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엘튼 존, 브리트니 스피어스(Elton John, Britney Spears) – Hold me closer (2022)

평가: 2/5

거장의 콜라보레이션은 2022년에도 계속된다. 본인의 옛 노래를 조합해 영국 싱글 차트 1위, 미국 빌보드 7위에 오른 두아 리파와의 듀엣 ‘Cold heart’로 본 재미가 쏠쏠했는지 공식은 동일하다. 2000년대의 팝 프린세스를 대동한 신곡은 ‘Tiny dancer’, ‘The one’, ‘Don’t go breaking my heart’를 재료로 삼았다. 리드미컬한 베이스에 덧대어지는 청명한 음색의 건반이 서늘한 댄스장의 풍경을 그려낸다.

영국과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모두 높은 순위로 홈런을 기록했으나 노래만 보면 파울이다.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목소리는 사운드에 뒤덮인 탓에 간간히 등장하는 개성 강한 음색 외에는 존재감이 미약하고, 중심을 지탱해야 할 엘튼 존은 뒷전으로 물러나 공허한 무대를 관망하고 있다. 분위기는 있지만 댄서는 없다. 그나마 사생활 관련하여 한동안 힘든 시기를 보낸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6년 만에 돌아왔다는 사실이 반갑다.

Categories
Editor's Choice

2021/10 Editor’s Choice

스텔라장(Stella Jang) < Stairs >

최소한의 얼개로도 또랑또랑하게 울리는 맑은 멜로디의 힘. 언제 들어도 포근한 목소리.
추천곡 : ‘집에 가자’, ‘어떤 날들’

by 이홍현

조이 크룩스(Joy Crookes) < Skin >

음색에 한번 선율에 또 한 번. 빠져든다 빠져들어.
추천곡 : ‘Kingdom’, ‘Feel don’t fail me now’

by 박수진

엘튼 존(Elton John) < The Lockdown Sessions >

스테이지에서 스튜디오로 들어간 거장.
추천곡 : ‘Cold heart (PNAU remix)’, ‘Finish line’

by 임동엽

배드배드낫굿(BADBADNOTGOOD) < Talk Memory >

구불구불하게 변덕스럽게, 20세기 퓨전 재즈를 향해.
추천곡 : ‘City of mirrors’, ‘Beside April’

by 김성욱

밸리(Valley) < Last Birthday >

버블검 팝 음악과 함께하는 2000년대로의 시간 여행.
추천곡 : ‘Like 1999’, ‘Society’

by 김성엽

그루퍼(Grouper) < Shade >

손차양 아래 새어 나온 몽롱한 빛, 그 온기.
추천곡 : ‘Unclean mind’, ‘Pale interior’, ‘Promise’

by 장준환

막달레나 베이(Magdalena Bay) < Mercurial World >

끝을 찍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온 순간 완벽한 그로기 상태. Y2K 감성으로 물들인 신스팝에 그야말로 취해버렸다.
추천곡 : ‘You lose!’, ‘Domino’, ‘The beginning’

by 정다열

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엘튼 존(Elton John) ‘Finish line (With Stevie Wonder)’ (2021)

평가: 4/5

피아노 앞의 두 거장이 세 번째로 입을 맞췄다. 1983년 엘튼 존의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에서 하모니카를 불며 처음 만난 스티비 원더는 1985년 디온 워윅의 ‘That’s what friends are for’에서 하모니카 뿐 아니라 보컬로도 가세하며 글래디스 나이트, 엘튼 존과 함께 하모니를 이뤘다. 그리고 올해 코로나 사태로 < Farewell Yellow Brick Road > 투어를 멈춘 엘튼 존의 새 콜라보 음반에 참여하며 둘은 38년 만에 온전한 조화를 이룩했다.

< The Lockdown Sessions >, (적당히 의역하자면) 통제된 기간들과 제재받는 연주들이라는 이중적 제목처럼 코로나 대유행의 심정을 담은 작품은 음악계의 거리 두기와 봉쇄령을 역설하듯 두아 리파, 찰리 푸스, 고릴라즈, 릴 나스 엑스 등 화려한 인물들로 수를 놓는다. 1993년의 또 다른 협업 음반 < Duets >를 떠올리게 한다.

피아노 연주로 시작해 그루브한 리듬이 깔리고 두 거장이 각 절을 주고받는 사이 카니예 웨스트의 < Jesus Is King >에서 이름 날린 선데이 서비스 콰이어가 가스펠 사운드로 배경을 채우며 신령한 기운을 돋운다. 무엇보다 위로가 필요할 이 시기에 음악이 주는 감동이 자연스레 밀려오는 순간. ‘Finish line’과 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이 노래의 가사로 대신한다. ‘너는 내가 듣고 싶은 노래였어’.

Categories
POP Album

레이디 가가(Lady Gaga) ‘Chromatica'(2020)

평가: 3.5/5

팝스타의 ‘팝’스타화


팝스타 레이디 가가가 돌아왔다. 컨트리 장르를 내세워 커리어 상 독특한 변곡점을 남겼던 정규 5집 <Joanne> 이후 무려 4년 만의 복귀다. 허나 그 공백의 체감이 그리 길지 않았다. 제2의 전성기를 안겨 준 영화 < 스타 이즈 본 >의 인기 덕택이다. 사운드 트랙이었던 ‘Shallow’는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했으며 그는 이후 그래미, 오스카 시상식의 수상자로 무대 위에 오른다.

