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릴 모쉬핏(Lil Moshpit) ‘To go (Feat. 박재범, 소울스케이프)’ (2023)

평가: 3/5

그루비룸 휘민이 탄생시킨 그의 또 다른 자아 릴 모쉬핏은 ‘팝’을 의식하지 않는다. 이 페르소나 안에는 오로지 힙합, 그리고 힙합에 대한 아티스트의 사랑만이 존재한다. 이번에는 현재가 아닌 과거로 간다. 트렌디한 곡들을 포진했던 작년 정규 앨범 < AAA >와 달리 신곡은 반복되는 비트와 디제이 스크래치, 빈티지한 사운드에 박재범의 촘촘한 랩을 엮어 그가 사랑했던 옛 힙합 요소들을 펼쳐 놓는다. 힙합 프로듀서로서의 정체성 발현에 초점을 둔 프로젝트인 만큼 대중적 소구력은 강하지 않으나 릴 모쉬핏의 행보는 이렇게 장르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한 아티스트의 큐레이팅을 따라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카모(CAMO) ‘Pressure Makes Diamonds’ (2023)

평가: 3/5

캐쉬(Cash)와 머니(Money)의 앞 음절을 딴 카모(CAMO)는 ‘Life is wet’의 상승세를 타고 본격적으로 신에 발을 들였다. 꽤 인지도가 높아졌음에도 고심과 숙고의 시간을 거친 후 발매한 정규 1집은 싱글 단위로 분절되어 있던 음악적 조준점을 선명하게 맞추며 가수로서 변화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진중하게 선사한다. 작 전반에 확장을 향한 열망이 강렬하고 이를 위해 국내외 걸출한 조력자들을 초대해 보석을 갈고 닦는다.

이름부터 본토 향기를 풍기는 카모의 첫인상은 카디 비나 니키 미나즈의 전형적인 이미지와 겹친다. 단순 외모뿐만 아니라 주무기로 내세우는 몽환적인 트랩, 그리고 거친 베이스와 미니멀한 반복의 매력이 있는 장르 래칫(Latchet)이 함께 어우러진다. 한반도보다는 미국 남부에 가까운 카모의 분위기는 이렇게 형성됐고, 영어 강사로 활동했을 만큼 유창한 영어 실력 역시 음악과 비주얼의 융합에 크게 일조했다.

단순히 외국어를 중심으로 가사를 지을 뿐만 아니라 노랫말과 발음에 어울리는 풍부한 주제 멜로디로 곡의 재미를 더한다. 다채로운 탑 라인을 배치하며 래핑보다 보컬에 치중한 ‘그대에게’, ‘Mona lisa’, ‘Love fades’ 등은 주력 장르의 다소 밋밋한 단점을 해소하는 트랙이다. 분명 카모의 경쟁력이 살아난 구간이지만, 이 강점은 영어를 사용할 때 특히 선명하게 나타난다. 타이틀 ‘Bitchy’ 후렴구에 쓰인 단어들처럼 종종 어색한 한국어를 비추기도 한다.

언어는 음악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일 뿐, 카모는 좋은 사운드에 더 몰입하여 본인의 음악적 지평을 넓힐 소중한 기회를 만들었다. 성장기 타국에서 힙합을 접한 그는 자기 스타일에 가장 적합한 종주국의 비트를 수입했다. 어두운 멈블(Mumble)과 싱잉 랩 대중화에 기여한 프로듀서 808마피아가 지은 ‘Mapsi’는 클래식한 기타 리프가 카모의 음색을 뒷받침하며 독특한 맛을 낸다. 의외로 그라임과 드릴 대표주자 악셀 비츠는 산뜻하고 멜로디컬한 ‘Waiting for you’를 제시하며 후반부를 정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넓은 스펙트럼으로 나아가려는 목적성은 국경 없는 래퍼들과의 협력에서도 유효하다. 오키나와 태생으로 열도에서 비슷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에이위치(Awich)가 도움을 준 ‘Love fades’, 캐나다 출신 토미 제네시스와의 협업 ‘Waterwater’는 국내 힙합 신에서는 드물게 관측되는 국제 교류인데다가 여성 힙합 아티스트 간의 준수한 합작인지라 의미가 더 깊다. 루피나 식케이 등 기존 싱잉 랩 중진들과의 배합에서도 경력의 차이가 무색할만큼 카모는 주인공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위상이 낮아졌다 하더라도 음반과 CD의 의의는 여전히 뚜렷하다. 여러 곡을 집결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고 다음 단계를 기대하게 만들 수 있는지, 풀 렝스 앨범의 제작과 발매 과정은 아티스트의 역량을 점검하며 뽐내는 시간이다. 그 관점에서 카모는 이번 앨범의 목표를 이미 달성했다. < Pressure Makes Diamonds >는 드디어 정식으로 런칭한 카모라는 브랜드의 보증서이자 그가 세공한 빛나는 다이아몬드의 진열장으로 기능한다.

