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수지(Suzy) ‘Cape’ (2022)

평가: 2.5/5

우수 어린 감성 트랙이 이 계절을 따스히 포갠다. 올해 초 ‘Satellite’로 변신을 꾀한 수지가 다시 한번 프로듀서 강현민과 함께 기타를 집어 들며 싱어송라이터의 입지를 탄탄히 한다. 일렉트릭 기타가 잔잔히 주도하는 ‘Cape’는 악기를 최소화한 구성과 낮은 톤 중심의 보컬 운용에 가성으로 감정의 폭을 늘리며 안정감 있는 감상을 선사한다.

직전의 강렬한 인상 탓에 상대적으로 신선함은 떨어진다. 가창 스타일이나 멜로디 전개가 강현민이 속한 밴드 러브홀릭이나 2000년대 드라마 OST에 자주 등장하던 뮤지션들의 것과 닮아 있고, ‘Satellite’에서 몽환적 질감을 강조하기 위해 취했던 영어 가사도 어쿠스틱한 느낌의 신곡에선 우리말보다 떨어지는 몰입도로 음색의 매력만 반감시킨다. 가시를 애매하게 다듬은 장미에 본연의 아름다움과 묘한 거부감이 혼재하고 있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수지(Suzy) ‘Satellite’ (2022)

평가: 3.5/5

얼떨떨한 충격이다. 복귀까지 걸린 시간만큼이나 보컬의 톤도, 감정의 깊이도, 그리고 음악의 방향과 색 모두 확연히 바뀌었다. 일기예보와 러브홀릭의 리더로 잘 알려진 싱어송라이터 강현민과 최근 < 스트릿 우먼 파이터 >에서 큰 화제를 얻은 댄서 모니카와의 삼각 협업을 이룬 곡은 단순 마니아층의 수요나 스타일 변화에 의한 장르적 측면에서의 시도를 넘어, 고정된 틀을 깨려고 하는 예술가의 진지한 욕망에 의의를 두고 있다.

록의 멜로디컬한 접근법에 있어 권위자인 강현민이 사무치듯 울려 퍼지는 슈게이징 사운드와 비좁은 틈새를 신경질적으로 콕콕 파고드는 노이즈를 가져오고, 이에 수지가 음울하면서도 덤덤한 보컬을 조심스럽게 포갠다. 시아의 ‘Chandelier’를 접했을 때의 충격을 연상케 하며 해방과 갈구를 오가는 모니카의 역동적인 춤 선은 몰입을 배가하고 탁월한 영상미를 낳는다.

비록 청취에 이질감이 없도록 단편적인 표현 수준에 그친 영어 위주의 가사가 더 높이 올라갈 수 있던 곡의 고점을 쉽게 매듭지은 듯하지만, 복합적인 프로젝트임을 감안한다면 충분히 만족스러운 변신이 아닐까 싶다.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힌 < Faces Of Love > 때부터 탐미와 격상에 학구열을 내비친 수지. 그의 ‘거듭나기’는 겸손하고 흥미롭게 그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