늘 대중의 관심 안에 있었지만 그의 음악은 완벽히 대중적이지 않았다. 일렉트로닉, 댄스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가져왔던 1집 <The Fame>(2008), 2집 <Born This Way>(2011)가 데뷔 초 그를 세상에 각인시킨 건 키치하고 세상을 앞서(?)간 바로 그 퍼포먼스 때문이었다. 음악 자체의 중독성도 한몫했겠지만 분명 독특한 외부적 요소가 주는 파괴력이 있었고 이게 역으로 가가 작품에 높은 활기를 가져다주었다. 키치한 차림으로 세상을 끌어당기고 이와 잘 맞는 시너지의 또 한 차례 키치한 그의 노래 ‘Bad romance’, ‘Telephone’, ‘Poker face’ 등이 세계를 울렸다.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Artpop>(2013)의 지나친 개성, 재즈로 의외의 장르 전환을 선보인 <Cheek To Cheek>(2014)을 거쳐 컨트리까지 섭렵했던 그가 그렇게 다시 본토로 돌아왔다. 이번에는 대놓고 대중을 지향한다. 국내 인기 아이돌 블랙핑크를 비롯해 아리아나 그란데, 엘튼 존 등 화려한 라인업의 피처링 진이 눈에 띄고 음악적 장르는 말 그대로 백 투 더 8090을 2020으로 경유해 당겨왔다. 디스코, 유로댄스, 하우스가 곳곳에서 생명력을 뽐내고 광폭한 EDM의 드롭이 요즘 날의 청취 입맛을 사로잡는다.

그 어느 때보다 밝고 에너지 넘치는 댄스 플로우의 한쪽에는 짙은 눈물 자국이 가득하다. 아리아나 그란데와 함께 자신들이 겪은 트라우마를 떨어지는 비에 빗대 노래하는 ‘Rain on me’, 대중 가수로서 늘 가면을 쓸 수밖에 없음을 토로하는 ‘Fun tonight’, 성폭력 등의 상처로 인한 아픔을 고백하는 ‘911’까지 곡의 제작 원료는 ‘아픔’이다. 이 발아하고 발화하는 개인성은 지난 <Joanne>과 연장 선상에 서 있지만 이 앨범의 속내는 더 깊고 더 연약하고 때론 더 강하다. 이 이질적인 양가성이 작품의 의미를 드높인다.

3개의 짧은 인터루드 ‘Chromatica’ 1~3을 사이사이에 배치에 앨범을 쫀쫀하게 이어붙이고 대부분의 수록곡을 3분 중반으로 끊었다. 그만큼 ‘전체연령가’를 목표한다. 인터루드는 자연스레 다음 곡과 이어지는데 특히 ‘Chromatica II’의 웅장한 오케스트레이션과 자연스레 이어지는 유로 디스코 풍의 ‘911’이 인상적이다. 미국의 인기 가수 셰어(Cher)의 대표곡 ‘Believe’가 떠오르기도 한다. 끝 곡 ‘Babylon’도 마찬가지다. ‘Born this way’의 뒤를 이은 퀴어 앤섬인 이 곡은 명백히 마돈나의 ‘Vogue’에 영향받았다.

장르의 활용에서 연유된 윗세대 선배와의 교류가 대중 취향을 전면에 내세운 가가의 목표를 잘 보여준다. 전면을 감싸고 있는 복고의 향취가 좀 더 새로운 것을 기대했을 누군가에게는 밋밋한, 그저 반복되며 고조될 뿐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실제로 블랙핑크와 호흡한 ‘Sour candy’는 강하게 튀어나오는 가가의 음색과 블랙핑크의 목소리가 어긋나 전체 흐름에 잘 맞지 않는다. 자신을 상표 붙은 인형에 비교한 ‘Plastic doll’ 역시 가사의 묵직함이 없었다면 흐려졌을 노래다.

그럼에도 영리하다. 초기 스타일의 복고를 차용하나 ‘Free woman’, 엘튼 존과 함께한 ‘Sine from above’, ‘Replay’ 같은 곡에는 EDM의 드롭을 살려 트렌드를 반영하고 곡 단위를 넘어 앨범 단위를 지향하게 한 음반의 구성력도 좋다. 다만 작품의 승리는 가장 밝은 사운드를 담았지만 가장 어두운 자전적 이야기를 가사에 녹여낸 지점에서 기인한다. 16개의 수록곡, 45분이 채 안 되는 러닝타임. 짧고 강렬하게 리듬에 취해 뛰다 땀을 닦을 때쯤 가가의 메시지가 뒤늦은 울림을 준다.

이 진솔한 고백에 응답하듯 ‘Rain on me’는 빌보드 싱글차트에 1위로 데뷔했고 앨범차트 정상 역시 그에게 돌아갔다. 가가, 제2의 전성기가 더욱 높게 닻을 올린다.

– 수록곡 –
1. Chromatica I
2. Alice
3. Stupid love
4. Rain on me(Feat. Ariana Grande)
5. Free woman
6. Fun tonight
7. Chromatica II
8. 911
9. Plastic doll
10. Sour candy(Feat. Blackpink)
11. Enigma
12. Replay
13. Chromatica III
14. Sine from above(Feat. Elton John)
15. 1000 doves
16. Babyl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