– 수록곡 –

1. 그대에게 (Six Weeks)
2. Pressure (Feat. 식케이 (Sik-K))
3. Fake hoe
4. 그래도 (Feat. 루피 (Loopy))
5. Like me
6. Bitchy
7. Waterwater (Feat. Tommy Genesis)
8. Mapsi (맵시)
9. Been givin’ you
10. Love fades (Feat. Awich)
11. Mona Lisa
12. Waiting for you (Feat. 박재범)
13. Finer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박재범 ‘Yesterday’ (2023)

평가: 3/5

슬롬이 프로듀싱한 ‘Blue check’의 챌린지로 다시 한번 새로운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 박재범의 새 싱글이다. 검증의 과정을 계속해서 뚫고 온 베테랑답게 직전 화려한 춤과 랩으로 보여준 ‘힙’한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알앤비 넘버의 신곡 ‘Yesterday’에선 서정성에 기대 진심 어린 사랑을 고백한다. 물론 변화에 있어 조금의 빈틈도 없이. 기타와 목소리.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지만 박자를 밀며 그루브를 만들어내는 특유의 창법과 어쿠스틱 선율에 맞춰 층을 쌓는 투명한 음색이 듣기 좋은 팝의 공식과 완벽히 부합한다. 활발하게 증명을 거듭해온 아티스트가 또 다른 이력을 새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박재범 ‘Need to know’ (2022)

평가: 2.5/5

AOMG를 떠나 시작점으로 되돌아간 박재범이 활동의 가닥을 잡았다. 아이유와 함께 산뜻한 봄을 위트 있게 담아낸 ‘Ganadara’를 뒤이어, 몽환적인 여름밤을 닮은 ‘Need to know’도 그의 본업인 알앤비 팝이다. ‘All I wanna do’와 ‘조아(Joah)’의 프로듀서 차차 말론이 옛 사장에게 청명한 비트를 선사했고, 그 위에 달큰한 문구들을 영어로 속삭인 박재범은 화려한 춤사위를 더해 화답한다.

3분을 넘지 않는 짧은 호흡과 유명 댄서와의 퍼포먼스가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트렌드를 충족하나 유별난 점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구애의 노랫말은 동어 반복으로 무의미하게 흘러갈 뿐이고 짧은 러닝타임 동안 네 번이나 반복되는 후렴구는 음색이 도드라져야 할 트랙의 매력을 상쇄한다. 다방면으로 뽐낸 열정이 흥겹기는 하나 무더운 열대야를 날리기엔 다소 미지근하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박재범, 아이유 ‘Ganadara’ (2022)

평가: 3.5/5

AOMG, 하이어뮤직의 수장에서 새로운 소속사 ‘모어비전’을 설립한 박재범의 첫 행보. 한국말이 익숙지 않은 실제 자신의 모습을 가사에 담아 ‘오늘 밤, 가나다라 마바사를 가르쳐줘’ 노래한다. 부드러운 알앤비 장르에 사랑에 앞에 움츠러든 모습을 사랑스럽게 포착한 가사가 그의 이미지와 잘 맞아떨어진다. 귀여운 박재범에 난색을 표할 수도 있으나 ‘바디 랭귀지도 괜찮다’는 익살스럽고 은밀한 표현이 감초처럼 섹시한 박재범을 보여주니 실망은 금물.

가요계의 아이콘으로서 아이유의 위치를 그대로 들여온 뮤직비디오 역시 ‘찰떡’이다. 스타 아이유 섭외에 진땀을 흘리는 박재범의 모습과 깜짝 등장해 노래를 휘어잡는 아이유의 모습이 적절한 시너지로 어우러진다. 물론 목소리의 조화 역시 더하고 뺄 것이 없다. 잘나가는 두 스타가 만나 장점만 잡아 힘을 쏟았다. 엉뚱하고 귀엽고 그럼에도 핫한 박재범 본인의 스타일을 제대로 녹여낸 싱글. 물 흐르듯 흘러 듣기 좋은 팝이다.