그린다. ‘램프(lamp)’의 빛이 ‘인생은 아름답다’는 고백의 단서가 될 수도 혹은 그럼에도 ‘쓸쓸한 삶의 단면’을 묘사한 것일 수도 있지만 확실한 건 그가 마침내 빛을 주목했다는 것이다. 어두울수록 더 밝게 빛나는 것이 램프의 속성인 것처럼 음반이 바라본 변신은 종국에 절망 너머의 햇살로 향하고 있다.

– 수록곡 –
1. Valentine, Texas
2. Working for the knife
3. Stay soft
4. Everyone
5. Heat lightning
6. The only heartbreaker
7. Love me more
8. There’s nothing left for you
9. Should’ve been me
10. I guess
11. That’s our lamp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버둥 ‘지지않는 곳으로 가자’ (2021)

평가: 3.5/5

우리는 모두 자주 버둥거린다.
애써도 애쓴 만큼 결과물이 따라주지 않는, 날들의 연속. 우연히 버둥의 음악을 만났다. 선홍색의 불빛이 짧은 머리의 웅크리고 있는 여성을 비춘 커버. 어딘가 외롭고 쉽게 그 의중을 찾아낼 수 없는 분위기가 감돌았다. 첫 곡 ‘처음’을 재생. 이내 자세를 고쳐 앉고 음반 전체를 꼼꼼히 받아 적었다.

버둥. 나름 열심히 음악을 따라 듣고 있지만 그리 익숙지 않은 이름이었다. 하지만 완숙한 멜로디가 돋보였다. ‘00’, ‘Muse’ 등의 신시사이저로 문을 열고 잘 들리는 선율로 무장한 곡들이 있었고 가사 또한 특별했다. ‘00’은 ‘영영’이라는 단어가 반복되고 곧 ‘1과 2가 지켜보길 / 3과 4가 지나가길’하는 식으로 숫자를 이용해 서사의 흐름을 살렸다. ‘연애’는 ‘날 네 것으로 널 내 것으로 / 만들지는 않을 거야’ 노래하며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고 확실하게 표현한다.

쉽게 말해 직접 쓴 노랫말은 음악을 통해 그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선명하게 내뱉고 있었다. 음악적 시선이 뚜렷한 곡. 난해하고 알 수 없는 단어들로 뭉뚱그리지 않고 시적이되 사고를 명징하게 풀어낸 작품은 뮤지션 ‘버둥’을 한정하기보다 오히려 확대했다. 마치 이쪽에서 ‘당신은 어떤 삶을 살아왔나요?’ 묻게 하고 더불어 ‘당신의 이야기를 더 듣고 싶어요.’하게 한달까.

그렇게 2018년에 첫 EP < 조용한 폭력 속에서 >를, 2019년에 < 잡아봐! >를 발매했음을 알게 됐다. 두 개의 짧은 음반과 몇 개의 싱글을 거쳐 당도한 이번 정규 앨범은 오랜 시간 버둥거리며 부단히 노력한 흔적을 보여준다. 우선 대중을 놓치지 않는다. 선율이 전작에 비해 확실히 매끄럽다. 타이틀 ‘씬이 버린 아이들’을 들어보자. 그간의 싱글 중 가장 밝은 기조를 띈 이 노래는 둥둥거리는 베이스와 리듬을 타게 하는 신시사이저가 어우러지며 매력적인 후렴을 만든다.

또한 더 풍성해졌다. 신시사이저의 활용이 단정하고 깔끔하게 적소에서 터진다. ‘공주이야기’와 같은 노래에선 오르간, 브라스 세션 등을 활용해 전에 없던 터치를 담았다. 즉 이 음반은 인디 뮤지션으로서 모든 것을 스스로 해오던 그가 ‘지지 않았음’을 그래서 버둥을 주목해야 함을 증명한다. 제 색을 찾으며 발전한 흔적이 여기 있는 것이다.

버둥거리다. 힘에 겨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애를 쓰다. 버둥이 쓰는 음악은 어떤 순간들을 지나치고 또 어떤 기억들을 묻기 위한 삽처럼 느껴진다. 완전한 것을 노래하지 않고 조금은 불편하고 아프고 답답한 것들을 써 내린 음반. 자주 버둥거리며 살아가는 우리를 비추기 충분하다. 버둥, 버둥. 그의 이야기가 계속 궁금하다.

– 수록곡 –
1. 처음
2. 00
3. 나의 모든 슬픔이
4. 그림
5. 공주이야기
6. Muse
7. 씬이 버린 아이들
8. 파아란
9. 연애
10. 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