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이찬혁 ‘Error'(2022)

평가: 4/5

에러, 죽음, 대중성

악동뮤지션에서 ‘악뮤(AKMU)’로 8년여간 활동을 이어간 끝에 발매한 이찬혁의 첫 번째 솔로 작은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속에서 꽃폈다. 그 관심은 음악이 아닌 ‘행동’에서 발아한다. 음반이 공개되기 전, 의외의 장소에서 독특한 모습으로 목격되는가 하면 몇몇 음악 방송에서 보여준 예측 불가의 퍼포먼스는 그의 음악을 듣지 않고 보고, 읽게만 했다. 노래와 음반이 화제가 되지 않았고, 이찬혁의 행동이 연일 텍스트화 되어 온라인을 떠돌았다.

‘다리꼬지마’, ‘라면인건가’ 등 일상적인 소재로 노래를 만들던 그가 사랑(‘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자유(‘Bench’), 그리고 신보와 같이 죽음을 노래하기 시작했지만 세상의 시선은 그 변화를 따라올 만큼 민첩하지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언제부터인가 이찬혁에게선 과거가 보이지 않았다. 대중은 여전히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땀난 손을 연신 닦으며 통기타를 쥐던 ‘찬혁이’를 기억하지만, 우리가 알던 그때 그 시절의 찬혁이는 이 자리에 없다.

이를 바로 보지 못할 때 대중과 이찬혁 사이의 에러(Error)가 극심해진다. 음반의 내러티브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번뜩이는 퍼포먼스가 ‘기행’, ‘예술병’ 등의 단어로 격하되는 것이다. 유독 이찬혁의 일거수일투족이 밈(meme)으로 소비되는 현상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매끈한 선율, 유기적인 수록곡, 담백한 무게감으로 죽음을 회고하게 하는 압축적 서사까지, 작품마다 완숙한 성장을 보였지만 상찬은 넉넉하지 않았다.

그런 면에서 신보는 지난했던 과거와의 완벽한 이별이자 이찬혁 성상 서사의 확실한 변곡점이다. 파워풀한 일렉트릭 기타로 죽음을 목격하는 순간을 다룬 ‘목격담’, 완연한 EDM으로 사고 현장을 묘사하는 ‘Siren’, 생의 마지막 파노라마처럼 스쳐 가는 기억을 복고풍의 신시사이저 선율 위에 녹여낸 ‘파노라마’. 앨범을 수놓은 11개의 수록곡은 사고, 죽음의 문턱, 이별, 죽음, 장례의 과정을 착실히 좇아가며 이야기를 쓴다.

하나의 콘셉트 음반으로 죽음이란 무거운 주제를 쓰지만 대중성을 놓치지 않았다. 이찬혁은 늘 대중적이며 친대중적인 음악을 만들었는데 그 작곡 능력이 이번에도 빛을 발한다. 귀에 감기지 않는 멜로디가 하나도 없다. 앨범의 중간 위치에서 삶의 후회를 논하는 ‘뭐가’는 발라드로 마음을 울리고 착하고 따뜻한 후크송 ‘내 꿈의 성’은 아기자기한 초창기 악뮤 음악을 떠올리게 한다. 또, 웅장한 가스펠로 작품의 문을 닫는 ‘장례희망’은 짜릿하다. 예상치 못한 가스펠이 터져 나올 때 저마다 각기 다른 감정을 터트릴 것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마음을 졸이던 어린 날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이를 인정하고 이제 이찬혁을 다시 읽어야 한다. 죽음을 사유하는 철학적 접근에선 신해철이 엿보이고, 다양한 장르를 매끈하게 저울질하는 모습에선 윤상이 떠오른다. 이렇게 다양한 글감으로, 이토록 근사한 음반을, 주기적으로 만들어내는 음악가라니. “찬혁이 바라보는 모든 것은 음악이 된다”. 탈피, 환골, 변태. 에러 없는 성장이 가속도를 탔다.

– 수록곡 –
1. 목격담
2. Siren
3. 파노라마
4. Time! Stop!
5. 당장 널 만나러 가지 않으면
6. 마지막 인사(Feat. 청하)
7. 뭐가
8. 부재중 전화
9. 내 꿈의 성
10. A day
11. 장례희망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악동뮤지션(AKMU) ‘Next Episode'(2021)

평가: 4/5

그리하여 Next Episode
2017년 2개의 노래가 담긴 짧은 싱글 앨범 < Summer Episode >에 이어 4년 만에 < Next Episode >란 후속작을 써냈다. 전작의 초점이 Summer 즉, ‘여름’의 이미지에 맞춰져 있었다면 보다 많은 7개의 수록곡으로 채워진 이번 음반은 Next 즉, ‘다음’을 말한다. 시점은 현재. 코로나 19의 팬데믹이 전 세계를 뒤덮은 오늘날 발칙한 두 남매는 무뚝뚝하고 다정하게 희망을 건넨다. 지금이 ‘지나면’ 아니, 바로 지금 곁에 있을지도 모를 그 순간들을 일상에서 포착해내면서.

