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레이니(LANY) ‘Gg Bb Xx’ (2021)

평가: 3/5

로스앤젤레스(LA)와 뉴욕(NY)의 앞 글자를 가져온 캘리포니아 출신 3인조 밴드 레이니(LANY)는 2014년에 결성한 이후 모두 4차례의 내한공연과 ‘Malibu nights’와 ‘Cowboys in LA’ 같은 레트로 감성의 곡들로 한국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2020년 10월에 나온 3집 앨범 < Mama’s Boy >가 빌보드 앨범차트 7위에 올라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이들은 1년이 안 되어 새로운 정규 앨범 < Gg Bb Xx >를 발표하며 성공 가도를 향한 명확한 의지를 표명했다.

캘리포니아의 따사로운 햇살을 연상케 하는 느긋한 레이드 백 감성이 전작 < Mama’s Boy >를 관통했다면 이번 앨범은 리듬이 두드러지는 댄서블한 트랙들이 돋보인다. 신시사이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2017년도 1집 < Lany >로 귀환한 기조를 보여주되 사운드의 매끈함과 편곡의 정밀성을 더했다. 1980년대의 향기를 품은 신스팝 넘버 ‘Care less’나 발랄한 멜로디와 이별을 선포하는 가사가 묘하게 대조되는 ‘Never mind, let’s break up‘은 차분한 감성이 주를 이뤘던 레이니의 또 다른 매력을 부각했다.

레이니는 정교성이 떨어지는 악곡을 프런트 맨 폴 제이슨 클라인의 매혹적인 음색과 감각계를 건드리는 몽환적인 사운드로 상쇄해왔고 이 지점은 신작에서도 일정 부분 유지했다. 부드러운 어쿠스틱 스타일로 선율을 강조한 ‘Live it down’과 피아노 연주가 감미로운 ‘Somewhere’로 전반적으로 경쾌한 앨범 분위기를 전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밋밋한 버스(verse)에서 신스 아르페지오의 코러스에 다다르는 천편일률적인 구성이 개별성을 약화했다. 이성보다 감성에 무게추가 쏠린 작곡 방식이 낳은 결과다.

1년이 채 안 되어 공개한 새 앨범에는 장점과 고질적인 문제가 공존한다. < Mama’s Boy >의 드림팝 스타일로 레이니를 접한 이들에겐 통통 튀는 신스팝 앨범 < Gg Bb Xx >가 신선한 자극으로 다가오지만 상업적 성과를 이어가려는 조급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상업 지향성이 문제가 아니다. 그것에 매몰되어 발전을 더디게 할 우려가 더 크고 무겁게 다가온다. 1집에 비해 사운드의 진일보를 이룩한 만큼 곡의 만듦새를 점검할 시간도 필요하다.

– 수록곡 –
1. Get away
2. Up to me
3. Never mind, let’s break up
4. DNA
5. Roll over, baby
6. Live it down
7. Dancing in the kitchen
8. Ex I never had
9. Somewhere
10. Care less
11. ‘Til I don’t
12. One minute left to live

Categories
Album POP Album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King Gizzard & Lizard Wizard) ‘Butterfly 3000’ (2021)

평가: 4/5

전형적이지 않은 악곡 전개와 정신 착란적인 사운드스케이프, 사이보그와 괴물이 등장하는 ‘Gizzverse’라는 세계관까지 컬트적 요소를 두루 갖춘 호주 출신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는 지난 10년 동안 무려 18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사이키델릭 록과 재즈 퓨전, 헤비메탈 등 각기 다른 장르의 앨범을 만들어온 이들은 전작 < L.W. >가 나온 지 불과 4달 만에 19번째 정규 앨범 < Butterfly 3000 >을 내놓았다. 넘치는 개성과 대중성 사이의 균형점을 찾은 이 괴짜 밴드는 이번엔 여름에 잘 어울리는 산뜻한 신스 팝을 선사한다.

난해한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 < Polygondwanaland >와 과격한 스래시 메탈 < Infest The Rats’ Nest >처럼 대중성과 거리가 먼 음악을 펼쳐온 이들은 홈레코딩으로 제작한 이번 신작에서는 선율을 강조한 신스 팝을 내세워 감상의 진입 장벽을 대폭 낮췄다. 덕분에 그들의 경력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듣기 쉬운 음반이 됐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이질적인 작품이기도 하다.

10곡에 걸쳐 반복되는 신시사이저 루프는 잊히지 않는 잔상을 남기며 앨범에 일관성을 부여했다. 앨범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느낌을 받는 이유지만 소리의 실험자답게 신시사이저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악기를 배합해 곡의 개별성을 확보했다. 어쿠스틱 피아노와 기타가 상쾌한 ‘Interior people’과 월리처 피아노에 멜로트론을 더해 풍성한 소리를 구현한 ‘Blue morpho’가 대표적이다. 가창보다 기악에 방점을 찍는 모습은 류이치 사카모토가 소속했던 일본의 신스 팝 밴드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와 아방가르드한 전자음악을 구사했던 영국 밴드 아트 오브 노이즈가 떠오르는 지점.