이들이 음악의 소재로 삼은 것은 줄곧 그랬듯 특별하지 않아 더욱 특별하다. 정식 데뷔 이전 오디션 프로그램 < K팝 스타 >에서 선보이며 큰 인기를 끌었던 ‘다리꼬지마’, ‘라면인건가’처럼 여전히 우리 주위의 것을 글감으로 삼는다. 그 익숙함을 특별함으로 치환하는 것은 전곡 작사 작곡으로 활약하는 멤버 이찬혁의 상상력. 군 제대 이후 발매한 지난 정규 앨범 < 항해 >(2019)를 기점으로 한껏 성숙한 감정의 폭을 장착한 그가 이번에도 어김없이 강한 힘을 내비친다. 쉽고, 간결하고, 재치 있으며, 깊다. 독특한 관점과 시선으로 하나도 버릴 게 없는 단단한 곡들을 써냈다.

신선한 것은 작품을 통해 자신들 앞에 놓인 또 하나의 장애물을 넘으려 했다는 것이다. 콜라보. 피처링이 아닌 함께(with) 써 전곡에 쟁쟁한 뮤지션과 나란히 섰다. 늘 선명하게 드리던 악뮤스러움을 단점이 아닌 장점으로 확실히 돌려놨다. 신시사이저를 중심으로 1980년대 신스팝의 느낌을 살린 ‘전쟁터’는 이선희의 목소리로 생생한 활력을 얻고 그 누구도 제목으로 상상할 수 없을 ‘맞짱’은 노스텔지어를 자극하는 밴드 잔나비의 보컬 최정훈과 만나 섬세히 감성을 태운다. 여기서 ‘악뮤틱함’은 일방적인 동기화가 아닌 융화, 융합에 가깝다. 즉, 두 남매의 색을 잃지 않으며 상대의 색과 어우러진다.

뭉근한 상상력의 끝은 아이유와 손잡은 ‘낙하’, 자이언티가 합세한 ‘Bench’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떨어지고 떨어지면 결국 날아오르지 않을까 하는 기발한 상상으로 탄생한 ‘낙하’는 떨어지는 느낌을 잘 살린 멜로디와 뒤엉키며 잊을 수 없는 후크라인으로 완성됐다. 청량한 일렉트릭 기타 리프가 포문을 여는 ‘Bench’ 역시 거침없이 자유를 말한다. ‘지붕 없는 벤치에 누워’, ‘지붕 없는 벤치에서 깨어나’ 평화와 사랑을 누리겠다고 말하는 이 가사 앞에 녹아내리지 않을 공산이란 없다. 삶에 살짝 프레임을 씌워 바꾼 세상에 이토록 많은 이야기가 흐른다.

힘쓰지 않고 핵심을 풀었다. 또한 이것저것을 애써 겹치지 않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곁에서 찾아 재밌고 유쾌하게 그렸다. 악동뮤지션에서 이제 악뮤로 새 음악장을 펼친 그들에게 세상은 온통 영감의 촉매가 된다. 들으면 들을수록 그룹의 ‘세련된 키치함’이 다가온다. 그리하여 이들이 말하는 Next는 어수선한 전염병 시대의 종말과 더불어 말 그대로 악뮤의 넥스트 에피소드를 보여준다. 취할 수밖에 없는 두 남매의 강력한 귀환. 매번 ‘넥스트 레벨’이다.

  • – 수록곡 –
    1. 전쟁터(with 이선희) 
    2. 낙하(with 아이유) 

    3. Bench(with Zion.T)
    4. 째깍 째깍 째깍(with Beenzino)
    5. 맞짱(with 잔나비 최정훈) 
    6. Stupid love song(with Crush)
    7. Everest(with Sam kim)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이승철 ‘우린 (Prod. by 이찬혁 of AKMU)’ (2021)

평가: 3/5

악동뮤지션의 찬혁이 직접 곡과 가사를 썼다. 선배 뮤지션 이승철의 데뷔 35주년을 맞이한 기념 싱글로 피아노를 중심으로 점점 고조되는 진행이 일품. 젊은 시선으로 사랑 이후의 감정을 써낸 찬혁과 이를 표현한 보컬 이승철 사이에 어떤 시대적인 격차가 느껴지지 않는다. 매끄럽게 소화되고 매끄럽게 흘러가는 곡. “우린 / 우린 / 우린 사랑했죠” 노래하며 한 템포 숨을 죽였다 다시 퍼지는 구성 역시 튼튼하다. 조금은 담백한 구성이 단점으로 자리할 수 있으나 그 한계만큼이나 깔끔한 인상을 전해준다. 좋은 시너지의, 핵심만 담은 발라드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악동뮤지션(AKMU) ‘HAPPENING’ (2020)

평가: 3/5

1년 2개월 만의 신곡은 악뮤의 곡치고 퍽 평범하다. 특유의 개성 강한 노랫말, 멜로디가 비교적 무뎌졌다. 여전히 매끄럽지만, 곡 자체로는 기억에 남는 순간이 많지 않다. 인상적인 건 무르익은 표현력이다. 특히 이찬혁의 보컬이 돋보인다. 그는 지난 앨범 < 항해 >에서 나아가, 매력적인 중저음으로 담백하게 호소력을 발휘한다. 안정적으로 곡을 리드하는 장악력에서 솔로이스트로서의 가능성도 엿보인다. 물론 이수현의 가창도 여느 때처럼 뛰어나다. 이들의 다음 행보를 기대하게 하는 범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