만화경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의 경력은 다양한 음악에 목마른 마니아들의 갈증을 해소해왔다. 3~4분의 러닝 타임 안에서 익숙하고 비슷한 것들이 펼쳐지는 팝에서 벗어나 안전장치를 풀어버린 이들의 음악은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높은 이번 앨범에서도 유지됐다. 취향이 확고한 팬들과 일반 대중을 동시에 포용할 가능성을 모두 포획한 독특한 앨범이다.

– 수록곡 –
1. Yours
2. Shanghai
3. Dreams
4. Blue morpho
5. Interior people
6. Catching smoke
7. 2.2 killer year
8. Black hot soup
9. Ya love
10. Butterfly 3000

Categories
Album POP Album

개리 뉴먼(Gary Numan) ‘Intruder’ (2021)

평가: 3.5/5

사후세계에 관해 질문을 던지는 철학, 전자음악과 재즈를 오가는 섬세한 음악으로 호평 받은 애니메이션 < 소울 >은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받으며 진가를 확인받았다. 수상자 존 바티스트, 애티커스 로스, 트렌트 레즈너 가운데 눈에 띄는 건 트렌트 레즈너. 밴드 나인 인치 네일스를 이끌며 1990년대 인더스트리얼 록의 총아로 떠오른 그가 영향을 받았다고 공공연하게 언급한 뮤지션이 개리 뉴먼이다.

개리 뉴먼은 1979년에 영국차트 1위, 1980년에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9위까지 올라 신스팝의 역사가 된 노래 ‘Cars’의 주인공으로 뉴웨이브에서 인더스트리얼 록까지 전자음악의 타임라인에서 그가 남긴 족적은 지대하다. 그런 그가 인더스트리얼 록 사운드의 탐구를 지속한 21번째 정규 앨범 < Intruder >는 영국 앨범차트 2위에 오르며 두 번째 전성기를 예고한다.

로버트 무그 박사가 발명한 무그 신시사이저는 특유의 소리로 대중음악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 영국 뮤지션도 그 수혜를 받아 ‘I die you die’와 ‘Are ‘friends’ electric?’처럼 쉬운 선율의 신스팝 곡들을 남겼다. 그는 산업사회를 테마로 한 거칠고 공격적인 인더스트리얼 록에서도 지분을 차지한 뮤지션이었지만 차가운 소리에도 팝적인 감각을 포용하는 유연성도 소유했다. < Berserker >, < The Fury > 같은 1980년대 중반 작품들이 뉴먼식 인더스트리얼 록의 본격화를 알렸고 1990년대 앨범들은 나인 인치 네일스와 스타일을 공유하며 쌍방향적 음악 교류였음을 암시했다.

이번 앨범은 온난화로 고통 받는 지구의 심경을 대변한 콘셉트 앨범이며 환경오염과 종말론적 관점을 엮었다는 점에서 2017년에 발표한 < Savage (Songs from a Broken World) >의 연장선에 있다. 인트로 곡 ‘Betrayed’의 “당신은 날 해치고 나는 피 흘립니다.”라는 직설적인 가사로 인간의 행태를 비판한다. 과거의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들이 자본주의의 역설이나 기계문명에 따른 개인의 부품화 같은 당시의 ‘현재’를 노래했다면 그는 미래로 시제를 옮겨 일종의 예언가 역할을 수행했다.

앨범 전체의 메탈릭한 인더스트리얼 사운드는 매끈하게 다듬어졌고 눈앞에 영상을 펼치듯 극적인 곡 구성으로 주제 의식을 표현한다. 후렴으로 넘어가기 전 서늘함 효과음이 숨을 조이는 ‘And it breaks me again’이 대표적. 음반의 하이라이트 ‘Intruder’와 ‘A black sun’은 몽환적인 폴리무그 사운드가 금속성 소리 위를 유영하면서 인더스트리얼 록과 뉴웨이브 스타일이 절묘하게 교차한다.

전자음악 선각자 개리 뉴먼의 음악 인생은 굴곡졌다. ‘Cars’의 영광은 원히트원더의 오명으로 되돌아왔고 그 빚을 갚기 위해 제작된 1992년 작 < Machine And Soul >은 낮은 완성도로 혹평받았다. 하지만 훗날 피어 팩토리와 마릴린 맨슨같은 후배들이 그의 음악을 커버해 재조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는 결코 데이비드 보위의 반열에 오를 수 없었고, 트렌트 레즈너같은 아이콘이 되지 못했지만 그것이 개리 뉴먼의 제1의 목표는 아니었다. 평생 과제는 신시사이저로 원하는 소리를 구현하는 것. 어둡고 음울하며 꿈꾸는 듯 신비로운 소리 뭉치를 쫓는 항해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수록곡 –
1. Betrayed
2. The gift
3. I am screaming
4. Intruder
5. Is this world not enough
6. A black sun
7. The chosen
8. And it breaks me again
9. Saints and liars
10. Now and forever
11. The end of dragons
12. When you f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